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휴전을 둘러싼 한미관계
■ 아이젠하워 정부의 한국정책
2. 한국전 이후 쟁점과 제네바회담
■ 아이젠하워 정부의 한국정책
2. 한국전 이후 쟁점과 제네바회담
본문내용
되는 계기로 보고 있음
o 공산측은 전한위원회(all-Korea Committee)를 설치하고 전국에 걸친 선거 통해 정부수립하고 모든 외국군 군대의 6개월 내 철수→남북 대표들이 임시정부 구성하고 외국의 간섭없이 선거를 치루는 것으로 UN이 한국문제 해결에 역할이 없는 상태를 말함
o 5대 강대국(미영중소불)이 인도차이나 문제에 집중하는 동안 한국대표단의 변영태 외무장관은 14개항의 새로운 제안: 6개월 이내 UN감시하 총선거 실시, 선거 1개월 이전까지 중공군 완전철수, UN군 단계적 철수는 선거이전부터 시행되지만 한반도의 효과적 통제가 통일정부에 의해 완수되고 UN에 의해 인정되기까지 완전철수는 보류, 선거전 남한헌법이 바뀌지 않는 한 남북동시선거는 안함→한국측 초안에 대해 이승만이 미국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내용으로 지시할 가능성을 우려하여 변영태 제안을 수용
o 자유진영은 회담 종결로 선회: UN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공산측 태도와 회담이 계속될 경우 말의 성찬과 자유진영 내부의 이견과 공산측의 선전장으로 변화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
o 회담이 실패로 끝난 후 미국정부는 이승만이 강조해온 통일을 위한 일방적 군사행동을 감행하지 않을까 고민에 빠짐→위협적 조치를 차단하기 위해 미국방문 초청. 처음 거절하다가 받아들이는데 방문의 필요성 때문
- 아시아에서의 반공동맹체 추진: 공산세력 대항을 직접적 미군개입 대신 미국 군사장비로 무장한 아시아 병력으로 방어하고자 하는 미국의 아시아 군사전략과도 깊은 상관성
- 인도차이나 상황의 악화와 프랑스 군사외교능력 몰락, 아시아에서 냉전체제 완화를 추구하는 영국 영향력으로 미국의 공산주의 정책이 유연해졌다고 판단하여 정책전환 의도에서 1954.7.26 미국방문
o 정상회담에서 이미 미군 2개 사단 철수가 이뤄진 상태에서 1954년 말까지 4개 사단 추가 철수를 통보받는데 귀국 후 철수와 관련한 반미 캠페인 전개
- 미국은 이승만의 비타협적 태도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모든 경제원조 중단, 공식적 외교관계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의 최소한의 접촉만 유지, 군사원조 최소화, 이승만의 정치적 적뿐만 아니라 친미적 한국군 장성을 통한 압력행사 등을 추진하려 함→이승만은 충돌을 원치않음에 따라 그의 입장을 바꿈. 그럼에도 북한에 대한 군사적 조치를 하지 않겠다는 공식화된 합의서를 얻을 수 없었음→이것이 차후 미국과의 협상카드로 활용하는 주요 수단이기에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음
o 공산측은 전한위원회(all-Korea Committee)를 설치하고 전국에 걸친 선거 통해 정부수립하고 모든 외국군 군대의 6개월 내 철수→남북 대표들이 임시정부 구성하고 외국의 간섭없이 선거를 치루는 것으로 UN이 한국문제 해결에 역할이 없는 상태를 말함
o 5대 강대국(미영중소불)이 인도차이나 문제에 집중하는 동안 한국대표단의 변영태 외무장관은 14개항의 새로운 제안: 6개월 이내 UN감시하 총선거 실시, 선거 1개월 이전까지 중공군 완전철수, UN군 단계적 철수는 선거이전부터 시행되지만 한반도의 효과적 통제가 통일정부에 의해 완수되고 UN에 의해 인정되기까지 완전철수는 보류, 선거전 남한헌법이 바뀌지 않는 한 남북동시선거는 안함→한국측 초안에 대해 이승만이 미국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내용으로 지시할 가능성을 우려하여 변영태 제안을 수용
o 자유진영은 회담 종결로 선회: UN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공산측 태도와 회담이 계속될 경우 말의 성찬과 자유진영 내부의 이견과 공산측의 선전장으로 변화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
o 회담이 실패로 끝난 후 미국정부는 이승만이 강조해온 통일을 위한 일방적 군사행동을 감행하지 않을까 고민에 빠짐→위협적 조치를 차단하기 위해 미국방문 초청. 처음 거절하다가 받아들이는데 방문의 필요성 때문
- 아시아에서의 반공동맹체 추진: 공산세력 대항을 직접적 미군개입 대신 미국 군사장비로 무장한 아시아 병력으로 방어하고자 하는 미국의 아시아 군사전략과도 깊은 상관성
- 인도차이나 상황의 악화와 프랑스 군사외교능력 몰락, 아시아에서 냉전체제 완화를 추구하는 영국 영향력으로 미국의 공산주의 정책이 유연해졌다고 판단하여 정책전환 의도에서 1954.7.26 미국방문
o 정상회담에서 이미 미군 2개 사단 철수가 이뤄진 상태에서 1954년 말까지 4개 사단 추가 철수를 통보받는데 귀국 후 철수와 관련한 반미 캠페인 전개
- 미국은 이승만의 비타협적 태도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모든 경제원조 중단, 공식적 외교관계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의 최소한의 접촉만 유지, 군사원조 최소화, 이승만의 정치적 적뿐만 아니라 친미적 한국군 장성을 통한 압력행사 등을 추진하려 함→이승만은 충돌을 원치않음에 따라 그의 입장을 바꿈. 그럼에도 북한에 대한 군사적 조치를 하지 않겠다는 공식화된 합의서를 얻을 수 없었음→이것이 차후 미국과의 협상카드로 활용하는 주요 수단이기에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음
추천자료
미군시설과 기지의 사용 문제와 개정방향
한반도 분단과 북한정권 수립
미국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가, 우리에게 중국은 어떤 가치를 갖는가
미대선 이후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
현 한국 무기 체계의 문제점(대미 편향적 무기 체계를 중심으로)
★ 우루과이 라운드 (UR) ★
주한미군 재배치와 전력발전
게임이론 - 한 미 협상(SOFA)게임을 통한 사례 분석
실용외교와 해외 자원개발
미국의 대한군사정책 및 대한경제정책
미국의 대한정책 (주한미군 감축, 베트남 파병, 이라크 파병, 북한 핵문제, 부시행정부 대북...
박정희정부(제3공화국, 박정희정권)의 경제성장, 박정희정부(제3공화국, 박정희정권)의 5 16...
노무현 정부의 외교정책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