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본문내용
, 감염, 중독, 뇌혈관사고, 신생물에 의해 아직 미성숙한 뇌조직의 손상
3. 뇌성마비의 분류
(1) 신경운동학적 분류
┏① 경직형대뇌피질의 운동영역 손상이 주된 원인. 가장 많다(60~70%)
┃ 뇌간, 망상체 내에 있는 억제 및 촉진중추의 부조화.
┃ 무정위성보다 지능과 공간 상관관계의 인식장애가 크며,
┃ 간질이 3배 이상 발현
┣② 무정위형대뇌기저핵이나, 선조체 손상. 20~25%
┃ 목적이 없는 빠르거나 느린 운동의 패턴, 휴식시에
┃ 도 꿈틀꿈틀 움직이거나 움쭐하는 불수의적 운동이
┃ 일어나 마치 벌레가 기어가는 듯한 움직임
┣③ 실조형소뇌병변. 평형반응의 감소 결핍
┃ 수의적 운동은 비협조적, 느리며, 운동시 강력한 진전 발생
┣④ 진전형: 스스로 억제할 수 없는 불수의적이며 상반적인 운동┃ 이 규칙적인 리듬을 가지고 나타나는 것이 특징
┣⑤ 강직형: 운동을 하려고 할 때 주동근과 길항근 모두에 저항 증가
┃ 연관(lead pipes)과 톱니바퀴형
┗⑥ 혼합형
(2) 신경손상이 나타나는 지절별 분류
┏① Hemiplegia(편마비)같은 쪽 상하지. 경직형 & 무정위형
┣② Quadriplegia(사지마비)사지마비. 상지마비>하지마비
┣③ Diplegia(양측마비) 사지마비. 하지마비>상지마비
┣④ Triplegia(삼지마비) 삼비마비, 양쪽하지 + 한쪽 상지
┣⑤ Paraplegia(하반신마비)하지장애, 경직형
┗⑥ Monoplegia(단지마비)한쪽 사지
(3) 장애정도에 따른 분류┏① 경증(Mild)
┣② 중등도(Moderate)
┗③ 중증(Severe)
4) 보바스의 분류┏① 중증 경직형
┣② 중등도 경직형
┣③ 무정위형
┣④ 실조형
┣⑤ 이완형
┗⑥ 과운동형
15-2. 뇌성마비의 물리치료
1. 신경발달학적 치료(NDT)
2. Vojta의 방법
3. W.M. Phelps의 방법
4. Rood의 방법
5. Herman Kabat의 방법
6. Temple Fay의 방법
7. George Deaver의 방법
8. Pohl의 방법
제 16 장 뇌졸중의 물리치료
※┏Stroke : 시간적 24시간 후 순환계 결함의 결과로 인한 뇌혈관 사고
┗T I A : 시간적 24시간 미만, 일시적 허혈성 침범
16-1. 뇌의 해부학
1. 뇌의 혈액 순환계
1) 대뇌동맥
┏(1) 전대뇌동맥
┣(2) 중대뇌동맥
┃ 내경동맥의 종말지로서 대뇌 외측구를 후방으로 상행하여 ┃ 부근의 대뇌 외측피질의 대부분에 피질지를 보내며, 뇌저┃ 부에서 전유공질을 지나가는 선조체 및 내포의 대부분에 분포.
┃ 특히 선조체 및 내포에 분포하는 중심지가 대부분 뇌출혈을
┃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 뇌출혈 호발부위임
┣(3) 후대뇌동맥
┣(4) 전교통동맥
┗(5) 후교통동맥
2. 뇌졸중의 원인과 예후
※원인┏① 출혈
┗② 경색
※빈도┏① 우리나라: 출혈>경색
┗② 구 미: 출혈<경색
※예후┏① 뇌출혈에 의한 경우가 경색에 의한 경우보다 더 예후 나쁘다.
┣② 9% 완전회복
┣③ 73% 어떤 형태로든 장애가 남는다.
