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제주도 4.3사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 제주도 4.3사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 제주도 43사건의 배경
 2) 제주도 43사건의 원인

  제주도 43사건의 전개
  제주도 43사건의 피해와 규모
  제주도 43사건의 이해

3.결론
 제주도 43사건의 쟁점과 앞으로의 자세

4.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리 민주주의라 하면 이해가 쉽다. 제주도에서는 1945년 9월 10일 인민위원회에 설립되었다. 구성원들은 당시에 독립운동을 주도했던 이름 있는 사람들이었고 제주도민들에게 깊은 신망을 얻었다.
-서북청년회(서청)은 무엇이며 어떤 조직인가요?
서북청년회의 서북은 평안도를 관서, 황해도를 해서라는 것에서 ‘서’를 따고 함경도를 관북이라 한 것에서 ‘북’을 따서 서북이란 용어가 생겼다. 광복직후 북측은 남측과 달리
친일파 청산과 ‘무상물수 무상분배’ 방식의 토지개혁이 시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그 지역의 지주나 자유주의적 성향이 있는 사람들이 처단되거나 땅을 몰수 당하자 남쪽으로 내려오게 되었는데 이들이 서북청년회의 근간이다. 북한의 공산주의에 의해 가족과 재산을 잃은 이들은 북한과 관련 조직에 대해 강한 반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이 당시 극심한 실직난, 식량난으로 인해 생계유지에 위협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잘 알던 이승만 정권은 이들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였고 결과적으로 제주43사건의 원인이자 대량학살의 원인이 되었다.
-제주도43사건의 슬로건이 남한만의 단독선거 반대, 자주적 통일국가 건설인데 이정도로 국민들의 정치의식이 높았나요?
사실상 모든 주민이 이러한 고양된 의식을 가졌다고 말한다고 거짓말일 것이다. 사실 이 당시에는 문맹자도 많았고 먹고 살기 바빠서 정치에 관심을 가질 여유조차 없었다.그러나 해방후에도 서북청년회의 횡포, 경찰을 권력남용, 미군정의 실정 등에따라 제주도민들의 반감이 고조되었고 도민들은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토벌대에 의탁하게 되었다.
3.결론
제주도 43사건의 쟁점과 앞으로의 자세
- 제주도 43사건의 성격 - 제주도 43사건은 한마디로 해방 후 통일된 정부수립을 위한 운동이라 볼 수 있다. 이는 43사건 봉기 목적인 ‘남한만의 단독정권 수립 반대‘에 잘 나타나 있다. 그러나 사실 지도층을 제외한 대부분은 봉기자들은 일반 민중이었고 이들이 그 정도의 정치의식을 가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들은 미군정의 실정과 극우단체들에 대한 횡포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고 그들의 삶에서 어느쪽을 택해야 하는지 도 잘 알고 있었다는 점에서 이들도 지도층과 어느정도 생각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실상 43사건은 민중들에게는 목숨을 건 항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목숨을 건 이유는 그 당시 사회 분위기가 말해준다. 3.1절 발포사건 이전에 많은 수의 제주도민 들이 구속된 것만으로도 그들이 봉기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잘 설명해준다. 마지막으로 제주도민들의 수난이다. 제주43사건이 오늘날까지 관심을 받는 이유 중 하나가 엄청난 희생자 수이다. 이들의 죽음은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 될 수 없다.
- 오늘날 제주도 43사건 -
사실상 제주43사건은 오랫동안 금기시 되는 사항이었다고 한다. 유족들은 하소연은 커녕 부모가 토벌대에 의해 살해된 자식들은 ‘폭도자식’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살았고 친인척과 자식들은 연좌제에 의해 앞길이 모두 막혔다. 43사건이 끝난후 피폐해진 마을에서 굶주림에서 벗어나기 위해 몸부림
  • 가격13,86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9.17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80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