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상원-모반 <학력평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상원-모반 <학력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1997년
2. 1998년
3. 1999년
4. 2000년
5. 2001년
6. 2002년
7. 2003년
8. 2004년
9. 2005년
10. 2006년
11. 2007년
12. 2008년

본문내용

다. 곤때가 약간 묻은 소녀의 분홍 적삼이.
나는 야릇한 호기심으로 자꾸 쳐다보지 않을 수 없었다. 밖에서 무엇인가 수런수런하는 기색이 들렸다. 노파의 은근한 웃음 섞인 소리도 들렸다. 괜찮다고 염려 말라는 말 같기도 했다. 그러더니 노파가 문을 열고 들어왔다. 밀국수도 촌에서는 별식이니 맛이 없어도 많이 먹어라느니 너스레를 놓더니, 슬쩍 적삼을 떼어 가지고 나가는 것이었다.
상을 내어 갈 때 노파 혼자 들어오고, 으레 따라올 소녀는 나타나지 아니했다. 적삼 들킨 것이 무안하고 부끄러웠던 것이다. 내가 올 때 아주머니는 오빠가 떠난다고 소녀를 불렀다. 그러나 소녀는 안방에 숨어서 나타나지 아니했다. 아주머니는 “갑자기 수줍어졌니, 얘도 새롭기는.”하며 미안한 듯 머뭇머뭇 기다렸으나 이내 소녀는 나오지 아니했다. 나올 때 뒤를 흘낏 훔쳐본 나는 숨어서 반쯤 내다보는 소녀의 뺨이 확실히 붉어 있음을 알았다. 그는 부끄러웠던 것이다.
<윤오영의 부끄러움 중에서>
<조건>
① 소설 (가)의 시대적 배경과 이 작품이 발
표된 시대의 특성을 연관시켜, 이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를 50년대 전후소설의 일반
적 성향과 대비하여 설명할 것 (400자 이
내)
② (가), (나)를 모두 민족문학의 자산으로 인
정한다면 (가)와 (나)의 민족 문학적 가치
는 어떻게 대비되는지 간략히 설명할 것
(200자 내외)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
1) 최인훈의 <광장>이 발표되던 시대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
2) 50년대 전후 소설의 일반적 성향에 대해 알아야 한다.
3) <광장>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알아야한다.
4) 최인훈 <광장>과 윤오영 <부끄러움>의 문학적 가치에 대해 알아야 한다.
-답안 작성 내용
1) 1960년대 시대의 특성
1960년대에 들어서 가장 중요한 문학적 변모는 1950년대의 순수 문학적 경향에 대한 반성과 함께 새로운 세계에 대한 인식이다. 6·25 전쟁의 상흔으로부터 어느 정도 시간적 거리를 갖게 되고, 자유당 정권의 부패에 따른 저항 의식 등이 휴머니즘을 기저로 하여 싹터 나오는 등, 그 동안 순수 문학이 유지해 온 문학의 독자성과 순수성을 유지하면서도 굳게 닫혔던 폐쇄적이고 도피적인 미학의 문을 열어 젖히고 현실 참여의 길을 열었다.
2) 1950년대 전후 소설의 일반적 성향
1950년대는 전쟁 체험과 전후 사회 현실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전쟁으로 인한 물질적 피해와 정신적 피해, 인간성 상실, 분단 현실의 아픔, 절망적인 시대 상황 등을 형상화한 작품들이 등장하였다.
3) <광장>의 문학사적 의의
<광장>은 6·25 전쟁 이후 냉전 시기의 북한 체제 비판 일변도의 문학에서 최초로 남과 북의 체제를 동시에 비판한 작품으로 두 체제에 대한 객관적 거리를 유지한 작품이다. 분단의 문제를 다루면서 남북 모두를 비판적으로 다룬 최초의 소설로서 당시 4·19 혁명과 맞물려 이데올로기나 체제 비판을 기저로 새로운 정신이 차원을 개척한 기념비적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4) 최인훈의 <광장>과 윤오영의 <부끄러움>의 문학적 가치
최인훈의 <광장>은 역사 의식에 기반한 민족문학으로서의 성과를 인정할 수 있고, 윤오영의 <부끄러움>은 우리 민족 전통적 정서인 ‘부끄러움’을 다룬 민족문학으로 평가할 수 있다.
(2) 작품 (가)를 제시된 <상황>에 맞도록 적용해 보시오. (6점)
<상황>
① “문학은 언어적 실천이다”라는 관점에서 작품(가)를 통해 고등학교 문학과목 교육과정 내용체계 중, ‘문학의 본질과 기능’ 영역을 가르치려 한다. 위의 관점에 부합하는 이 영역의 하위 내용 범주와 차하위 지도 내용 항목을 교육과정에 나타난 대로 밝힐 것
(1) 하위 범주 :
(2) 차하위 지도 내용 항목:
② 토론 활동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작품(가)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모색해 보도록 하려한다. 지문 (가) 부분에서의 인물을 중심으로 토론 주제 두 개를 제시할 것
토론 주제의 의문형 문장의 형식으로 진술한다.
두 개의 토론 주제는 서로 유기적 계열을 이루도록 한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
1) 교육과정의 내용
-답안 작성 내용
1) ‘문학의 본질과 기능’
‘문학의 본질과 기능’에서 문학 교육과정상의 하위 범주는 ①문학의 성격, ②문학의 갈래, ③문학의 수용과 가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을 ‘문학은 언어적 실천’이라는 입장에서 적용할 경우, ‘①문학의 성격’에서 ‘소설 언어의 사회성’에 대해 주목할 수 있다. ‘②문학의 갈래’에서는 ‘소설 갈래의 현실 수용 방법’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 또 , ‘③문학의 수용과 가치’에서는 <광장>이 창작된 시대적 배경과 작품에 반영된 역사와 현실에 대해 주목하고, <광장>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살펴본다.
2) 토론 활동 주제
-명준은 왜 중립국행을 선택했는가?
-명준의 중립국행은 올바른 것인가?
3. 1999년
8-(1) 다음은 蔡萬植의 단편소설 <논이야기>를 요약한 것이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소설에서 諷刺가 이루어지는 원리를 설명하고, 풍자가 소설 방법론의 하나인 리얼리즘과 어떻게 관련되는가 하는 점을, 제시한 <조건>에 맞게 서술하시오. (8점)
한 생원은 그의 아버지 대에 고을 원에 의해 묘하고도 악독한 방법으로 토지를 빼앗긴다. 동학당이라는 무고를 당하여 붙들려 들어가고 결국은 땅을 내놓고 풀려난다. 한일합방으로 나라가 망했을 때, “그깐놈의 나라 시원하게 망했지”라고 한 생원은 외쳤다.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었다. 일본 고리대금업자 吉川이란 자와 그 일당들에게 한 생원은 남은 땅마저 팔아 먹는다. 그것은 물론 합법적인 절차를 밟은 것이다.
그런데 한 생원은 그의 부친과는 달라 살림 규모가 없었다. 사람이 좀 허황하고 헤픈 편이었다. 부친 한태수가 죽고 대신 당가산(當家産)을 한 지 불과 오륙 년에 한덕문은 힘에 넘치는 빚을 졌다.
이 빚은 단순히 살림에 보태느라고만 진 빚은 아니었다. 한덕문은 허황하고 헤픈 값을 하느라고 술과 노름을 쏠쏠히 좋아하였다. 일 년 농사를 지어야 일 년 가계가 번연히 모자라는데, 거기다 술을 먹고 노름을 하니, 늘어가느니 빚밖에는 있을 것이 없었다.
해방이 되어 일본인이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2.06.06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16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