┗④ 18% 사망
3. 증상
※ 중대뇌동맥의 증상┏① 손상된 뇌의 반대쪽에 편마비
┣② 침범: 얼굴과 상지 > 하지
┣③ 의식운동성 실행증
┣④ 동측성 반맹증
┗⑦ 실독증
4. 뇌졸중에서 동반되는 일반적인 문제점
1) 인지 능력의 장애
2) 근 긴장도의 변화
상지
편마비에서 나타나는 공동운동패턴
굴곡운동패턴
신전운동패턴
견갑대┏거상
┗후축(retraction)
견관절┏괴신전
┣외전
┗외회선
주관절 굴곡
전 완 회외선
견갑대 전축(protraction)
견관절┏내전
┗내회선
주관절 신전
전 완 회내선
수부
수근관절┏굴곡
┗혹은 신전
곡 및 내전
수지-굴 및 내전
무지-굴곡 및 내전
하지
고관절┏굴곡
┣외전
┗외회선
슬관절 굴곡
고관절┏신전
┣내전
┗내회선
슬관절 신전
족부
족관절배측굴곡 및 내반
족무지신전
족 지배측굴곡
족관절 저측굴곡 및 내반
족 지저측굴곡
3) 감각장에 : 하지<상지
4) 언어장애
5) 시야결손
6) 감정장애
16-2. 편마비의 물리치료
1) 목적┏① 뇌졸중의 영향 최소화
┗② 가능한 최대한의 기능적 독립 얻게함
2) 조기치료를 원칙으로 한다.
3) 발병: 72시간 이내에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 남녀 빈도에 의한 구분
여자
남자
대퇴 전자부(trochanter)의 골절
선천성 상위 견갑골
선천성 고관절 탈구
R/A (50세 이전: 여자(3배)>)
골관절염
레이노드 현상(5배)
다발성 경화증 여:남=3:2
중증성 근 무력증(2배)
사춘기 중증성 근 무력증
소녀(4배)>소년
듀피트렌 구축
내반고
선천성 첨내반족
통풍(Gout)
골수염
Legg-Calve\'-Perthes병(3~5배)
강직성 척추염(20대 젊은 남자)
퇴행성 척추염
척추 측만증(3~5배)
관상동맥 경화증
Buerger씨 병(90%): 20~40젊은 층
진행성 근 위축증
척수로
파킨슨병
Charcot-Marie-Tooth병
※근위축성 측색경화증남자 ≒ 여자
척수공동증 남자≥여자 (거의 같은빈도)
■ 편측성/양측성 구분
편측성
양측성
선천성 상위 견갑골
선천성 고관절 탈구
내반고
선천성 첨내반족
외반고
내반슬. 외반슬
레이노드 현상
Charcot-Marie-Tooth병=비골근위축증
Romberg\'s sign
척수로
Friedreich disease = Friedreich\'s ataxia
다발성 경화증에선 Romberg\'s sign이 나타나지 않는다.
뇌와 척수의
기타질병
Tremor
Speech
파킨슨 병
안정 진전
pill rolling현상
말이 느리고 톤이 낮으며 부정확
머뭇, 반복
씹기와 연하곤란 동반
다발성 경화증
기도 진전
pendullar knee-jerk
Scanning모든 음절 분리발음
소뇌성 실조증
기도 진전
Scanning&언어차질 ↔ 파킨슨
빨리 얘기하면서 부정확
Friedreich 질병
기도 진전
\"hot-potato type\"
머뭇거리거나 staccato형식
눈 관련증상
다발성 경화증
┏초기:침침, 복시, 일시적 실명
┗후기: 안구진탕증(외측 응시)
소뇌성 실조증
안구진탕증
프리디리 질병
안구진탕증, 롬버그 사인
3. 뇌성마비의 분류
(1) 신경운동학적 분류
┏① 경직형대뇌피질의 운동영역 손상이 주된 원인. 가장 많다(60~70%)
┃ 뇌간, 망상체 내에 있는 억제 및 촉진중추의 부조화.
