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본문
2.1 훈민정음의 기원문제
2.2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2.3 훈민정음의 초ㆍ중ㆍ종성 체계
3. 맺음말
2. 본문
2.1 훈민정음의 기원문제
2.2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2.3 훈민정음의 초ㆍ중ㆍ종성 체계
3. 맺음말
본문내용
일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자모로 된 초성의 체계는 동국 정운식 한자음의 체계를 바탕으로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동국정운의 한자음은 중국식 발음을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니고, 우리나라의 음운으로 대용된 한자음을 근거로 해서 책정한 것이기 때문에 개개의 자음이 보여주는 음운은 국어의 음운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 23자로 되어있는 것이 약간의 문제가 있는데, 먼저 훈민정음의 본문에는 초성을 17자라 한 것이다. 23자모에서 17자를 감하면 전탁(全濁)의 6자만 남는데 이 계열을 운학에서만 전탁음이라 부르며, 제자에서는 따로 독자적인 자형을 만들지 않고, 전청자를 병서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한자음에는 운학에서 말하는 전탁음이 전부 전청음으로 바뀌어 독립된 음운으로 잡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아마도 처음에는 17음만을 제자의 기준으로 삼았을 것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그 뒤에 이것을 운학의 원리에 따라 청탁의 체계를 바로 잡자면 전탁음을 추가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여기에서 동국정음식 한자음의 인위성이 나타난 것이라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초성의 기본 체계는 어디까지나 우리나라의 한자음을 운학의 체계에 알맞게 안배해서 책정된 것임을 알게 되는 것이다.
방법 위치
牙音
舌音
脣音
齒音
喉音
半舌音
半齒音
전청(全淸)
ㄱ
ㄷ
ㅂ
ㅈ
ㅅ
차청(次淸)
ㅋ
ㅌ
ㅍ
ㅊ
ㅎ
不淸不濁
ㄴ
ㅁ
ㅇ
ㄹ
☆ 초성체계 : 17초성 체계
☆ 동국정운의 초성체계
- 훈민정음의 초성체계(17자모) + 전탁자(全濁 6字 : ㄲ, ㄸ, ㅃ, ㅉ, ㅆ, )
*
- 고유어 : 어미 -ㄹ 아래에서만 사용됨(세조대 문헌까지, 것, 건너제)
- 주로 한자음 표기에만 사용됨
- 한자음에서 사잇소리로 사용됨(先考, 快字)
*
- 15세기 중엽의 문헌에서는 초성과 종성에서 모두 사용됨
- 15세기말부터 사라지기 시작하여 16세기에는 종성으로 고착화됨
☆ 병서(竝書)
* 각자병서(各字竝書)
◎ 초성 각자병서> : ㄲ, ㄸ, ㅃ, ㅉ, ㅆ, (全濁 6字)
- 주로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 사용됨.
- ㅆ, 은 순수 국어의 초성 표기에 사용됨.(쓰다(書), 쏘다(射), 다(引)
- 각자병서는 대부분 고유어의 표기에서는 어미 -ㄹ 아래에서 사용됨.
◎ ‘’는 어중음 표기에만 사용됨.
- 괴여, 괴
◎
- 어중음의 표기에 사용되었음.
- 형태음소론적 표기에 지나지 않음.
◎ 각자병서는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 이후 전면적으로 폐지되었음.
◎ 16세기에 어두 위치에서 ‘ㅆ’은 부활됨.
* 합용병서(合用竝書)
◎ ㅅ계 합용병서, ㅂ계 합용병서, 계 합용병서
◎ 합용병서는 된소리 및 어두 자음군의 표기였음.
☆ 연서(連書)
- 문자를 위아래로 조합하는 방법이었음.(, , , )
- 고유어의 표기에 이용된 것은 뿐임.
3) 훈민정음 중성체계
훈민정음 중성체계는 『훈민정음해례』의 제자해 중에서 중성해에 기록되어 있다. 중성해는 음운자질에 대한 설명과 제자순서, 상형의 내용을 중심으로 담고 있다.
