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설
Ⅱ. 본론
1, 청년문화의 형태
1)루저문화의 일상화를 노래한 장기하
2)그래피티 예술
2. 88만원 세대 - 청년 문화의 배경
1)거시적 측면 - 사회 구조, 매커니즘의 문제
2)미시적 측면 - White color 지향주의 -하류 계층의 주체성 결여 및 수동적 인식
Ⅲ. 결론
Ⅱ. 본론
1, 청년문화의 형태
1)루저문화의 일상화를 노래한 장기하
2)그래피티 예술
2. 88만원 세대 - 청년 문화의 배경
1)거시적 측면 - 사회 구조, 매커니즘의 문제
2)미시적 측면 - White color 지향주의 -하류 계층의 주체성 결여 및 수동적 인식
Ⅲ. 결론
본문내용
자 - 루저 라는 이분법적인 도식 속에 갇혀있기에 발전할 수 없다.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루저 문화 자체가 하자가 있어서 해체되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루저’ 라는 역설적인 단어의 의미가 없어져야만 이러한 도식이 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상위 5% 속에 있는 엄친아들이 행복하고, 그렇지 않은 자들은 무조건 불행하다고 볼 수 없음은 이미 방글라데시의 삶 만족도, 행복지수 등을 통해 증명된 바 있다. 오히려 승자에게 부추겨지는 기대심리는 끝이 없기에 위너와 루저라는 구도는 승자조차도 불행하게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다.
‘180cm 이상의 키’ , ‘학벌’, ‘돈’, ‘명예’ 등은 상대적인 잣대이다. 자신이 자신에게 만족하고 행복할 수 있다면 그것이 진정한 승자이며 , 따라서 상대적 기준이 아닌 절대적 기준에서 바라본다면 위너와 루저는 사회의 기준이나 잣대가 아니라 스스로의 인식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청년문화 및 루저문화의 주체는 무한대의 꿈과 열정을 가졌으나 어떠한 사회적 구조에 의해 가로막힌 모든 이들이며 , 그들의 목표는 승자와 루저문화의 해체가 아니라 그 근본적 구조의 해체와 인식 변화를 의미한다고 필자는 조심스레 결론을 맺어본다.
‘180cm 이상의 키’ , ‘학벌’, ‘돈’, ‘명예’ 등은 상대적인 잣대이다. 자신이 자신에게 만족하고 행복할 수 있다면 그것이 진정한 승자이며 , 따라서 상대적 기준이 아닌 절대적 기준에서 바라본다면 위너와 루저는 사회의 기준이나 잣대가 아니라 스스로의 인식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청년문화 및 루저문화의 주체는 무한대의 꿈과 열정을 가졌으나 어떠한 사회적 구조에 의해 가로막힌 모든 이들이며 , 그들의 목표는 승자와 루저문화의 해체가 아니라 그 근본적 구조의 해체와 인식 변화를 의미한다고 필자는 조심스레 결론을 맺어본다.
추천자료
중학교 2학년 도덕 -공개수업 지도안-(4)통일을위해우리가해야할일
한국 사회 소비 양극화
황사의 발생원인과 문제점 및 대책방안(A+자료)
직장 재 성차별
이청춘 - 그 자신과의 화해를 위하여
통일교육 학습지도안(북한말 알기)
[소비문화] 우리나라 소비문화에 관한 고찰
고령화 사회에서의 독거노인 문제 및 해결 방안
[보웬 (Bowen)][가족치료][가족치료적용 사례]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이론 - 보웬의 다세대 ...
[성의식 실태 조사] 원나잇 스탠딩(one night stand) - 원나잇 스탠딩 개념과 특징, 원나잇 ...
정치적 무관심 현상 소고
저출산 현상(저출산의 문제와 원인)
저출산 고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