┃ 무정위성보다 지능과 공간 상관관계의 인식장애가 크며,
┃ 간질이 3배 이상 발현
┣② 무정위형대뇌기저핵이나, 선조체 손상. 20~25%
┃ 목적이 없는 빠르거나 느린 운동의 패턴, 휴식시에
┃ 도 꿈틀꿈틀 움직이거나 움쭐하는 불수의적 운동이
┃ 일어나 마치 벌레가 기어가는 듯한 움직임
┣③ 실조형소뇌병변. 평형반응의 감소 결핍
┃ 수의적 운동은 비협조적, 느리며, 운동시 강력한 진전 발생
┣④ 진전형: 스스로 억제할 수 없는 불수의적이며 상반적인 운동┃ 이 규칙적인 리듬을 가지고 나타나는 것이 특징
┣⑤ 강직형: 운동을 하려고 할 때 주동근과 길항근 모두에 저항 증가
┃ 연관(lead pipes)과 톱니바퀴형
┗⑥ 혼합형
(2) 신경손상이 나타나는 지절별 분류
┏① Hemiplegia(편마비)같은 쪽 상하지. 경직형 & 무정위형
┣② Quadriplegia(사지마비)사지마비. 상지마비>하지마비
┣③ Diplegia(양측마비) 사지마비. 하지마비>상지마비
┣④ Triplegia(삼지마비) 삼비마비, 양쪽하지 + 한쪽 상지
┣⑤ Paraplegia(하반신마비)하지장애, 경직형
┗⑥ Monoplegia(단지마비)한쪽 사지
(3) 장애정도에 따른 분류┏① 경증(Mild)
┣② 중등도(Moderate)
┗③ 중증(Severe)
4) 보바스의 분류┏① 중증 경직형
┣② 중등도 경직형
┣③ 무정위형
┣④ 실조형
┣⑤ 이완형
┗⑥ 과운동형
15-2. 뇌성마비의 물리치료
1. 신경발달학적 치료(NDT)
2. Vojta의 방법
3. W.M. Phelps의 방법
4. Rood의 방법
5. Herman Kabat의 방법
6. Temple Fay의 방법
7. George Deaver의 방법
8. Pohl의 방법
제 16 장 뇌졸중의 물리치료
※┏Stroke : 시간적 24시간 후 순환계 결함의 결과로 인한 뇌혈관 사고
┗T I A : 시간적 24시간 미만, 일시적 허혈성 침범
16-1. 뇌의 해부학
1. 뇌의 혈액 순환계
1) 대뇌동맥
┏(1) 전대뇌동맥
┣(2) 중대뇌동맥
┃ 내경동맥의 종말지로서 대뇌 외측구를 후방으로 상행하여 ┃ 부근의 대뇌 외측피질의 대부분에 피질지를 보내며, 뇌저┃ 부에서 전유공질을 지나가는 선조체 및 내포의 대부분에 분포.
┃ 특히 선조체 및 내포에 분포하는 중심지가 대부분 뇌출혈을
┃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 뇌출혈 호발부위임
┣(3) 후대뇌동맥
┣(4) 전교통동맥
┗(5) 후교통동맥
2. 뇌졸중의 원인과 예후
※원인┏① 출혈
┗② 경색
※빈도┏① 우리나라: 출혈>경색
┗② 구 미: 출혈<경색
※예후┏① 뇌출혈에 의한 경우가 경색에 의한 경우보다 더 예후 나쁘다.
┣② 9% 완전회복
┣③ 73% 어떤 형태로든 장애가 남는다.
