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요약 및 결론(Summary and Conclusion)
Ⅱ. 서론(Introduction)
1. 삼투현상(Osmosis)
2. 원형질 분리(Plasmolysis)
3. 용혈현상(Hemolysis)
Ⅲ. 실험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1. 실험재료(Materials)
2. 실험방법(Methods)
Ⅳ. 결과(Results)
1. 삼투현상(Osmosis)
2. 원형질 분리(Plasmolysis)
3. 용혈현상(Hemolysis)
Ⅴ. 논의(Discussion)
Ⅵ. 참고문헌(References)
Ⅱ. 서론(Introduction)
1. 삼투현상(Osmosis)
2. 원형질 분리(Plasmolysis)
3. 용혈현상(Hemolysis)
Ⅲ. 실험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1. 실험재료(Materials)
2. 실험방법(Methods)
Ⅳ. 결과(Results)
1. 삼투현상(Osmosis)
2. 원형질 분리(Plasmolysis)
3. 용혈현상(Hemolysis)
Ⅴ. 논의(Discussion)
Ⅵ. 참고문헌(References)
본문내용
다.
Ⅲ. 실험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1. 실험재료(Materials)
양파, 1N HCl, 10% NaOH 용액, 70% ethanol, 30%, 60% sucrose 용액(0.01% congo red함유), 현미경(compound microscope), Cellophane dialysis tubing, 250ml beader 1개, 여과지, slide glass & cover slip, 실, Lancet, 1ml pipette, clamp & stand
2. 실험방법(Methods)
1) 삼투현상(Osmosis)
Cellophane dialysis tubing을 사용할 때에는 사용하기 전에 증류수에 담가두어 막이 부드러워지도록 한다.
2) 원형질 분리(Plasmolysis)
원형질 분리가 잘 일어나지 않으면 NaCl을 추가적으로 더 넣어준다.
원형질 분리가 일어난 후 다시 증류수를 넣어줬을 때 원상복구가 잘 되지 않으면 증류수를 과량 넣어준다.
3) 용혈현상(Hemolysis)
혈액을 다루는 실험이므로 실험도구와 신체의 혈액 채취 부위를 청결히 한다.
Ⅳ. 결과(Results)
1. 삼투현상(Osmosis)
시간(분)
5
10
15
20
25
30
35
40
60%
3.63
3.18
3.23
2.98
2.78
2.53
2.28
1.98
30%
3.58
3.38
2.73
2.28
1.78
1.28
0.68
0.18
2. 원형질 분리(Plasmolysis)
원형질 분리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증류수로 NaCl을 씻어낸 후에는 세포막이 원상복귀되는 현상(원형질 분리복귀)도 관찰할 수 있었다.(레포트 맨 뒤에 그림첨부)
3. 용혈현상(Hemolysis)
1) 혈액+0.9% NaCl(등장액)
체내의 NaCl 농도인 0.9%와 같은 등장액에 적혈구가 존재하므로 적혈구는 정상적인 형태로 관찰되었다.
2) 혈액+10% NaCl(고장액)
적혈구가 체내 NaCl 농도인 0.9%보다 높은 농도의 용액 즉 고장액에 있으므로 적혈구내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 찌그러진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 관찰되었다.
