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렉스타 TREKSTA 기업분석및 마케팅전략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트렉스타 TREKSTA 기업분석및 마케팅전략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요약문

Ⅱ. 기업분석
기업소개
1) 트렉스타
2) 코오롱 스포츠
3) The North Face

Ⅲ. 경영목표
1. 트렉스타 경영철학
2. 트렉스타의 경영전략

Ⅳ. 시장상황분석
국내 등산용품(아웃도어) 시장분석

Ⅴ. CONSUMER 분석

Ⅵ. 마케팅 전략

1. STP전략 분석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2. 상품전략

3. 가격전략

4. 프로모션전략
1) 일반적 홍보전략
2) 트렉스타만의 특별한 홍보전략&장소전략

본문내용

이 들어서면서 노스페이스사는 매출과 수익이 늘어나는가 싶었으나 93년 모 회사인 OHI가 파산하면서 다시 공매처분 신세로 전락.
90년대
1994년 불과 6200만달러에 공매처분된 노스페이스사는 J.H.휘트니&컴퍼니사 등의 세개 그룹 공동경영으로 넘어갔다.
노스페이스사는 캐주얼 의류를 생산하고 차별화된 디자인과 공격적인 시장진출로 회사주가가 오르는 등 한때 사세가 커지는 듯했다. 하지만 이것도 잠시였다.
90년대 후반
97년, 98년 매출과 수입을 부풀리는 대규모 회계부정을 저질렀다. 주가는 폭락했고, 주주의 소송으로 회사는 파산에 직면.
결국 2000년 노스페이스사는 5년 전 인수가격의 절반도 안 되는 2400만달러에 VF코퍼레이션으로 넘어갔다. VF코퍼레이션은 청바지 Lee를 생산하는 미국 최대 의류회사의 하나로 이후 노스페이스는 정상 경영을 하고 있다.
◎노스페이스의 촉진전략
1)노스페이스의 주요 촉진전략
- 브랜드 정신 ‘Never Stop Exploring\'
골드윈코리아(대표 성기학)의 ‘노스페이스’는 런칭 초기 아웃도어 시장 미성숙 상황 속에서 끊임없는 제품 개발을 통해 기능성 제품이란 개념을 확립하는 등 현재 활성화된 아웃도어 시장을 정립하는 초석을 마련했다. 런칭 이후 3~4년간은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그 후 1~2년만에 외부적인 시장 여건과 소비자의 기능성에 대한 인식변화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면서 급성장했다. 97년 런칭 후 2003년 업계 최초로 1,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데 이어 2008년 3,000천억대의 메머드급 브랜드로의 준비에 한창이다.
이처럼 단 기간에 시장에 안착할 수 있었던 것은 ‘never stop exploring(나은 내일을 위해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며, 도전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응원하기 위한)\' 이란 슬로건을 기본으로 지속적인 투자와 제품 개발이 밑거름이 되어 연령을 파괴한 폭넓은 고 기능성 제품 제안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브랜드 목표 ‘스포츠 시장과 함께 성장한다’
국내도 등산 인구 1000만 시대를 맞아 등산 뿐 아니라 다양한 아웃도어 라이프를 즐기는 레저활동 인구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등산, 여행, 캠핑, 트레일러닝, 스노우스포츠 등 아웃도어의 영역은 스포츠의 영역을 넘어 다변화 되고 있다. 실제로 등산복을 산에 갈 때만 입는 것이 아니라 일상복처럼 착용하는 트렌드가 급속히 번지면서 시장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등산, 레저 인구 확대에 따른 아웃도어시장의 급팽창 속에서 브랜드 비즈니스 모범답안으로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는 브랜드가 바로 ‘노스페이스’다. 런칭 당시 박영석, 엄용길, 박정헌, 한왕용, 김병준씨 등 국내 내로라하는 알파니스트의 지속적인 지원과 10여년간 산악인들의 해외 원정을 80회 넘게 지원해왔다. 전문 산악인들이 히말라야나 에베레스트 같은 고산에 오를 때 의류 제품뿐 아니라 텐트, 침낭 등 산악용품을 제공해왔다. 뿐만 아니라 국내 산악문화 발전과 아웃도어 문화 보급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제품 개발의 방향