중성은 초성과는 달리 특유의 음운자질을 가지고 있다. 설/불축(舌/不縮), 성심/천(聲深/淺), 구축/장(口縮/張), 음양(陰陽), 합벽(闔闢)이 바로 그것이다. 설/불축 은 조음위치상 혀의 모양에 대하여 오그라지는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설축은 혓바닥이 뒤로 오그라진 모양, 설불축은 그와 반대로 혓바닥이 앞으로 퍼진 모양, 설소축은 그 중간으로 해석하였다. 따라서 축(ㆍ, ㅗ, ㅏ)은 후설, 소축(ㅡ, ㅜ, ㅓ)은 중설, 불축(ㅣ)은 전설로 볼 수 있다.
성심/천 에 대한 것은 청각적 자질의 음감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기류의 흐름과 장애에 따라 소리의 깊고 어두움, 얕고 밝음에 대한 인상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성심은 소리의 깊음, 성불심불천은 소리의 깊지도 얕지도 않음, 성천은 소리의 얕음으로 해석하였다.
구축/장 에 대한 개념은 상대적 원순성을 가진 것과 개구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또 다른 자질인 합벽과 연결되는 것이다. 합벽 은 구축/장과 동일한 의미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중국 성운학의 합구음(合口音)이나 개구음(開口音)와 비슷하다 할 수 있지만 그 자체가 아니라 국어에서 원순성과 개구도를 표상한 자질로 구축/장과 동일한 의미에서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음양은 상합의 원리에 의하여 구축되는데 양성모음은 설축의 자질을 지니고, 음성모음은 설소축의 자질을 지니게 된다. 이는 모음조화 현상을 근거로 설정된 것을 바탕으로 하여 음양에 의한 중성 분류가 이루어 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즉 음양은 조음 음성학적 자질인 설축을 기반으로 한 기술 체계에 이차적으로 성리학적 이론을 접목시킨 잉여적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음운 자질을 종합해 보면 독창적 음운 자질인 설/불축, 구축/장이 있으며 중국 성운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성심/천, 음/양, 합/벽으로 구분된다. 이들 분류자질은 다시 철학적 관점에서는 음/양을 음성학적 관점에서는 조음 음성학적 관점으로 설/불축, 구축/장, 합/벽과 청취 음성학적 관점인 성심/천으로 나뉜다고 하겠다.
☆ 해례편 기술 : 中聲者 居字韻之中合初終而成音
- 음절 형성에서 중성의 중요성에 대한 기술이며, 훈민정음의 독자적 기술임.
☆ 제자 근거 및 과정
- 기본자 : 동양 철학상의 三才(天地人)를 상형.
- 기본자를 바탕으로 합성하여 초출자, 재출자를 만듬.
☆ 중성체계
- 11중성체계( , ㅡ, ㅣ, ㅏ, ㅗ, ㅓ, ㅜ, ㅑ, ㅛ, ㅕ, ㅠ)
- 중성체계는 현대음성학적으로 볼 때 모두 동질성을 갖는 것은 아님.
4) 훈민정음 종성체계
☆ 제자해 : 終聲復用初聲
- 종성에 관한 표기법적 규정이 아님.
- 종성의 경우, 문자를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의 문자를 그대로 사용한다는 의미임.
☆ 종성에 사용할 문자 규정
* 해례편 종성해(終聲解)에 규정되어 있음.
- 8終聲可足用 : ㄱ,,ㄷ,ㄴ,ㅂ,ㅁ,ㅅ,ㄹ 八字可足用也
- 실제 표기에서는 도 종성으로 사용됨.
