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국제회의 산업현황
제1장 도 입
제2장 배 경
제3장 국제회의 개념
제1절 어 원(Convention)
제2절 개 념
제3절 종 류
제4장 개최효과
제5장 전문업체
제6장 유관부처
제2편 국제회의 유치방법
제1장 유치절차
제1절 사전승인
제2절 승인요청
제3절 협의사항
제4절 협조사항
제2장 회의운영
제1절 소요예산
제2절 개최방법
제3절 준비위원회 구성
제3편 각종행사
제1장 국빈행사
제1절 개 념
제2절 진행순서
제3절 유의사항
제2장 Reception
제1절 개 관
제2절 공식오찬 및 디너
제3절 리셉션
제4절 참고자료 : 상주공관장 서열
제4편 국제전시회
제1장 종 류
제1절 전문전시회(Trade Show)
제2절 엑스포(Expo)
제2장 기본개념
제3장 참가전시회 선정
제4장 참가일정
제5장 바이어 홍보
제1장 도 입
제2장 배 경
제3장 국제회의 개념
제1절 어 원(Convention)
제2절 개 념
제3절 종 류
제4장 개최효과
제5장 전문업체
제6장 유관부처
제2편 국제회의 유치방법
제1장 유치절차
제1절 사전승인
제2절 승인요청
제3절 협의사항
제4절 협조사항
제2장 회의운영
제1절 소요예산
제2절 개최방법
제3절 준비위원회 구성
제3편 각종행사
제1장 국빈행사
제1절 개 념
제2절 진행순서
제3절 유의사항
제2장 Reception
제1절 개 관
제2절 공식오찬 및 디너
제3절 리셉션
제4절 참고자료 : 상주공관장 서열
제4편 국제전시회
제1장 종 류
제1절 전문전시회(Trade Show)
제2절 엑스포(Expo)
제2장 기본개념
제3장 참가전시회 선정
제4장 참가일정
제5장 바이어 홍보
본문내용
및 Talking Point 작성
- 국가개황 양식은 디스귑 참조
- Head Table Talking Point는 주로 가벼운 소재(문화, 스포츠, 역사 등)를 중심으로 작성
* 참고자료 : 외무부 해당지역과 국가개황 (보통 D-day 2주전 작성)
KOTRA 국가정보, KOTIS 국가정보, Inter-Net 등
2. 통역수배
- 통역은 대부분 순차통역, 통역료는 45만원(세금포함) 내외
- 국빈 답사가 길 경우 동시통역을 하거나 또는 통역없이 번역된 인쇄물(답사)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다.
- 통역섭외는 주로 김영준 참사를 통해서 함. (이력서 받음)
- 회장 환영사, 국빈 답사가 입수되는데로 통역에게 보내줌
- D-day 3-4일전 통역사와 협회에서 업무협의
* 이때, 행사에 관한 개괄적 설명과 함께
1)사회자 시나리오 2)환영사, 답사 3)비표교환권 등을 전달하고, 주민등록증을 Copy해 둠
- 통역은 행사당일 오찬시작 1시간 전 오찬장 도착 要
- 통역료는 미리 경리과에 신청하여 D-1 수령
- 통역료 영수증도 준비(날짜는 안씀)
3. 호텔측 준비사항
- 우선, 호텔을 절대로 믿어서는 안된다. 지시사항은 반복해서 꼼꼼히 점검해야 하고, 행사당일 모든 지시사항을 하나하나 체크해야 된다.
- 국빈행사는 청와대와의 거리를 고려해서 대개 강북에서 개최되는데 신라호텔은 거의 Excellent. 힐튼은 대체로 잘함. 롯데, 하얏트는 주의.
제2장 Reception
제1절 개 관
연회는 만찬, 리셉션, 칵테일파티 등으로 구분디고 연회는 주최자의 환영연, 비공식 협의를 위한 장소 제공 및 공개적인 메시지 전달창구의 기능도 함. 공식연회 및 비공식파티를 개최함으로써 국내외적으로 자국의 이익을 증진하고 또한 국가의 정책을 달성하는데 기여.
