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의 목적
2.실험방법
3.실험결과
4.결론
2.실험방법
3.실험결과
4.결론
본문내용
및 현미경 관찰
※ Isolation과 순수배양과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현미경 관찰결과 두 집락모두 그람양성의 구균이 관측되었다. 때문에 동일한 시료군의 타 실험자의 순수배양배지를 사용하여 관측한 결과 시료B에서 gram(+) 구군과 gram(-) 간균이 발견되었다.
Gram(+)
Gram(+)
Gram(-)
시료B-1
시료B-2
타실험자 시료B중 Gram(-)균
4. 결 론
※시료 B는 [구군], [간균]이다
B-1은 Gram( + )이며 구균이다
B-2은 Gram( - )이며 간균이다
-시료B-1은 그람양성의 구균이며 연쇄상구균 또는 포도상구균으로 예상된다.
-시료B-2는 그람음성의 간균이므로 대장균으로 예상된다.
현미경 관찰결과B-1
구균
현미경 관찰결과B-2
간균
※실험의 문제점.
2종의 세균 배양결과 집락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아 Isolation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
때문에 동일시료군(시료B)의 타실험자의 순수배양배지를 이용하여 관측하였다.
현미경 관측으로 세균의 형태는 구별하였으나 정확히 어떠한 세균인지 결론을 내릴 수 없어 그람양성균은 연쇄상구균 또는 포도상구균으로 잠정지었으며 그?음성균은 대장균으로 예상하였다.
※세균의 사진 인터넷 참조
※ Isolation과 순수배양과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현미경 관찰결과 두 집락모두 그람양성의 구균이 관측되었다. 때문에 동일한 시료군의 타 실험자의 순수배양배지를 사용하여 관측한 결과 시료B에서 gram(+) 구군과 gram(-) 간균이 발견되었다.
Gram(+)
Gram(+)
Gram(-)
시료B-1
시료B-2
타실험자 시료B중 Gram(-)균
4. 결 론
※시료 B는 [구군], [간균]이다
B-1은 Gram( + )이며 구균이다
B-2은 Gram( - )이며 간균이다
-시료B-1은 그람양성의 구균이며 연쇄상구균 또는 포도상구균으로 예상된다.
-시료B-2는 그람음성의 간균이므로 대장균으로 예상된다.
현미경 관찰결과B-1
구균
현미경 관찰결과B-2
간균
※실험의 문제점.
2종의 세균 배양결과 집락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아 Isolation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
때문에 동일시료군(시료B)의 타실험자의 순수배양배지를 이용하여 관측하였다.
현미경 관측으로 세균의 형태는 구별하였으나 정확히 어떠한 세균인지 결론을 내릴 수 없어 그람양성균은 연쇄상구균 또는 포도상구균으로 잠정지었으며 그?음성균은 대장균으로 예상하였다.
※세균의 사진 인터넷 참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