- 종성합용병서 : \'ㅧ, ㄺ, ㄻ, ㄼ, ㅭ\'
- 8종성 규정은 15세기의 문헌 중에서 용비어천가(곶, 깊고, 높고, 좇거늘, 빛 등)와 월인천강지곡(곶, 낱, 붚, ,
동국정운의 한자음은 중국식 발음을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니고, 우리나라의 음운으로 대용된 한자음을 근거로 해서 책정한 것이기 때문에 개개의 자음이 보여주는 음운은 국어의 음운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 23자로 되어있는 것이 약간의 문제가 있는데, 먼저 훈민정음의 본문에는 초성을 17자라 한 것이다. 23자모에서 17자를 감하면 전탁(全濁)의 6자만 남는데 이 계열을 운학에서만 전탁음이라 부르며, 제자에서는 따로 독자적인 자형을 만들지 않고, 전청자를 병서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한자음에는 운학에서 말하는 전탁음이 전부 전청음으로 바뀌어 독립된 음운으로 잡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아마도 처음에는 17음만을 제자의 기준으로 삼았을 것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그 뒤에 이것을 운학의 원리에 따라 청탁의 체계를 바로 잡자면 전탁음을 추가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여기에서 동국정음식 한자음의 인위성이 나타난 것이라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초성의 기본 체계는 어디까지나 우리나라의 한자음을 운학의 체계에 알맞게 안배해서 책정된 것임을 알게 되는 것이다.
방법 위치
牙音
舌音
脣音
齒音
喉音
半舌音
半齒音
전청(全淸)
ㄱ
ㄷ
ㅂ
ㅈ
ㅅ
차청(次淸)
ㅋ
ㅌ
ㅍ
ㅊ
ㅎ
不淸不濁
ㄴ
ㅁ
ㅇ
ㄹ
☆ 초성체계 : 17초성 체계
☆ 동국정운의 초성체계
- 훈민정음의 초성체계(17자모) + 전탁자(全濁 6字 : ㄲ, ㄸ, ㅃ, ㅉ, ㅆ, )
*
- 고유어 : 어미 -ㄹ 아래에서만 사용됨(세조대 문헌까지, 것, 건너제)
- 주로 한자음 표기에만 사용됨
- 한자음에서 사잇소리로 사용됨(先考, 快字)
*
- 15세기 중엽의 문헌에서는 초성과 종성에서 모두 사용됨
- 15세기말부터 사라지기 시작하여 16세기에는 종성으로 고착화됨
☆ 병서(竝書)
* 각자병서(各字竝書)
◎ 초성 각자병서> : ㄲ, ㄸ, ㅃ, ㅉ, ㅆ, (全濁 6字)
- 주로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 사용됨.
- ㅆ, 은 순수 국어의 초성 표기에 사용됨.(쓰다(書), 쏘다(射), 다(引)
- 각자병서는 대부분 고유어의 표기에서는 어미 -ㄹ 아래에서 사용됨.
◎ ‘’는 어중음 표기에만 사용됨.
- 괴여, 괴
◎
- 어중음의 표기에 사용되었음.
- 형태음소론적 표기에 지나지 않음.
◎ 각자병서는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 이후 전면적으로 폐지되었음.
◎ 16세기에 어두 위치에서 ‘ㅆ’은 부활됨.
* 합용병서(合用竝書)
◎ ㅅ계 합용병서, ㅂ계 합용병서, 계 합용병서
◎ 합용병서는 된소리 및 어두 자음군의 표기였음.
☆ 연서(連書)
- 문자를 위아래로 조합하는 방법이었음.(, , , )
- 고유어의 표기에 이용된 것은 뿐임.
3) 훈민정음 중성체계
훈민정음 중성체계는 『훈민정음해례』의 제자해 중에서 중성해에 기록되어 있다. 중성해는 음운자질에 대한 설명과 제자순서, 상형의 내용을 중심으로 담고 있다.
중성은 초성과는 달리 특유의 음운자질을 가지고 있다. 설/불축(舌/不縮), 성심/천(聲深/淺), 구축/장(口縮/張), 음양(陰陽), 합벽(闔闢)이 바로 그것이다. 설/불축 은 조음위치상 혀의 모양에 대하여 오그라지는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설축은 혓바닥이 뒤로 오그라진 모양, 설불축은 그와 반대로 혓바닥이 앞으로 퍼진 모양, 설소축은 그 중간으로 해석하였다. 따라서 축(ㆍ, ㅗ, ㅏ)은 후설, 소축(ㅡ, ㅜ, ㅓ)은 중설, 불축(ㅣ)은 전설로 볼 수 있다.