┗④ 18% 사망
3. 증상
※ 중대뇌동맥의 증상┏① 손상된 뇌의 반대쪽에 편마비
┣② 침범: 얼굴과 상지 > 하지
┣③ 의식운동성 실행증
┣④ 동측성 반맹증
┗⑦ 실독증
4. 뇌졸중에서 동반되는 일반적인 문제점
1) 인지 능력의 장애
2) 근 긴장도의 변화
상지
편마비에서 나타나는 공동운동패턴
굴곡운동패턴
신전운동패턴
견갑대┏거상
┗후축(retraction)
견관절┏괴신전
┣외전
┗외회선
주관절 굴곡
전 완 회외선
견갑대 전축(protraction)
견관절┏내전
┗내회선
주관절 신전
전 완 회내선
수부
수근관절┏굴곡
┗혹은 신전
곡 및 내전
수지-굴 및 내전
무지-굴곡 및 내전
하지
고관절┏굴곡
┣외전
┗외회선
슬관절 굴곡
고관절┏신전
┣내전
┗내회선
슬관절 신전
족부
족관절배측굴곡 및 내반
족무지신전
족 지배측굴곡
족관절 저측굴곡 및 내반
족 지저측굴곡
3) 감각장에 : 하지<상지
4) 언어장애
5) 시야결손
6) 감정장애
16-2. 편마비의 물리치료
1) 목적┏① 뇌졸중의 영향 최소화
┗② 가능한 최대한의 기능적 독립 얻게함
2) 조기치료를 원칙으로 한다.
3) 발병: 72시간 이내에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 남녀 빈도에 의한 구분
여자
남자
대퇴 전자부(trochanter)의 골절
선천성 상위 견갑골
선천성 고관절 탈구
R/A (50세 이전: 여자(3배)>)
골관절염
레이노드 현상(5배)
다발성 경화증 여:남=3:2
중증성 근 무력증(2배)
사춘기 중증성 근 무력증
소녀(4배)>소년
듀피트렌 구축
내반고
선천성 첨내반족
통풍(Gout)
골수염
Legg-Calve\'-Perthes병(3~5배)
강직성 척추염(20대 젊은 남자)
퇴행성 척추염
척추 측만증(3~5배)
관상동맥 경화증
Buerger씨 병(90%): 20~40젊은 층
진행성 근 위축증
척수로
파킨슨병
Charcot-Marie-Tooth병
※근위축성 측색경화증남자 ≒ 여자
척수공동증 남자≥여자 (거의 같은빈도)
■ 편측성/양측성 구분
편측성
양측성
선천성 상위 견갑골
선천성 고관절 탈구
내반고
선천성 첨내반족
외반고
내반슬. 외반슬
레이노드 현상
Charcot-Marie-Tooth병=비골근위축증
Romberg\'s sign
척수로
Friedreich disease = Friedreich\'s ataxia
다발성 경화증에선 Romberg\'s sign이 나타나지 않는다.
뇌와 척수의
기타질병
Tremor
Speech
파킨슨 병
안정 진전
pill rolling현상
말이 느리고 톤이 낮으며 부정확
머뭇, 반복
씹기와 연하곤란 동반
다발성 경화증
기도 진전
pendullar knee-jerk
Scanning모든 음절 분리발음
소뇌성 실조증
기도 진전
Scanning&언어차질 ↔ 파킨슨
빨리 얘기하면서 부정확
Friedreich 질병
기도 진전
\"hot-potato type\"
머뭇거리거나 staccato형식
눈 관련증상
다발성 경화증
┏초기:침침, 복시, 일시적 실명
┗후기: 안구진탕증(외측 응시)
소뇌성 실조증
안구진탕증
프리디리 질병
안구진탕증, 롬버그 사인
추천자료
가정물리치료
물리치료 (뇌졸중 환자의 재활 )
재활심리치료
온냉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보건소-물리치료실
골절환자의 물리치료
110301 생활 운동 시스템 (물리치료)
제 25장. 피부 물리치료 - 피부계, 일반적 피부의 장애, 물리치료적 중재, 상처, 상처관리
고령화 사회의 물리치료사의 필요성
미국 물리치료현황
미국의 물리치료에 대하여
[근거 중심 물리치료] 영유아 및 아동을 위한 물리치료 임상실기의 틀
[물리치료] muscle weakness[근육약화] -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운동장애의 원인이 과긴장...
재활치료의 목표와 대상 - 물리치료와 운동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