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론 - 아래아의 소실과 모음조화의 붕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운론 - 아래아의 소실과 모음조화의 붕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ㆍ’의 소실
2) 모음조화의 붕괴

3. 결론

본문내용

원순모음이 있을 때는 반드시 원순모음만이 따르며 비원순모음 뒤에는 비원순모음이 따르는 현상이다. 우리나라의 모음체계에서는, 중세국어에서는 비교적 규칙적으로 나타났는데,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중성모음(ㅣ)은 양쪽에 잘 어울렸다. 그러나 현대국어에서는 많이 깨져서 다음의 경우에 모음조화 현상이 나타난다.
① 상징어 : 퐁당퐁당―풍덩풍덩(의성어), 찰랑찰랑―철렁철렁(의태어)
② 강조어 : 파랗다―퍼렇다
③ 어간+시제보조어간(았―었) : 보았다―부었다
④ 어간+어미(아―어) : 잡아―접어, 날아라―널어라
하지만 이와는 다르게 중세국어에서의 양성계열 모음이 음성계열의 모음으로 바뀌고, 양성모음에도 음성모음이 어울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렇다면 먼저 중세국어의 모음조화의 모습을 살펴보겠다.
모음조화는 중세국어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지만 이 시기에 그 규칙이 특히 잘 지켜졌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중세국어의 모음조화는 모음이 다음과 같은 세 계열로 나뉘어 양모음은 양모음끼리, 음모음은 음모음끼리 결합하는 규칙으로 이루어졌다. 이 때 중성모음은 어느 쪽 모음과도 결합될 수 있었다.
양모음 ㆍ ㅗ ㅏ (ㅛ ㅑ ㆎ ㅚ ㅐ)
음모음 ㅡ ㅜ ㅓ (ㅠ ㅕ ㅢ ㅝ ㅔ)
중성모음 ㅣ
이 규칙은 한 단어 안에서도 나타나고 명사와 조사, 또는 어간과 어미, 어기와 접미사 사이에서도 나타나 그 적용 범위가 상당히 넓었다. 먼저 한 단어 안에서의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ㄱ. 양모음 + 양모음 : , , 나모, 다, 아, 가마괴, 다-, 다(盡), 보-
ㄴ. 음모음 + 음모음 : 거우루, 구룸, 굴헝, 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9.13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