3) 혈액+증류수(저장액)
증류수는 NaCl의 농도가 0%로 저장액이므로 적혈구 내부로 용매가 들어와 적혈구가 부풀어 결국 터져버리는 용혈현상(hemolysis)가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적혈구가 다수 파괴되었기 때문에 간간히 보이는 터진 적혈구 외에 적혈구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Ⅴ. 논의(Discussion)
시간(분)
5
10
15
20
25
30
35
40
60%
3.63
3.18
3.23
2.98
2.78
2.53
2.28
1.98
30%
3.58
3.38
2.73
2.28
1.78
1.28
0.68
0.18
위는 삼투현상을 관찰한 실험1의 결과이다. 삼투압을 구하는 식으로 알려진 (단, 는 삼투압, 는 이온화된 후 용액 내의 총 입자 수 또는 용액에 녹인 전체 입자 수, 는 몰농도, 은 기체상수, 는 온도이다.)에 따르면 60%의 sucrose는 30%의 sucrose보다 2배가량 높은 삼투압을 갖기 때문에 올라간 높이 또한 2배가량 높아야한다.(∵30%와 60%의 %농도를 몰농도로 환산해도 2배의 차이가 난다.) 하지만 실험진행에 정교함이 떨어져 데이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삼투압에 의해 용매가 이동하여 용액의 높이가 상승한 현상은 보여도 농도와 삼투압간의 비례관계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위 결과를 통하여 위에서 예로 든 소금물의 경우와 같이 삼투현상이 정지-평형 상태를 이루게 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삼투현상에서 평형상태라는 것은 정적 평형상태가 아닌 동적평형상태로 역삼투압과 삼투압간의 경쟁으로 용매가 양
Ⅲ. 실험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1. 실험재료(Materials)
양파, 1N HCl, 10% NaOH 용액, 70% ethanol, 30%, 60% sucrose 용액(0.01% congo red함유), 현미경(compound microscope), Cellophane dialysis tubing, 250ml beader 1개, 여과지, slide glass & cover slip, 실, Lancet, 1ml pipette, clamp & stand
2. 실험방법(Methods)
1) 삼투현상(Osmosis)
Cellophane dialysis tubing을 사용할 때에는 사용하기 전에 증류수에 담가두어 막이 부드러워지도록 한다.
2) 원형질 분리(Plasmolysis)
원형질 분리가 잘 일어나지 않으면 NaCl을 추가적으로 더 넣어준다.
원형질 분리가 일어난 후 다시 증류수를 넣어줬을 때 원상복구가 잘 되지 않으면 증류수를 과량 넣어준다.
3) 용혈현상(Hemolysis)
혈액을 다루는 실험이므로 실험도구와 신체의 혈액 채취 부위를 청결히 한다.
Ⅳ. 결과(Results)
1. 삼투현상(Osmosis)
시간(분)
5
10
15
20
25
30
35
40
60%
3.63
3.18
3.23
2.98
2.78
2.53
2.28
1.98
30%
3.58
3.38
2.73
2.28
1.78
1.28
0.68
0.18
2. 원형질 분리(Plasmolysis)
원형질 분리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증류수로 NaCl을 씻어낸 후에는 세포막이 원상복귀되는 현상(원형질 분리복귀)도 관찰할 수 있었다.(레포트 맨 뒤에 그림첨부)
3. 용혈현상(Hemolysis)
1) 혈액+0.9% NaCl(등장액)
체내의 NaCl 농도인 0.9%와 같은 등장액에 적혈구가 존재하므로 적혈구는 정상적인 형태로 관찰되었다.
2) 혈액+10% NaCl(고장액)
적혈구가 체내 NaCl 농도인 0.9%보다 높은 농도의 용액 즉 고장액에 있으므로 적혈구내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 찌그러진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 관찰되었다.
3) 혈액+증류수(저장액)
증류수는 NaCl의 농도가 0%로 저장액이므로 적혈구 내부로 용매가 들어와 적혈구가 부풀어 결국 터져버리는 용혈현상(hemolysis)가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적혈구가 다수 파괴되었기 때문에 간간히 보이는 터진 적혈구 외에 적혈구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Ⅴ. 논의(Discussion)
시간(분)
5
10
15
20
25
30
35
40
60%
3.63
3.18
3.23
2.98
2.78
2.53
2.28
1.98
30%
3.58
3.38
2.73
2.28
1.78
1.28
0.68
0.18
위는 삼투현상을 관찰한 실험1의 결과이다. 삼투압을 구하는 식으로 알려진 (단, 는 삼투압, 는 이온화된 후 용액 내의 총 입자 수 또는 용액에 녹인 전체 입자 수, 는 몰농도, 은 기체상수, 는 온도이다.)에 따르면 60%의 sucrose는 30%의 sucrose보다 2배가량 높은 삼투압을 갖기 때문에 올라간 높이 또한 2배가량 높아야한다.(∵30%와 60%의 %농도를 몰농도로 환산해도 2배의 차이가 난다.) 하지만 실험진행에 정교함이 떨어져 데이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삼투압에 의해 용매가 이동하여 용액의 높이가 상승한 현상은 보여도 농도와 삼투압간의 비례관계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위 결과를 통하여 위에서 예로 든 소금물의 경우와 같이 삼투현상이 정지-평형 상태를 이루게 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삼투현상에서 평형상태라는 것은 정적 평형상태가 아닌 동적평형상태로 역삼투압과 삼투압간의 경쟁으로 용매가 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