심근경색증 (Mycardial infarction : MI)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근경색증 (Mycardial infarction : MI)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심근경색증 (Mycardial infarction : MI)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관리

6. 합병증

7.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의 차이

본문내용

주된 합병증인 부정맥의 진단. 및 치료에도 반드시 필요한 검사이다. (ST 분절 상승, T파 역전. Q파의 출현, 부정맥)
다. 혈액검사
: WBC, ESR 증가 / SGOT ,CPK, LDH 증가
심근경색이 일어나 심장 근육의 괴사가 나타나면 죽은 세포의 효소가 혈액 중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이러한 효소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는 크레아틴키나제(CK), AST, LDH가 있으며 심근경색이 일어날 경우 상승된다. 이러한 효소치의 상승은 다른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다른 질병과의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1) 혈액효소검사 : 심근괴사의 지표 - SGOT, CPK, LDH
가) CPK (creation phosphokinase) : 적혈구나 간에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심근이나, 골격근, 뇌에 존재하므로, LDH나 SGOT보다 진단에 더 유효하다. 심근괴사의 지표로써 가장 유효, 초기진단에 유효
나) LDH (lactic dehydrogenase) : 늦게 나타나서 오래 지속되므로 비교적 MI의 후기진단에 유효, 8~10 시간 후 상승하기 시작해서 2~3일에 최고
다) SGOT : 심근, 간에 매우 많고 췌장, 신장, 뇌 ,고환, 비장에서는 약간 발견됨, MI 환자의 90-95%에서 특징적으로 상승, 42시간에 현저히 상승하여 5~6일간 지속
라. 관상 동맥 촬영술
: 가슴이나 팔의 동맥은 심장으로 통한다. 이곳의 동맥을 통하여 가는대롱을 대동맥을 통하여 관상동맥입구에 위치시킨 후, 조영제를 삽입하여 관상동맥을 촬영할 수 있다.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진 부위를 풍선대롱을 이용하여 뚫거나, 넓히거나, 스텐트(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5.31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0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