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지속가능경영
3. 그린 IT 배경 및 정의
4. 그린 IT 필요성
5. 그린 IT 발전단계
6. 해외 그린 IT 추진동향 분석
1) 영국
2) 미국
3) 일본
7. 국내 그린 IT 추진동향 분석
<참고문헌>
2. 지속가능경영
3. 그린 IT 배경 및 정의
4. 그린 IT 필요성
5. 그린 IT 발전단계
6. 해외 그린 IT 추진동향 분석
1) 영국
2) 미국
3) 일본
7. 국내 그린 IT 추진동향 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21가지 혁신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IT를 통한 친환경 시스템 구축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7. 국내 그린 IT 추진동향 분석
우리나라의 경우 교토의정서 의무 대상국에서는 제외되었으나 발리 로드맵 채택으로 강도 높은 CO2 감축 계획 수립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IT 산업이 경제 근간을 이루고 수많은 IT 제품이 폭넓게 확산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을 고려할 때, 향후 부여 될 CO2 감축 의무 이행을 위한 그린 IT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최근 지식경제부, 방송통신위원회, 행정안전부 등 IT 관련 부처들은 그린 IT 관련 정책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2005년부터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Standby Korea 2010’ 대기전력저감 프로그램 정도를 들 수 있다. ‘Standby Korea 2010’ 프로그램에는 PC, 모니터, 프린터, 팩시밀리, 복합기, TV, 비디오 DVD 플레이어, 셋톱박스, 홈게이트웨이, 모뎀, 유무선전화기, 휴대전화충전기 등 22개 품목이 해당되며 1단계(2005~2007)는 자발 적인 1W 정책, 2단계(2008~2009)는 의무적 정책 전환준비 및 일부제품 의무규정 적용, 3단계(2010)는 의무적 1W 정책을 단계별로 추진한다. 이에 따라 2007년까지 대기전력 저감을 위해 대기시간에 슬립모드 채택과 대기전 력 최소화를 규정하여 제조업체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2008년부터는 제조업체에게 의무적으로 강제하고 있 다.
지식경제부는 새로운 IT 성장 전략으로 제시한 ‘뉴IT 전략’ 12개 세부 과제 중 하나로 그린 IT를 선정하고 IT 기기 에너지 효율을 2012년까지 20%로 향상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에너지 효율제고 기술개발을 확대하고자 향후 5년간 총 2천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식경제부 보도자료(2008.7.11), 뉴 IT 전략; IT 산업이 한국 경제의 희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그린 IT TF팀을 구성하고 그린 IT 추진협의회 설립과 방송통신 부문 그린 IT 추진 종합계획 수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친환경 기지국 등 다
양한 그린 IT 사업 발굴을 위한 기반 연구와 이동통신 부문 CO2 배출량 측정 등 그린 IT 정책 수립을 위해 필요한 기초통계 작성을 병행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정부통합전산센터의 그린화를 위한 ‘그린 IDC(Internet Data Center) T/F'를 구성해 에너지 절약 신규과제를 발굴하고 ‘에너지절약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행정안전부 보도자료(2008.6.10), 정부통합전산센터 에너지절약 종합계획 추진
. 상기 계획은 월 1회 실내 환경 데이터 측정관리를 통한 적정 실내온도 유지, 자판기·정수기 타이머 설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함께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에너지 절감을 통한 환경보호 및 예산절감을 위해 ‘그린 기반의 통합전산센터 환경개선 계획’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계획은 전문기관의 에너지 진단 실시, 유휴장비 전원 차단 및 철거 등 데이터센터의 특성에 적합한 에너지절감 방안을 담고 있다. 최근 행정안전부는 녹색정보화 TF팀을 구성하고 정부 정보자원 그린화와 IT 기반의 녹색정부 구현을 위한 녹색정보화 종합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실행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참고문헌>
