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색포도상구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Introduction
(1)실험의 목적
(2) Staphylococcus aureusㅐ
(3) Lecithin
(4) Fibrin 형성 과정
(5) 선택배지(selective media)
(6) 분별배지(differential media)
(7) 강화배지(enrichment media)
(8) 수송배지 & 보존배지
(9) BPA(Baird Parker agar)
(10) BPA 배지 만들기 및 Egg-yolk tellurite 첨가물

2. Materials & Method
(1) Materials
(2) Method

3. Results

4. Discussion

5. Reference

본문내용

개 검출된 이유는 아무래도 희석배수가 높아짐에 따라 황색포도상구균의 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미 희석배수에서 colony 수가 평균 101개 검출되었기 때문에, 이 colony 수는 식품공전에 따른 30~300 cfu/ml 범위에 속하기에 희석배수의 검출은 실험결과의 의미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30~300 cfu/ml 유효범위에 속한 희석배수의 결과로 황색포도상구균의 실험결과를 얘기하자면, 대부분 검정색 colony 주변에 불투명한 환 또는 투명한 환을 형성하였다. 이 얘기는 lipase reaction과 lecithinase 및 protease reaction이 다량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실험결과를 통해 희석배수에서의 colony 검출 결과는 다소 오차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1회 실험에서는 petri dish 희석배수에서 약 1/10배 만큼 colony 수가 줄어들어 비교적 이상적인 실험결과를 얻었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2회 실험의 희석배수 실험결과에서는 colony가 5개 그치기 때문에, 약 1/16~1/18배만큼 줄어들었고 희석배수인 10배보다 더 크게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차가 발생한 이유를 생각해보니, Micro-pipette으로 희석액 중앙이 아니라 좀 더 위에서 0.1mL 시료를 채취하였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0.1ml 시료안에 황색포도상구균의 cfu/ml이 적게 들어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시험관의 vortex mixer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균질화가 잘 안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vortexing을 하지 못했다고 본다. 그리고 마지막 오차의 가능성으로는 petri dish에 옮기려고 했던 0.1ml 시료가 완벽하게 옮겨지지 않아서 발생한 오차일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5. Reference
김신무. 1996. 임상세균학. 고려의학, p.53-54.
김정환 외 3명. 2004. 식품미생물학및발효식품학실험. 지구문화사, p.24.
박신인 외 1명. 2004. 식품미생물학실험서. 효일출판사, p.37-38.
강영희. 2008. 생명과학대사전. 아카데미서적, p.987.
오민희 외 3명. 2009. 황색포도상구균분리배지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p.606-608.
[식품미생물학실험]
담당교수님: 김왕준 교수님
황색포도상구균 배양 후 생균수 측정
전 공
식품공학과
학 번
2006111894
이 름
김 재 형
학 년
4 학년
실험조
2조
  • 가격3,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6.27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56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