성심/천 에 대한 것은 청각적 자질의 음감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기류의 흐름과 장애에 따라 소리의 깊고 어두움, 얕고 밝음에 대한 인상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성심은 소리의 깊음, 성불심불천은 소리의 깊지도 얕지도 않음, 성천은 소리의 얕음으로 해석하였다.
구축/장 에 대한 개념은 상대적 원순성을 가진 것과 개구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또 다른 자질인 합벽과 연결되는 것이다. 합벽 은 구축/장과 동일한 의미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중국 성운학의 합구음(合口音)이나 개구음(開口音)와 비슷하다 할 수 있지만 그 자체가 아니라 국어에서 원순성과 개구도를 표상한 자질로 구축/장과 동일한 의미에서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음양은 상합의 원리에 의하여 구축되는데 양성모음은 설축의 자질을 지니고, 음성모음은 설소축의 자질을 지니게 된다. 이는 모음조화 현상을 근거로 설정된 것을 바탕으로 하여 음양에 의한 중성 분류가 이루어 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즉 음양은 조음 음성학적 자질인 설축을 기반으로 한 기술 체계에 이차적으로 성리학적 이론을 접목시킨 잉여적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음운 자질을 종합해 보면 독창적 음운 자질인 설/불축, 구축/장이 있으며 중국 성운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성심/천, 음/양, 합/벽으로 구분된다. 이들 분류자질은 다시 철학적 관점에서는 음/양을 음성학적 관점에서는 조음 음성학적 관점으로 설/불축, 구축/장, 합/벽과 청취 음성학적 관점인 성심/천으로 나뉜다고 하겠다.
☆ 해례편 기술 : 中聲者 居字韻之中合初終而成音
- 음절 형성에서 중성의 중요성에 대한 기술이며, 훈민정음의 독자적 기술임.
☆ 제자 근거 및 과정
- 기본자 : 동양 철학상의 三才(天地人)를 상형.
- 기본자를 바탕으로 합성하여 초출자, 재출자를 만듬.
☆ 중성체계
- 11중성체계( , ㅡ, ㅣ, ㅏ, ㅗ, ㅓ, ㅜ, ㅑ, ㅛ, ㅕ, ㅠ)
- 중성체계는 현대음성학적으로 볼 때 모두 동질성을 갖는 것은 아님.
4) 훈민정음 종성체계
☆ 제자해 : 終聲復用初聲
- 종성에 관한 표기법적 규정이 아님.
- 종성의 경우, 문자를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의 문자를 그대로 사용한다는 의미임.
☆ 종성에 사용할 문자 규정
* 해례편 종성해(終聲解)에 규정되어 있음.
- 8終聲可足用 : ㄱ,,ㄷ,ㄴ,ㅂ,ㅁ,ㅅ,ㄹ 八字可足用也
- 실제 표기에서는 도 종성으로 사용됨.
- 종성합용병서 : \'ㅧ, ㄺ, ㄻ, ㄼ, ㅭ\'
- 8종성 규정은 15세기의 문헌 중에서 용비어천가(곶, 깊고, 높고, 좇거늘, 빛 등)와 월인천강지곡(곶, 낱, 붚, ,
추천자료
훈민정음의 새안목
아래아의 소실과 모음조화의 파괴
소쉬르의 언어학과 이원적 대립
음운론 - 아래아의 소실과 모음조화의 붕괴
한글창제, 무엇 때문이었을까
고려시대 순경음 비읍(ㅸ)의 존재 여부
한글맞춤법원리
한글의 과학적 생성원리와 역사
[방통대 전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하시오.
(언어의이해 A) 한글의 창제에 원리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오
[방통대 중어중문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
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의 체계를 설명하고 이중에서 다른 언어를 모국어를 가지...
한국어 음운론)훈민정음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