*국내문헌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시도 공무원을 위한 지방지속가능발전 업무매뉴얼”, 2008
나철혁, “그린 IT를 위한 영상회의시스템의 구축 방식”,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박상현,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주요국 그린 IT 정책 추진 동향과 시사점”,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8
박상현, “글로벌 IT 기업의 그린 IT 추진 현황 및 시사점 캡제미니 그린 IT 리포트 2008 분석”,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8
산은경제연구소, “친환경 그린 IT 현황 및 시사점 - IT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2008
송길헌, “그린 데이터센터 구축 사례에 기반한 그린 IT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 정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송인경, “국내 항공산업과 지속가능경영”, 한국항공경영학회, 2006
심상천, “선진 그린 IT정책을 통해서 본 우리나라 정책의 개선방안”, 산업경영연구, 제22권 제5호 통권85호, 한국산업경영학회, 2009
유상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Green IT 준비도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이기훈, “지속가능경영과 기업의 이해관계자 대응전략”, 한국항공경영학회, 2006
전병철, "기업의 그린 IT 현황 및 실천과제", 전국경제인연합회, 2009
황종성,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그린 IT 정책 추진 방향”,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9
*해외문헌
Cabinet Office, “Greening Government ICT: Efficient, Sustainable, Responsible”, 2008
EPA, “Report to Congress on Server and Data Center Energy Efficiency Public Law”, 2007
Gartner, “GreenI T : A new industry shock wave”, 2008
IBM, “IT energy efficiency for small and mid-size business”, 2008
OECD, “OECD envirormental outlook to 2030”, 2008
IDC, “Green IT Barometer-European organisations and the business Imperatives for deploying a green and sustainable IT strategy”, 2008
Takao SHIINO, “Global Warming Initiatives by the Information Services Industry”, 2008
Takayuki Sumita, “Green IT Initiative as a policy to provide a solution”, OECD Workshop on ICTs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2008
7. 국내 그린 IT 추진동향 분석
우리나라의 경우 교토의정서 의무 대상국에서는 제외되었으나 발리 로드맵 채택으로 강도 높은 CO2 감축 계획 수립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IT 산업이 경제 근간을 이루고 수많은 IT 제품이 폭넓게 확산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을 고려할 때, 향후 부여 될 CO2 감축 의무 이행을 위한 그린 IT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최근 지식경제부, 방송통신위원회, 행정안전부 등 IT 관련 부처들은 그린 IT 관련 정책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2005년부터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Standby Korea 2010’ 대기전력저감 프로그램 정도를 들 수 있다. ‘Standby Korea 2010’ 프로그램에는 PC, 모니터, 프린터, 팩시밀리, 복합기, TV, 비디오 DVD 플레이어, 셋톱박스, 홈게이트웨이, 모뎀, 유무선전화기, 휴대전화충전기 등 22개 품목이 해당되며 1단계(2005~2007)는 자발 적인 1W 정책, 2단계(2008~2009)는 의무적 정책 전환준비 및 일부제품 의무규정 적용, 3단계(2010)는 의무적 1W 정책을 단계별로 추진한다. 이에 따라 2007년까지 대기전력 저감을 위해 대기시간에 슬립모드 채택과 대기전 력 최소화를 규정하여 제조업체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2008년부터는 제조업체에게 의무적으로 강제하고 있 다.
