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세덕의 동승을 읽고 나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함세덕의 동승을 읽고 나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희곡 <동승> 개괄

갈등 구조와 캐릭터의 구축 양상

극적 시공간의 특징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을 굽어볼 수 있는 산중턱에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품 첫 머리의 무대 지시에서 도념이 물끄러미 동리를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이다. (도념, 물지게에 걸터앉은 채, 멀거니 동리를 내려다보고 있다.) 이렇게 높은 곳에 위치해 있는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동네의 아이들은 쉽게 산문을 드나들고 있다. (동리 어린이들 한패가 산문에서 나와 인수의 노래를 따라 부르며 비탈길로 나란히 내려간다.) 따라서 이 절은 어른들이 느끼기에는 심산고찰이며 폐쇄된 공간이지만 도념으로 대표되는 어린이들에게는 충분히 열려 있는 익숙한 공간인 것이다. 그런데 도념만이 폐쇄성 속에서 살아야 한다는 모순이 이 작품의 주요한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아이들이 산을 내려가는 비탈길은 마을로 통하는 길이다. 그러나 도념에게는 속세에 대한 단절과 욕구를 느끼게 하는 길일뿐이다. 따라서 극의 결말에서 도념이 비탈길을 선택하고 있음은 도념이 그토록 부러워하던 동리 아이들과 동격이 됨을 의미하며 이는 작품의 주제와 관련한 주체의 확보를 분명히 하는 표지가 된다.
* 참고 문헌
·양승국(2007), 희곡의 이해, 연극과 인간
·유민영(1990), 한국현대 희곡사, 기린원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6.07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0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