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나이팅게일의 이론
2.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간호이론
3. 핸더슨의 간호의 기본원리 이론
4. 로이의 적응이론
5. 레닌저의 횡문화적 돌봄이론
6. 왓슨의 돌봄의 과학이론
7. 비덴바의 돕는 예술로서의 실무간호이론
8. 르바인의 인간보존 이론
9. 존슨의 행위체계 이론
10. 로저스의 인간고유성 이론
11. 오렘의 자기간호결핍 간호이론
12. 뉴먼의 체계이론
13. 파시의 인간되어감 이론
14. 베너의 전문가 역할 이론
15. 놀라펜더의 건강증진 모형
2.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간호이론
3. 핸더슨의 간호의 기본원리 이론
4. 로이의 적응이론
5. 레닌저의 횡문화적 돌봄이론
6. 왓슨의 돌봄의 과학이론
7. 비덴바의 돕는 예술로서의 실무간호이론
8. 르바인의 인간보존 이론
9. 존슨의 행위체계 이론
10. 로저스의 인간고유성 이론
11. 오렘의 자기간호결핍 간호이론
12. 뉴먼의 체계이론
13. 파시의 인간되어감 이론
14. 베너의 전문가 역할 이론
15. 놀라펜더의 건강증진 모형
본문내용
1. 나이팅게일의 이론
개인, 사회, 전문적 가치를 통합하여 기초를 이루었고, 교육, 관찰,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앗다.(관련이론-적응이론, 욕구이론, 스트레스 이론)
1) 이론의 주요개념
환경을 매우 중요시. 건강한 환경과 간호와의 상호관련성이 이론의 기반
목적 : 환경조절을 통하여 환자의 기본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환자의 생명력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
긍정적이고 건강한 환경의 5요소 : 적절한 환기, 적잘한 채광, 충분한 온기, 악취의 통제, 소음의 통제
환경의 세가지 유형 : 물리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
신체적 환경을 심리적이나 사회적 환경보다 중시
2) 이론의 메타패러다임
① 인간 : 간호를 제공받거나 환경의 영향을 받는 존재이며 질환에 대한 회복능력을 갖고 있다.
② 환경 : 모든 유기체의 생명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상황과 힘
③ 건강 : 안녕한 것이며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힘을 충분히 사용하는 것이고 환경적 건강요인을 통해 질병을 예방함으로써 유지되는 상태
④ 간호 : 환자의 자연적인 치유과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돕는 것
2) 이론의 적용 및 평가
나이팅게일의 간호원리와 원칙은 현대의 간호에 있어서 여전히 적요되고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은 현대에 있어 극적인 개념으로 보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나이팅게일의 배경과 시대에 있어 그녀가 이룩한 발전으로 기억하는 것이 좋겠다.
간결성 : 단순성을 지님 (환자와 환경, 간호사와 환경, 환자와 간호사의 3가지 주된관계)
일반성 : 일반적 지침 제공
검증가능성 : 검증가능하기보다는 확정된 진실로 표현되고 있다.
2.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간호이론
상호작용 이론가, 정신간호학에 많이 이용하는 이론
1) 이론의 주요개념
정신역동적 간호 : 자신(간호사)의 행위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어려움을 깨닫도록 하는 것
간호사-대상자의 관계에 초점(치료적 관계)
간호사-대상자 관계의 4가지 단계
- 예비단계 : 환자가 ‘감지된 요구’를 표현함으로써 간호사와 환자의 만남을 위한 자극이 된다
- 확인단계 : 환자는 자신의 요구를 들어줄 사람에게 선택적으로 반응한다. 간호사는 환자가 긍정적인 간벙과 강화된 인격을 가지고 반응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요구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게 한다. 환자의 내적인 힘을 더욱 북돋아주는 낙관적인 태도를 키울 수 있다.
- 개발단계 : 간호사는 환자에게 이용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환자는 제공되는 이용가능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계이다. 이로인해 권한은 환제에게로 옮겨진다. 환자는 돕는 환경내에 자율적,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할 것이며 새로운 상황에 대처 또는 통제하는 힘을 가지게 된다.
- 해결단계 : 환자의 욕구가 충
개인, 사회, 전문적 가치를 통합하여 기초를 이루었고, 교육, 관찰,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앗다.(관련이론-적응이론, 욕구이론, 스트레스 이론)
1) 이론의 주요개념
환경을 매우 중요시. 건강한 환경과 간호와의 상호관련성이 이론의 기반
목적 : 환경조절을 통하여 환자의 기본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환자의 생명력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
긍정적이고 건강한 환경의 5요소 : 적절한 환기, 적잘한 채광, 충분한 온기, 악취의 통제, 소음의 통제
환경의 세가지 유형 : 물리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
신체적 환경을 심리적이나 사회적 환경보다 중시
2) 이론의 메타패러다임
① 인간 : 간호를 제공받거나 환경의 영향을 받는 존재이며 질환에 대한 회복능력을 갖고 있다.
② 환경 : 모든 유기체의 생명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상황과 힘
③ 건강 : 안녕한 것이며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힘을 충분히 사용하는 것이고 환경적 건강요인을 통해 질병을 예방함으로써 유지되는 상태
④ 간호 : 환자의 자연적인 치유과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돕는 것
2) 이론의 적용 및 평가
나이팅게일의 간호원리와 원칙은 현대의 간호에 있어서 여전히 적요되고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은 현대에 있어 극적인 개념으로 보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나이팅게일의 배경과 시대에 있어 그녀가 이룩한 발전으로 기억하는 것이 좋겠다.
간결성 : 단순성을 지님 (환자와 환경, 간호사와 환경, 환자와 간호사의 3가지 주된관계)
일반성 : 일반적 지침 제공
검증가능성 : 검증가능하기보다는 확정된 진실로 표현되고 있다.
2.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간호이론
상호작용 이론가, 정신간호학에 많이 이용하는 이론
1) 이론의 주요개념
정신역동적 간호 : 자신(간호사)의 행위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어려움을 깨닫도록 하는 것
간호사-대상자의 관계에 초점(치료적 관계)
간호사-대상자 관계의 4가지 단계
- 예비단계 : 환자가 ‘감지된 요구’를 표현함으로써 간호사와 환자의 만남을 위한 자극이 된다
- 확인단계 : 환자는 자신의 요구를 들어줄 사람에게 선택적으로 반응한다. 간호사는 환자가 긍정적인 간벙과 강화된 인격을 가지고 반응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요구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게 한다. 환자의 내적인 힘을 더욱 북돋아주는 낙관적인 태도를 키울 수 있다.
- 개발단계 : 간호사는 환자에게 이용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환자는 제공되는 이용가능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계이다. 이로인해 권한은 환제에게로 옮겨진다. 환자는 돕는 환경내에 자율적,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할 것이며 새로운 상황에 대처 또는 통제하는 힘을 가지게 된다.
- 해결단계 : 환자의 욕구가 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