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제7장 문제해결 및 창의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심리학] 제7장 문제해결 및 창의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7 장 문제해결 및 창의성


◎ 사고

1. 문제해결
1) 문제해결의 단계
2) 문제공간의 분석
3) 일반적인 문제해결 방법 : 문제 공간의 검색
4) 문제해결에서 표상의 중요성
5) 문제해결 능력의 증진을 위한 학습


◎ 창의성

1) 창의성에 관한 전통적 접근
2) 최근의 인지적 접근
3) 창의적인 개인의 특성
4) 창의성과 교육

본문내용

공간을 이동하는 과정. 전체목표를 한꺼번에 직접 달성할 수 는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따라서 우선 하위목표들을 설정하고 이들을 달성함으로써 점진적으로 전체목표에 접근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하위목표란?
문제를 해결하는데 하나 이상의 목적이 요구되면, 이들 목적들을 \'하위목적\'이라고 부른다.
-하위목표를 설정하는 방법
*연산법(algorithm)(=맹목적 탐색)
문제공간을 빠짐없이 철저하게 검색하는 방법.
(적절히 수행되기만 한다면 문제해결이 틀림없이 보장되는 방법)
ex1)글자 수수께끼 (주어진 낱자들을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조합해서 단어를 찾는 것)
a,b,c 세 낱자가 주어졌다고 할 때 가능한 모든 조합은 abc, acb, bac, bca, cab, cba 이다.
이중에서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는 cab이다.
ex2)1,3,4,5,8,9 이 주어진 숫자들을 한번씩만 사용해서, 다음식을 완성하여라.
oo.o 48.3
- oo.o - 19.5
------------- ---------------
28.8 28.8
** 연산법은 문제의 해결을 보장해 주기는 하지만, 문제공간의 검색에 엄청나게 많은 시간
이 소모될 수 있고, 문제공간을 완전하게 검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발견법(heuristics)
** 발견법은 경험을 통해 얻은 실제적인 방법으로서 연산법과는 달리 반드시 해결에 성공
한다는 보장은 없지만 연산법보다 훨씬 노력을 적게 들이고도 빠른 시간 내에 해결을
볼 수 있는 방법이다.
1. 수단-목표 분석
: 가장 흔히 쓰이는 발견법으로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변형문제를 포함하여, 목표상태가 잘 정의되어 있는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 수단-목표분석의 2가지 핵심측면
*차이감소
*하위목표설정(산오르기방법)
:현재의 문제상태와 목적상태의 차이, 지금 현재 가지고 있는 것과, 가지고 싶어하는
것의 차이를 결정하고 이러한 차이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한 조작인 선택.
** 모든 발견법과 마찬가지로 문제해결에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2. 전진적 작업법
:현실에서 가능한 행위들을 고려해 보고, 최선의 것을 선택하고, 선택한 것을 적용했을 때 무엇이 일어났는지를 살펴본 후 이 과정을 반복하는 것.
3. 후진적 작업법
:목표에서 부터 거꾸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문제해결방법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바로 이전에 어떤 단계가 필요한지를 알아내고 또 그 단계
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에 어떤 단계가 필요한지를 알아내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
**현재 상태로부터 나아갈 수 있는 진행방향이 너무 많아 그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 결정하
기가 어려울 때나, 최종 마감시간까지 일을 전부 마치기 위하여 중간 마감시간을 결정
하는데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4.유추에 의한 문제해결
:문제해결은 단순한 시행착오 과정이 아니고 문제의 요소들과 그들 간의 관계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어야만 이루어진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답의 원리를 먼저 파악해야 하고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은 그 다음에 조정되어야 한다.
ex1) 종양과 방사선 - 장군이야기
4) 문제해결에서 표상의 중요성
-문제해결에서 문제의 표상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제의 중요한 특징들을 얼마나 잘 표상하느냐에 따라 문제가 쉽게 풀리느냐 그렇지 않느냐가 결정된다.
-문제가 잘 해결되지 않을 때에는 문제를 전혀 다른 관점에서 보고 새롭게 표상하면 해답을 얻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1)기능적 고착
:사물을 일상적이고 관습적인 기능으로만 표상하고 이를 벗어난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것
으로 표상하지 못하는 현상.
ex1) 두 개의 밧줄문제, Duncker의 실험
(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7.17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9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