제2절 공식오찬 및 디너
1. 고려사항
연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 초청대상자 : stag(남성들만의 연회) 또는 남녀혼성 couple
- 장소와 메뉴 : 자택 또는 호텔/한식, 중식, 양식, 부페
- 초청장 발송 및 종류 : 초청장 종류, R.S.V.P.
- 좌석배치 : 스퀘어 또는 라운드
- 주류 : 칵테일, 포도주, 샴페인
2. 점검표
성공적인 연회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점검표가 필요하다.
- 일시, 장소, 복장
- 초청대상, 초청장 : 첨석여부 확인
- 테이블 결정 : 사각, 원탁
- 좌석배치 : 테이블 플랜, 좌석배치카드
- 메뉴선정 및 작성
- 주류선정 : 칵테일, 포도주, 샴페인, 토스트
- 연설문 작성 : 주빈에게 연설여부 사전통보
3. 초 대
주요 공식오만찬, 환영화 등의 초대장은 3인칭으로 완련 동한인쇄하거나 부분 동판인쇄한다. 초대장에는 연회의 목적을 다음과 같은 표현 등을 통해 분명히 밝힌다.
- 저명인사 : In honor of Mr./Mrs./Ms Such and Such
- 신참자 : To Meet Mr./Mrs./Ms Such and Such
- 단체 : On the occasion of the visit of-----
초청장은 행사 3주전에 발송한다. 초청장을 받았을 때에는 즉시 답을 해야 한다. 백악관에서 보내는 초청장과 외국정부 수반이 보내는 초청장의 경우에는 Commmand Performance이라 하여 초대이상의 의미를 가딘다.
4. 영접선(the receiving line)
영접선은 조최자와 주빈들이 초대연, 무도회, 만찬 따위에서 손님을 맞기 위해 서일는 라인이라 할 수 있다. 공식오찬, 초대연, 만찬에서는 내빈들이 조최자 부부에게 인사할 수 있도록 영접선을 준비한다. 비공식 연회에서는 호스티스가 내빈을 가장 먼저 영접한다. 영접선에서 내빈은 관직명이나 Mr./Mrs./Ms 라고 소개된다. 안내자들은 내빈을 호스트에게 소개하는데 이때 호스트는 그 내빈을 주빈에게 소개한다. 내빈은 영접선을 따라가며 간단히 악수를하며 How do you do ?, 안면이 있을 경우는 It\'s good to see you again, Good Evening, Sir라고 인사를 한다.
행사가 크지 않을 경우, 주최자는 대개 30분정도 초대자들을 영접하고 내빈들과 어울린다. 따라서 내빈은 시간을 엄수하여 소개의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한다. 늦게 참석하여 소개 기회를 갖지 못한 내빈은 호스트를 찾아가 사과한다.
5. Keynote Speaker
회의에서의 Keynote Speaker가 누구이며 Invited Speaker가 누구인가가 회의의 위상을 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대회장 또는 조직위원장은 가급적 빠른 시기에 후보자를 선정하여 정식 초청장을 발송하여야 한다. Keynote Speaker, Plenary Speaker 또는 일반 세션에서의 Invited Speaker는 회의운영에 필수적인 연사들이므로 대개 출장비를 재정지원하는 것이 관례이다.
6. 통 역
순차통역(consecutive interpretation)은 연자나 발언자가 먼저 자기언어로 발언한 것을 한 구절이 끝난 후 다른 외국어로 통역을 하고 다시 연자가 발언을 하면 다시 통역을 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이사회 또는 기자회견 등과 같은 소규모 참석자가 모인 회의에서 이용되며 1개국어 통역에 한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동시통역(simultaneous interpretation)은 연자가 발언자가 발전하는 즉시 통역으로 발전이 진행되고 있으므로 통역은 자현히 간략하게 하는 것이며 통역사는 연자의 발표원고를 미리 입수하여 내용을 파악하고 통역하는 것이 관례이다. 2,3개 외국어로 통역이 가능하고 청중은 헤드폰과 수신기로 자기가 원하는 언어 통역을 들을 수 있다.