‘노스페이스’는 30년 이상 등반 탐험가를 지원하면서 얻어진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문가와 일반인의 레저 활동에 도움을 주는 고기능 아웃도어를 표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같은 ‘노스페이스’ 정신을 기본으로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접목한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세계적으로 유명한 산악인과 탐험가들로부터 최고수준의 기술을 인정받아 왔으며 최고의 산악인, 탐험가들로 구성된 노스페이스 클라이밍팀의 현장경험에서 나오는 조언을 바탕으로한 기술개발은 등반가들에게 생명을 거는 장비가 될 수 있는 바탕이 됐다. 세계의 전문 등반가들이 필요로하는 제품 개발을 위해 최선의 방법을 도입하고 있는 것. 현장에서 경험을 토대로한 평가표, 유·무선을 통한 정보 전달 등의 제안이 연구개발팀을 통해 제품에 고스란히 전달되고 있다.
- 타깃의 변화 \"7세부터 70세까지 3代가 입는다\"
‘노스페이스‘는 특정 세대를 겨냥한 마케팅을 펴지 않는다. 모든 연령대를 다 고객으로 아우를 수 있다는 얘기다. 런칭 당시 아웃도어를 리드하던 브랜드가 40~50대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한 상품 개발에 나선 것과는 달리 특정 소구층을 배제한 것. 손주부터 할아버지까지,즉 7세 어린이부터 70세 노인까지 3대가 함께 입는 유일한 브랜드, 7살짜리 어린이는 노스페이스 로고 티셔츠를,10~20대는 바람막이 재킷과 배낭을,40~50대는 등산복을,60~70대는 모자와 등산화를 착용한다. 최근에는 10대부터 60대까지 아이템별로 세분화시켜 하이테크니컬 라인과 익스트림 라인을 주력으로 전개, 일반인들도 착용하고 즐겨 입는 대중적인 브랜드로 탈바꿈하고 있다.
- ‘건강’ 고려한 상품 개발 활발
‘노스페이스’ ‘라푸마’등 해외 유명 아웃도어 브랜드들이 지구 환경 보존과 에코 마케팅 수단으로 폴리에스터 원사 및 원단을 재활용한 원사를 상품화한 리사이클 제품을 국내에 선보이기 시작했다. ‘노스페이스’는 친환경 인증인 블루사인을 획득한 쉘러의 ‘콜드블랙’, 하이벤트 소재 등을 사용한 제품을 출시했고 대나무, 콩 등 자연 친화적 소재의 사용량을 늘렸다. 또한 추동시즌 효성이 개발한 리사이클 섬유 ‘리젠’을 사용한 팬츠를 출시했다.
Ⅲ. 경영목표
1. 트렉스타 경영철학
(주)트렉스타는 급변하는 세계질서 속에서 세계 초우량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창업이래 지속지켜온 정직, 열성, 봉사의 경영 이념을 보완해 Only One, Number One이라는 신경영 이념을 바탕으로 고객 만족을 통한 인류봉사,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미래창조, 가족사 모두의 자아실현을 목표로 새로운 경영이념으로 정립해왔다. 또 최고의 상품, 보다 편안한 상품의 개발을 통해 고객의 가치를 창조하고 끊임없는 통해 고객 감동을 실현하는 기업, 고객의 건강 증진과 수명연장의 꿈을 이루는 기업, 최고의 인재에 대한 최고의 대우를 통해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구성원 개개인의 능력 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주)트렉스타가 추구하는 모든 가치경영혁신을 를 실현하는 기업으로 성장해왔다. 변화하는 정세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하고 탄력
  • 가격3,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5.22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8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