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ㆍ’의 소실
2) 모음조화의 붕괴
3. 결론
2. 본 론
1) ‘ㆍ’의 소실
2) 모음조화의 붕괴
3. 결론
본문내용
원순모음이 있을 때는 반드시 원순모음만이 따르며 비원순모음 뒤에는 비원순모음이 따르는 현상이다. 우리나라의 모음체계에서는, 중세국어에서는 비교적 규칙적으로 나타났는데,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중성모음(ㅣ)은 양쪽에 잘 어울렸다. 그러나 현대국어에서는 많이 깨져서 다음의 경우에 모음조화 현상이 나타난다.
① 상징어 : 퐁당퐁당―풍덩풍덩(의성어), 찰랑찰랑―철렁철렁(의태어)
② 강조어 : 파랗다―퍼렇다
③ 어간+시제보조어간(았―었) : 보았다―부었다
④ 어간+어미(아―어) : 잡아―접어, 날아라―널어라
하지만 이와는 다르게 중세국어에서의 양성계열 모음이 음성계열의 모음으로 바뀌고, 양성모음에도 음성모음이 어울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렇다면 먼저 중세국어의 모음조화의 모습을 살펴보겠다.
모음조화는 중세국어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지만 이 시기에 그 규칙이 특히 잘 지켜졌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중세국어의 모음조화는 모음이 다음과 같은 세 계열로 나뉘어 양모음은 양모음끼리, 음모음은 음모음끼리 결합하는 규칙으로 이루어졌다. 이 때 중성모음은 어느 쪽 모음과도 결합될 수 있었다.
양모음 ㆍ ㅗ ㅏ (ㅛ ㅑ ㆎ ㅚ ㅐ)
음모음 ㅡ ㅜ ㅓ (ㅠ ㅕ ㅢ ㅝ ㅔ)
중성모음 ㅣ
이 규칙은 한 단어 안에서도 나타나고 명사와 조사, 또는 어간과 어미, 어기와 접미사 사이에서도 나타나 그 적용 범위가 상당히 넓었다. 먼저 한 단어 안에서의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ㄱ. 양모음 + 양모음 : , , 나모, 다, 아, 가마괴, 다-, 다(盡), 보-
ㄴ. 음모음 + 음모음 : 거우루, 구룸, 굴헝, 드
① 상징어 : 퐁당퐁당―풍덩풍덩(의성어), 찰랑찰랑―철렁철렁(의태어)
② 강조어 : 파랗다―퍼렇다
③ 어간+시제보조어간(았―었) : 보았다―부었다
④ 어간+어미(아―어) : 잡아―접어, 날아라―널어라
하지만 이와는 다르게 중세국어에서의 양성계열 모음이 음성계열의 모음으로 바뀌고, 양성모음에도 음성모음이 어울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렇다면 먼저 중세국어의 모음조화의 모습을 살펴보겠다.
모음조화는 중세국어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지만 이 시기에 그 규칙이 특히 잘 지켜졌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중세국어의 모음조화는 모음이 다음과 같은 세 계열로 나뉘어 양모음은 양모음끼리, 음모음은 음모음끼리 결합하는 규칙으로 이루어졌다. 이 때 중성모음은 어느 쪽 모음과도 결합될 수 있었다.
양모음 ㆍ ㅗ ㅏ (ㅛ ㅑ ㆎ ㅚ ㅐ)
음모음 ㅡ ㅜ ㅓ (ㅠ ㅕ ㅢ ㅝ ㅔ)
중성모음 ㅣ
이 규칙은 한 단어 안에서도 나타나고 명사와 조사, 또는 어간과 어미, 어기와 접미사 사이에서도 나타나 그 적용 범위가 상당히 넓었다. 먼저 한 단어 안에서의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ㄱ. 양모음 + 양모음 : , , 나모, 다, 아, 가마괴, 다-, 다(盡), 보-
ㄴ. 음모음 + 음모음 : 거우루, 구룸, 굴헝, 드
추천자료
비음화와 유음화의 적용 기제에 대하여
제주도 방언의 특징
한국어 변천사(구개음화)의 분석
소설 '태백산맥'에 나타난 전남 방언
MBC 100분 토론 text 분석
강원도 방언(사투리,지역어), 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
[국어 음절][짜임새][음절화][불절음층열][고대국어][중국어][음절구조]국어 음절의 짜임새, ...
자음동화의 제약과 방향 연구
음절의 특성과 음절 구조
음절의 특성과 음절 구조
국어의 평폐쇄음화 현상에 대하여
국어의 평폐쇄음화 현상에 대하여
경상도 방언에 대한 대중의 인식 - 경상도 방언의 특징과 대중 매체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구개음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