지식경제부는 새로운 IT 성장 전략으로 제시한 ‘뉴IT 전략’ 12개 세부 과제 중 하나로 그린 IT를 선정하고 IT 기기 에너지 효율을 2012년까지 20%로 향상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에너지 효율제고 기술개발을 확대하고자 향후 5년간 총 2천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식경제부 보도자료(2008.7.11), 뉴 IT 전략; IT 산업이 한국 경제의 희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그린 IT TF팀을 구성하고 그린 IT 추진협의회 설립과 방송통신 부문 그린 IT 추진 종합계획 수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친환경 기지국 등 다
양한 그린 IT 사업 발굴을 위한 기반 연구와 이동통신 부문 CO2 배출량 측정 등 그린 IT 정책 수립을 위해 필요한 기초통계 작성을 병행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정부통합전산센터의 그린화를 위한 ‘그린 IDC(Internet Data Center) T/F'를 구성해 에너지 절약 신규과제를 발굴하고 ‘에너지절약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행정안전부 보도자료(2008.6.10), 정부통합전산센터 에너지절약 종합계획 추진
. 상기 계획은 월 1회 실내 환경 데이터 측정관리를 통한 적정 실내온도 유지, 자판기·정수기 타이머 설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함께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에너지 절감을 통한 환경보호 및 예산절감을 위해 ‘그린 기반의 통합전산센터 환경개선 계획’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계획은 전문기관의 에너지 진단 실시, 유휴장비 전원 차단 및 철거 등 데이터센터의 특성에 적합한 에너지절감 방안을 담고 있다. 최근 행정안전부는 녹색정보화 TF팀을 구성하고 정부 정보자원 그린화와 IT 기반의 녹색정부 구현을 위한 녹색정보화 종합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실행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참고문헌>
*국내문헌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시도 공무원을 위한 지방지속가능발전 업무매뉴얼”, 2008
나철혁, “그린 IT를 위한 영상회의시스템의 구축 방식”,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박상현,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주요국 그린 IT 정책 추진 동향과 시사점”,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8
박상현, “글로벌 IT 기업의 그린 IT 추진 현황 및 시사점 캡제미니 그린 IT 리포트 2008 분석”,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8
산은경제연구소, “친환경 그린 IT 현황 및 시사점 - IT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2008
송길헌, “그린 데이터센터 구축 사례에 기반한 그린 IT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 정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송인경, “국내 항공산업과 지속가능경영”, 한국항공경영학회, 2006
심상천, “선진 그린 IT정책을 통해서 본 우리나라 정책의 개선방안”, 산업경영연구, 제22권 제5호 통권85호, 한국산업경영학회, 2009
유상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Green IT 준비도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이기훈, “지속가능경영과 기업의 이해관계자 대응전략”, 한국항공경영학회, 2006
전병철, "기업의 그린 IT 현황 및 실천과제", 전국경제인연합회, 2009
황종성,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그린 IT 정책 추진 방향”,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9
*해외문헌
Cabinet Office, “Greening Government ICT: Efficient, Sustainable, Responsible”, 2008
EPA, “Report to Congress on Server and Data Center Energy Efficiency Public Law”, 2007
Gartner, “GreenI T : A new industry shock wave”, 2008
IBM, “IT energy efficiency for small and mid-size business”, 2008
OECD, “OECD envirormental outlook to 2030”, 2008
IDC, “Green IT Barometer-European organisations and the business Imperatives for deploying a green and sustainable IT strategy”, 2008
Takao SHIINO, “Global Warming Initiatives by the Information Services Industry”, 2008
Takayuki Sumita, “Green IT Initiative as a policy to provide a solution”, OECD Workshop on ICTs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2008
키워드
추천자료
[유비쿼터스] 인공지능 : 지능형 홈 네트워크의 현 주소와 전망
유비쿼터스의 세계적 동향
기업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지식경영 활용과 기업의 성공 및 실패 사례
[경영학]한국 중소기업 정보화의 문제점 및 성공요인
MP3 코원(Cowon)의 중국 진출 방향
IT산업 육성정책 방향
[디지털컨텐츠][디지털방송]디지털컨텐츠, 디지털방송 개념, 디지털컨텐츠, 디지털방송 특성,...
[ASP][ASP산업][ASP산업 구분][ASP산업 현황][ASP산업 사례][데이콤][ASP산업 시장 전망]ASP...
디지털 기술과 방송통신기술 발달로 파생되는 산업구조분석
[공업유기설계] 2011년도 1학기 공업유기화학 설계 과제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 과제6. PLA의...
최첨단 IT부품소재 ecs Co.,Ltd - No Ventured No Gained 2003년도 사업 계획
(학위논문)한국 중소기업의 전자무역 이용현황과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기업 해외시장][기업][해외시장][기업 해외시장 진입방식][기업 해외시장 투자요인][섬유산...
빅데이터 정의분석및 빅데이터 서비스 활용사례분석과 빅데이터 국가별 정책동향분석및 빅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