제3절 리셉션
1. 개 념
가장 대중적인 공식연회로 초대되는 내빈의 수, 행사의 절차와 형식에 따라 매우 다양함. 리셉션은 출장중인 국가원수를 위해 대사 밤 10시에 개최하는 공식만찬에서 고위 정부 관리를 위한 밤 6시부터 8시까지 열리는 비공식만찬까지 다양함.
오후에 열리는 리셉션은 다과리셉션과 유사하나 좀더 공식적인 행사임. 이런 리셉션은 참가자의관리나 사절단 부인을 위해 개최되며 대규모 리셉션과 같은 절차에 따름.
2. 케이터링
차와 커피가 제공되고 날씨가 더울
- 국가개황 양식은 디스귑 참조
- Head Table Talking Point는 주로 가벼운 소재(문화, 스포츠, 역사 등)를 중심으로 작성
* 참고자료 : 외무부 해당지역과 국가개황 (보통 D-day 2주전 작성)
KOTRA 국가정보, KOTIS 국가정보, Inter-Net 등
2. 통역수배
- 통역은 대부분 순차통역, 통역료는 45만원(세금포함) 내외
- 국빈 답사가 길 경우 동시통역을 하거나 또는 통역없이 번역된 인쇄물(답사)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다.
- 통역섭외는 주로 김영준 참사를 통해서 함. (이력서 받음)
- 회장 환영사, 국빈 답사가 입수되는데로 통역에게 보내줌
- D-day 3-4일전 통역사와 협회에서 업무협의
* 이때, 행사에 관한 개괄적 설명과 함께
1)사회자 시나리오 2)환영사, 답사 3)비표교환권 등을 전달하고, 주민등록증을 Copy해 둠
- 통역은 행사당일 오찬시작 1시간 전 오찬장 도착 要
- 통역료는 미리 경리과에 신청하여 D-1 수령
- 통역료 영수증도 준비(날짜는 안씀)
3. 호텔측 준비사항
- 우선, 호텔을 절대로 믿어서는 안된다. 지시사항은 반복해서 꼼꼼히 점검해야 하고, 행사당일 모든 지시사항을 하나하나 체크해야 된다.
- 국빈행사는 청와대와의 거리를 고려해서 대개 강북에서 개최되는데 신라호텔은 거의 Excellent. 힐튼은 대체로 잘함. 롯데, 하얏트는 주의.
제2장 Reception
제1절 개 관
연회는 만찬, 리셉션, 칵테일파티 등으로 구분디고 연회는 주최자의 환영연, 비공식 협의를 위한 장소 제공 및 공개적인 메시지 전달창구의 기능도 함. 공식연회 및 비공식파티를 개최함으로써 국내외적으로 자국의 이익을 증진하고 또한 국가의 정책을 달성하는데 기여.
제2절 공식오찬 및 디너
1. 고려사항
연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 초청대상자 : stag(남성들만의 연회) 또는 남녀혼성 couple
- 장소와 메뉴 : 자택 또는 호텔/한식, 중식, 양식, 부페
- 초청장 발송 및 종류 : 초청장 종류, R.S.V.P.
- 좌석배치 : 스퀘어 또는 라운드
- 주류 : 칵테일, 포도주, 샴페인
2. 점검표
성공적인 연회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점검표가 필요하다.
- 일시, 장소, 복장
- 초청대상, 초청장 : 첨석여부 확인
- 테이블 결정 : 사각, 원탁
- 좌석배치 : 테이블 플랜, 좌석배치카드
- 메뉴선정 및 작성
- 주류선정 : 칵테일, 포도주, 샴페인, 토스트
- 연설문 작성 : 주빈에게 연설여부 사전통보
3. 초 대
주요 공식오만찬, 환영화 등의 초대장은 3인칭으로 완련 동한인쇄하거나 부분 동판인쇄한다. 초대장에는 연회의 목적을 다음과 같은 표현 등을 통해 분명히 밝힌다.
