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바이러스의 구조
2) 바이러스의 감염주기
3) 바이러스의 한 살이(생활사)
4) 비로이드와 프리온
마치며...
※참고문헌
2) 바이러스의 감염주기
3) 바이러스의 한 살이(생활사)
4) 비로이드와 프리온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바이러스마다 숙주의 기능을 활용하는 매커니즘은 다를 수 있지만, 대다수의 바이러스가 진입 및 방출의 단계를 공유한다. 바이러스의 감염주기는 크게 부착, 진입, 탈피, 유전자 발현 및 복제, 입자 조립, 방출, 성숙의 7단계로 나눌 수 있다.
①부착
바이러스의 첫 단계인 부착에서는 세 포질막에 위치한 수용체와 부착인자가 작용한다. 부착인자는 단순히 바이러스 입자에 붙어서 세포 표면에 바이러스 입자들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며 수용체는 입자에 붙은 후 입자의 세포내 진입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이 부착과정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세포특이성이 결정된다. 바이러스가 감염할 수 있는 숙주세포의 범위는 그 바이러스가 인식하는 수용체의 존재여부가 결정하게 된다. 이 때 수용체에 결합하는 바이러스 단백질은 입자 표면의 구조 단백질이다.
② 진입
외피가 있는 바이러스의 경우 진입하는 두 가지 매커니즘이 있는데 직접융합과 수용체 매개성 엔도시토시스가 그것이다. 사실 이 두가지 기작은 단순히 세포가 이물질을 흡수하는 과정인데, 바이러스가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직접융합의 경우는 외피막과 세포질막이 융합하여 진입하는 것이다. 이 경우 외피막이 세포질막에 남게 된다. 수용체 매개성 엔도시토시스의 경우, 수용체를 통하여 진입하면서 엔도솜을 형성하고 엔도솜 내의 산성 pH 때문에 외피가 벗겨지게 된다. 외피가 없는 바이러스의 경우 엔도시토시스로만 진입이 일어난다.
③ 탈피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내로 진입한 후, 캡시드가 바이러스 유전자가 발현되는 장소로 이동하여 유전자를 세포질로 노출시킨다. 핵에서 복제가 일어나는 바이러스의 경우 방향을
①부착
바이러스의 첫 단계인 부착에서는 세 포질막에 위치한 수용체와 부착인자가 작용한다. 부착인자는 단순히 바이러스 입자에 붙어서 세포 표면에 바이러스 입자들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며 수용체는 입자에 붙은 후 입자의 세포내 진입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이 부착과정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세포특이성이 결정된다. 바이러스가 감염할 수 있는 숙주세포의 범위는 그 바이러스가 인식하는 수용체의 존재여부가 결정하게 된다. 이 때 수용체에 결합하는 바이러스 단백질은 입자 표면의 구조 단백질이다.
② 진입
외피가 있는 바이러스의 경우 진입하는 두 가지 매커니즘이 있는데 직접융합과 수용체 매개성 엔도시토시스가 그것이다. 사실 이 두가지 기작은 단순히 세포가 이물질을 흡수하는 과정인데, 바이러스가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직접융합의 경우는 외피막과 세포질막이 융합하여 진입하는 것이다. 이 경우 외피막이 세포질막에 남게 된다. 수용체 매개성 엔도시토시스의 경우, 수용체를 통하여 진입하면서 엔도솜을 형성하고 엔도솜 내의 산성 pH 때문에 외피가 벗겨지게 된다. 외피가 없는 바이러스의 경우 엔도시토시스로만 진입이 일어난다.
③ 탈피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내로 진입한 후, 캡시드가 바이러스 유전자가 발현되는 장소로 이동하여 유전자를 세포질로 노출시킨다. 핵에서 복제가 일어나는 바이러스의 경우 방향을
추천자료
미생물의 분류 - 균류, 세균, 바이러스
AIDS와 인권문제(에이즈와 HIV) 성문제
신종인플루엔자, 조류독감, 사스, 전염병 등과 같은 지구 대유행병(팬데믹,pandemic)의 발병 ...
타미플루 (tamiflu) 신종플루 백신에 관한 발표. ppt 프리젠테이션 파일.
마케팅의 종류별 개념, 특징
급성 후두개염 Acute epiglottitis
[신종인플루엔자]신종 인플루엔자(돼지독감)와 전염병의 이해, 지구 대유행병(팬데믹)으로 번...
소아과케이스 급성편도염 (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 )
[아동 간호] 아동 장염 간호
성인간호학실습 내과 악성림프종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간호학과) 미생물 요약 총정리
성인 간염 케이스 A+ 받았습니다. 병태생리, 간호과정, 간호진단 5개
아동간호학case study-급성기관지염
간염, hepatitis, 급성간염, Acute hepatitis, 만성간염, Chronic hepatitis, 기타간염, Oth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