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훈민정음의 기원
Ⅲ.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Ⅳ. 훈민정음의 초중종성 체계
(1) 초성의 체계
(2) 중성의 체계
(3) 종성의 체계
Ⅴ. 맺음말
Ⅱ. 훈민정음의 기원
Ⅲ.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Ⅳ. 훈민정음의 초중종성 체계
(1) 초성의 체계
(2) 중성의 체계
(3) 종성의 체계
Ⅴ. 맺음말
본문내용
용인된다면 지난 달 몇몇 학자들에 의하여 제창되었던 파스파자 기원설은 전혀 근거없는 이론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의 생각으로는 훈민정음은 처음 기본 다섯자의 자형을 생각할 때 파스파자의 자모도에 따라 위와 같은 대조에 의해서 \'ㄱ ㄷ ㅂ ㅈ \'의 다섯자를 만들게 되었던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것이다. 이 이론은 동시에 범자기원설이나 지벧자 기원설과도 관련성을 가진다. 왜냐하면 파스파자는 전혀 독창적인 창작이 아니라, 지벧자를 개량해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그 지형은 지벧자와 유사하며, 지벧자는 또한 범자에 기원한다. 그러므로 훈민정음의 기원설에 범자 기원설, 지벧자 기원설, 파스파자 기원설을 낳게 할 수 있는 충분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훈민정음의 기원에 대하여 모든 근거를 총괄적으로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기본자의 형성 파스파자의 영향
(2) 자류체계의 형성송대 운학의 이론
(3) 자형의 구성한자의 육서법, 역학의 원리
(4) 자형의 모양한자의 전자법
(5) 문자에 대한 언어학적 이론송원명의 언어이론과 성리학
훈민정음은 실로 위와 같은 다각적인 기원을 가진 것이다. 그러므로 어느 한편의 기원설을 주창하는 것은 무리한 일이다. 이러한 모든 이론을 총합해서 그 속에서 독자적인 새로운 이론을 창안해낸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Ⅲ.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기본자로서 초성 5자와 중성 3자가 먼저 만들어진 다음에 그것을 기본으로 하여 나머지 글자가 만들어졌다. 안병희,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초성 5자는 다음과 같이 본떠서 만들었다.
어금니 소리 글자의 기본글자 \'ㄱ\'은 이것을 발음할 때 혀가 위 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뜬 것이다.
입술 소리글자의 기본글자 \'ㅁ\'은 이것을 발음할 때의 입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이 소리글자의 기본글자 \'ㅅ\'은 이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목구멍 소리글자의 기본글자 \'ㅇ\'은 목구명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자들은 이렇게 해당 어음 부류의 기본글자를 그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다음에 그게 토대하여 해당부류의 나머지 글자들을 만들었다.
어금니 소리이며 거센소리인 \'ㅋ\'은 \'ㄱ\'에 비해 소리가 거세다. 따라서 획을 하나 더했다.
혀소리 \'ㄷ\'은 \'ㄴ\'보다 세다. 따라서 획을 하나 더했다.
혀소리이며 거센소리인 \'ㅌ\'은 \'ㄷ\'보다 거세므로 \'ㄷ\'에 획을 하나 더했다.
\'ㅁ\'에서 \'ㅂ\', \'ㅂ\'에서 \'ㅍ\', \'ㅅ\'에서 \'ㅈ\', \'ㅈ\'에서 \'ㅊ\', \'ㅇ\'에서 \' \', \' \'에서 \'ㅎ\'로 되어 획을 하나씩 더한 것은 다 이와 같다.
된소리글자에 대해서는 획을 더하지 않고 같은 글자를 반복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이것은 된소리가 이루어지는 어음론적 특성을 거기에 그대로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반혀소리 글자 \'ㄹ\'은 이것을 발음할 때 혀가 말리는 모양을 본떴으며 반이소리글자 \' \'는 이것을 발음할 때의 특성에 맞게 이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자들은 모음자를 만드는데 있어서도 그 형상에 기초를 두었다. 그러나 모음자의 제자에서는 그 형상에 기초를 두면서
훈민정음의 기원에 대하여 모든 근거를 총괄적으로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기본자의 형성 파스파자의 영향
(2) 자류체계의 형성송대 운학의 이론
(3) 자형의 구성한자의 육서법, 역학의 원리
(4) 자형의 모양한자의 전자법
(5) 문자에 대한 언어학적 이론송원명의 언어이론과 성리학
훈민정음은 실로 위와 같은 다각적인 기원을 가진 것이다. 그러므로 어느 한편의 기원설을 주창하는 것은 무리한 일이다. 이러한 모든 이론을 총합해서 그 속에서 독자적인 새로운 이론을 창안해낸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Ⅲ.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기본자로서 초성 5자와 중성 3자가 먼저 만들어진 다음에 그것을 기본으로 하여 나머지 글자가 만들어졌다. 안병희,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초성 5자는 다음과 같이 본떠서 만들었다.
어금니 소리 글자의 기본글자 \'ㄱ\'은 이것을 발음할 때 혀가 위 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뜬 것이다.
입술 소리글자의 기본글자 \'ㅁ\'은 이것을 발음할 때의 입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이 소리글자의 기본글자 \'ㅅ\'은 이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목구멍 소리글자의 기본글자 \'ㅇ\'은 목구명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자들은 이렇게 해당 어음 부류의 기본글자를 그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다음에 그게 토대하여 해당부류의 나머지 글자들을 만들었다.
어금니 소리이며 거센소리인 \'ㅋ\'은 \'ㄱ\'에 비해 소리가 거세다. 따라서 획을 하나 더했다.
혀소리 \'ㄷ\'은 \'ㄴ\'보다 세다. 따라서 획을 하나 더했다.
혀소리이며 거센소리인 \'ㅌ\'은 \'ㄷ\'보다 거세므로 \'ㄷ\'에 획을 하나 더했다.
\'ㅁ\'에서 \'ㅂ\', \'ㅂ\'에서 \'ㅍ\', \'ㅅ\'에서 \'ㅈ\', \'ㅈ\'에서 \'ㅊ\', \'ㅇ\'에서 \' \', \' \'에서 \'ㅎ\'로 되어 획을 하나씩 더한 것은 다 이와 같다.
된소리글자에 대해서는 획을 더하지 않고 같은 글자를 반복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이것은 된소리가 이루어지는 어음론적 특성을 거기에 그대로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반혀소리 글자 \'ㄹ\'은 이것을 발음할 때 혀가 말리는 모양을 본떴으며 반이소리글자 \' \'는 이것을 발음할 때의 특성에 맞게 이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자들은 모음자를 만드는데 있어서도 그 형상에 기초를 두었다. 그러나 모음자의 제자에서는 그 형상에 기초를 두면서
추천자료
훈민정음의 새안목
아래아의 소실과 모음조화의 파괴
소쉬르의 언어학과 이원적 대립
음운론 - 아래아의 소실과 모음조화의 붕괴
한글창제, 무엇 때문이었을까
고려시대 순경음 비읍(ㅸ)의 존재 여부
한글맞춤법원리
한글의 과학적 생성원리와 역사
[방통대 전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하시오.
(언어의이해 A) 한글의 창제에 원리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오
[방통대 중어중문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
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의 체계를 설명하고 이중에서 다른 언어를 모국어를 가지...
한국어 음운론)훈민정음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