- 저명인사 : In honor of Mr./Mrs./Ms Such and Such
- 신참자 : To Meet Mr./Mrs./Ms Such and Such
- 단체 : On the occasion of the visit of-----
초청장은 행사 3주전에 발송한다. 초청장을 받았을 때에는 즉시 답을 해야 한다. 백악관에서 보내는 초청장과 외국정부 수반이 보내는 초청장의 경우에는 Commmand Performance이라 하여 초대이상의 의미를 가딘다.
4. 영접선(the receiving line)
영접선은 조최자와 주빈들이 초대연, 무도회, 만찬 따위에서 손님을 맞기 위해 서일는 라인이라 할 수 있다. 공식오찬, 초대연, 만찬에서는 내빈들이 조최자 부부에게 인사할 수 있도록 영접선을 준비한다. 비공식 연회에서는 호스티스가 내빈을 가장 먼저 영접한다. 영접선에서 내빈은 관직명이나 Mr./Mrs./Ms 라고 소개된다. 안내자들은 내빈을 호스트에게 소개하는데 이때 호스트는 그 내빈을 주빈에게 소개한다. 내빈은 영접선을 따라가며 간단히 악수를하며 How do you do ?, 안면이 있을 경우는 It\'s good to see you again, Good Evening, Sir라고 인사를 한다.
행사가 크지 않을 경우, 주최자는 대개 30분정도 초대자들을 영접하고 내빈들과 어울린다. 따라서 내빈은 시간을 엄수하여 소개의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한다. 늦게 참석하여 소개 기회를 갖지 못한 내빈은 호스트를 찾아가 사과한다.
5. Keynote Speaker
회의에서의 Keynote Speaker가 누구이며 Invited Speaker가 누구인가가 회의의 위상을 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대회장 또는 조직위원장은 가급적 빠른 시기에 후보자를 선정하여 정식 초청장을 발송하여야 한다. Keynote Speaker, Plenary Speaker 또는 일반 세션에서의 Invited Speaker는 회의운영에 필수적인 연사들이므로 대개 출장비를 재정지원하는 것이 관례이다.
6. 통 역
순차통역(consecutive interpretation)은 연자나 발언자가 먼저 자기언어로 발언한 것을 한 구절이 끝난 후 다른 외국어로 통역을 하고 다시 연자가 발언을 하면 다시 통역을 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이사회 또는 기자회견 등과 같은 소규모 참석자가 모인 회의에서 이용되며 1개국어 통역에 한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동시통역(simultaneous interpretation)은 연자가 발언자가 발전하는 즉시 통역으로 발전이 진행되고 있으므로 통역은 자현히 간략하게 하는 것이며 통역사는 연자의 발표원고를 미리 입수하여 내용을 파악하고 통역하는 것이 관례이다. 2,3개 외국어로 통역이 가능하고 청중은 헤드폰과 수신기로 자기가 원하는 언어 통역을 들을 수 있다.
제3절 리셉션
1. 개 념
가장 대중적인 공식연회로 초대되는 내빈의 수, 행사의 절차와 형식에 따라 매우 다양함. 리셉션은 출장중인 국가원수를 위해 대사 밤 10시에 개최하는 공식만찬에서 고위 정부 관리를 위한 밤 6시부터 8시까지 열리는 비공식만찬까지 다양함.
오후에 열리는 리셉션은 다과리셉션과 유사하나 좀더 공식적인 행사임. 이런 리셉션은 참가자의관리나 사절단 부인을 위해 개최되며 대규모 리셉션과 같은 절차에 따름.
2. 케이터링
차와 커피가 제공되고 날씨가 더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