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본의 게이샤(芸者)
1. 게이샤(芸者)는 누구인가?
2. 게이샤(芸者)의 역사
3. 게이샤(芸者)의 생활
4. 게이샤(芸者)의 외관
Ⅱ. 한국의 기생(妓生)
<참고 문헌>
1. 게이샤(芸者)는 누구인가?
2. 게이샤(芸者)의 역사
3. 게이샤(芸者)의 생활
4. 게이샤(芸者)의 외관
Ⅱ. 한국의 기생(妓生)
<참고 문헌>
본문내용
여 사회적으로 비중 있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진주(晉州)기생 산홍(山紅)같은 이는 <기생 줄 돈이 있으면 나라를 위해 피 흘리는 젊은이에게 주라>고 친일파 인사를 꾸짖어 논개(論介)로 대표되는 의기(義妓)의 맥을 이었으며, 1919년 3.1운동 때는 진주 수원(水原), 해주(海州), 통영(統營) 등지의 기생 조합원들이 궐기하여 만세 시위를 크게 벌였고, 이에 용기를 얻어 참여한 민중을 선두에서 주도하기도 했다. 한편 1907년의 한성기생조합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생겨났던 조합은 일제 강점기에 들어오면서 권번(卷番)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광복 후 이것이 폐지되어 제도적인 기생은 사라졌다.
<참고 문헌>
리자댈비 저;유용훈 역, 게이샤, 우석,1999.
랜디브라운 저;윤철희 역, 게이샤 A life, 미다스북스, 2003.
구견서 저, 현대 일본 문화론, 시사 일본어사, 2000.
한국일어일문학회, 게타도 짝이 있다, 글로세움, 2003.
가와무라미나토저; 유재순역, 말하는 꽃 기생, 소담출판사, 2002.
<참고video>
아시아리포트23회 아카사카의 게이샤
<참고site>
서울육백년사 홈>민속>사회>직업집단>기생
http://www.hankooki.com
http://guidejapan.net/JCulture/geisya.htm
http://www.whatever.net.au/~amaya/geisha/gallery/modern/
화려하지만 슬픈 이름 ‘게이샤’와
말하는 꽃 ‘기생’의 문화비교
제출일: 2006. 4. 7
과 목: 일본 문화론
교수님: 교수님
학 과: 교육학과
학 번:
이 름:
<참고 문헌>
리자댈비 저;유용훈 역, 게이샤, 우석,1999.
랜디브라운 저;윤철희 역, 게이샤 A life, 미다스북스, 2003.
구견서 저, 현대 일본 문화론, 시사 일본어사, 2000.
한국일어일문학회, 게타도 짝이 있다, 글로세움, 2003.
가와무라미나토저; 유재순역, 말하는 꽃 기생, 소담출판사, 2002.
<참고video>
아시아리포트23회 아카사카의 게이샤
<참고site>
서울육백년사 홈>민속>사회>직업집단>기생
http://www.hankooki.com
http://guidejapan.net/JCulture/geisya.htm
http://www.whatever.net.au/~amaya/geisha/gallery/modern/
화려하지만 슬픈 이름 ‘게이샤’와
말하는 꽃 ‘기생’의 문화비교
제출일: 2006. 4. 7
과 목: 일본 문화론
교수님: 교수님
학 과: 교육학과
학 번:
이 름:
추천자료
최우수 기업으로 우뚝 선 이즈모 시청
친일파 조사
서비스 마케팅 (인적자원관리)
유미유동
왜 많은 청소년들이 자살을 하는가?
[NIE]NIE(신문활용교육)의 정의, NIE(신문활용교육)의 의의, NIE(신문활용교육)의 효과, NIE(...
스크린쿼터 유지에 관한 찬반논쟁에 관한 조사
아동문학에 나타난 도깨비의 상 - 전래동화와 창작동화를 중심으로
[문화정책의 조직] 외국(프랑스, 영국, 독일, 미국, 일본)의 문화정책조직과 우리나라문화정...
[영화감상문]폭렬닌자 고에몬 (ゴエモン: Goemon)
폼포코 너구리 대작전
우리나라와다른문화-전통문화,생활방식,태국의 쏭크란 축제,일본 새해맞이 축제,결혼문화,목...
영화 굿바이 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