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희곡 <동승> 개괄
갈등 구조와 캐릭터의 구축 양상
극적 시공간의 특징
* 참고 문헌
갈등 구조와 캐릭터의 구축 양상
극적 시공간의 특징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을 굽어볼 수 있는 산중턱에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품 첫 머리의 무대 지시에서 도념이 물끄러미 동리를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이다. (도념, 물지게에 걸터앉은 채, 멀거니 동리를 내려다보고 있다.) 이렇게 높은 곳에 위치해 있는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동네의 아이들은 쉽게 산문을 드나들고 있다. (동리 어린이들 한패가 산문에서 나와 인수의 노래를 따라 부르며 비탈길로 나란히 내려간다.) 따라서 이 절은 어른들이 느끼기에는 심산고찰이며 폐쇄된 공간이지만 도념으로 대표되는 어린이들에게는 충분히 열려 있는 익숙한 공간인 것이다. 그런데 도념만이 폐쇄성 속에서 살아야 한다는 모순이 이 작품의 주요한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아이들이 산을 내려가는 비탈길은 마을로 통하는 길이다. 그러나 도념에게는 속세에 대한 단절과 욕구를 느끼게 하는 길일뿐이다. 따라서 극의 결말에서 도념이 비탈길을 선택하고 있음은 도념이 그토록 부러워하던 동리 아이들과 동격이 됨을 의미하며 이는 작품의 주제와 관련한 주체의 확보를 분명히 하는 표지가 된다.
* 참고 문헌
·양승국(2007), 희곡의 이해, 연극과 인간
·유민영(1990), 한국현대 희곡사, 기린원
* 참고 문헌
·양승국(2007), 희곡의 이해, 연극과 인간
·유민영(1990), 한국현대 희곡사, 기린원
추천자료
세계경제의 지역주의 동향과 동아시아 지역의 지역주의 모색
기능주의와 갈등론 이론의 특징 비교
김인향전 내용 인물상
[한국사회문제]우리사회 전형적 빈곤층을 염두에 두었을 때 개인의 책임과 구조의 측면과 관...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갈등과 협력
[일본노사관계, 일본노사관계 특징, 일본노사관계 역사, 일본노사관계 배경, 일본노사관계 재...
[한중일, 한중일지방교류, 한중일외교관계, 경제합작, 유통산업, 소설관, 가면극, 미적 개념]...
신문기사쓰기 - 기사 내용 선정, 기사 정보 수집, 작성, 기획 기사(개요, 구성요소, 유의사항...
경험적 가족치료, 구조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 중 두 가지를 골라 각 치료의 특징을 비교.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고부간의 갈등, 가설설정 및 연구결과보고서
[노사관계론 공통]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발전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특징과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