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자료 및 방법
3. 문헌고찰
4. 간호사정
5. 환자에게 사용된 약품 정보
6. 환자에게 시행한 검사
7. 간호과정
8. 결론
※. 참고문헌
2. 자료 및 방법
3. 문헌고찰
4. 간호사정
5. 환자에게 사용된 약품 정보
6. 환자에게 시행한 검사
7. 간호과정
8.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측정하여 50회 이하로 저하된 경우에는 증량하지 않는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비염,두통,변비,기침증가,부정맥,서맥,발진 등
6. 환자에게 시행한 검사
환자에게 시행한 검사
①CAG =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내에 방사선에 잘 보이는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영상을 얻어 혈관의 구조와 질병
의 유무를 평가하여 심혈관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방침을 결정 할 수 있는 시술
-대퇴동맥, 요골동맥을 통하여 관상동맥 내로 진입시킨 후 조영제를 주사하여 관상동맥의
형태나 이상을 관찰
※결과 ⇒ ·Non-coronary origin chest pain
·normal coronaries
7. 간호과정
#1. 진단- 불이행
정의- 치료지시를 따르지 않는 상태.
#1.
2012년 4월 18일
사정
S: -“밥 먹고 커피 먹으면 왜 안돼?”
-“배고픈데 밥 그냥 먹으면 안돼?”
O: -교육받은 내용을 부정확하게 수행
진단
< 검사과정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이행 >
목표
목표 : 검사과정을 이해하고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계획
①환자의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②환자교육에 보호자를 포함시키고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설명한다.
③같은 진단명을 가진 사람들과의 만남을 제공한다.
④검사과정에 대해서 재설명한다.
이론적근거
①환자의 지식정도에 맞추어 설명하여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②환자만이 아니라 보호자의 이해도를 높여 환자 간호에 도움을 줌.
③공감대 형성하여 치료과정에 대한 불안을 감소, 이해도를 증가함.
④재설명을 통하여 환자가 계획을 이행하도록 한다.
수행
①환자의 지환자의 교육정도 : 초등학교 졸업
식을 사정하여 검사과정 설명 수준을 결정하였다.
②-보호자의 지식정도 또한 사정하여 환자 간호에 있어서 검사과정을
보호자(딸)의 교육정도 : 대학교 졸업
이해하도록 하고 설명 시 함께 설명을 듣도록 하였다.
③치료받기 전에 금식을 하는 이유를 지식정도에 맞추어 설명4월17일~18일 카페인 제한 식이→4월19일(검사전날 자정 저녁)부터 NPO실시
하였다.
⇒검사과정에 영향을 주는 카페인을 제한해야 하며 NPO를 실시해
놓지 않았다면 검사결과에 영향을 주어 정확히 검사할 수 없다.
④환자에게 검사과정을 설명할 때 같은 진단명을 가지고 같은 치료를
받을 환자와 함께 교육시키며 함께 이야기를 하도록 하였다.
⑤검사과정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하였다.
평가
-교육 후 교육 내용을 제대로 수행하여 불이행을 보이지 않았음.
#2. 진단- 수면장애
정의- 수면이 양적·질적 요인으로 장애를 받는 것.
#2.
2012년 4월 18일
사정
S: “병원에 입원한 이후부터 잠을 잘 못 잤어”
“내가 원래 환경이 바뀌면 잠을 잘 못 자는 편이야”
“밤에 잠이 안와서 힘들어”
O: -낮잠 자는 모습을 확인.
-잠을 못 잤다고 말하며 피곤해 함.
진단
< 입원으로 인해 바뀐 환경과 관련된 수면장애 >
목표
목표 : 수면장애가 사라지며 이전과 같은 수면을 유지한다.
계획
①수면과 활동양상(잠드는 시간, 일어나는 시간)을 사정한다.
②불면을 감소시킬 요인을 제공한다.
-낮에 수면을 피하도록 교육한다.
-차,커피,콜라 등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의 섭취를 제한한다.
-자기 전 따뜻한 우유를 마시도록 한다.
-자기 전 tv 등 소음을 차단하며 커튼을 치고 잠을 자도록 한다.
이론적근거
①수면양상을 사정한 후 간호를 시작한다.
②-밤에 평온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런 음료들은 오히려 잠을 깨우는데 효과가 있다.
-트립토판이 풍부한 우유를 마시면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의 분비가 늘어나면서
뇌가 휴식을 취하기 쉬워지게 된다.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 수면을 용이하게 한다.
수행
①수면 양상을 사정하였다.
-잠드는 시간은 새벽12시쯤이고 기상시간은 새벽 6시였다.
②-밤에 잘 잘 수 있도록 낮잠을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제한하도록 교육하였다.
-자기 전 따뜻한 우유를 한 잔 마시고 자도록 하였다.
-자기 전 소음을 차단하고 커튼을 치고 자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20일 아침에 어제는 잠을 잘 잤다고 말함.
#3. 진단- 피부손상
#3.
2012년 4월 19일-4월20일
사정
S: “여기(검사부위=손목) 피부가 완전히 벗겨졌어\"
O: 검사 부위에 3X3 피부가 손상됨.
진단
< 혈관조영술 검사와 관련된 피부손상 >
목표
목표: 피부 손상이 사라지고 깨끗한 피부가 유지된다.
계획
①피부상태를 사정한다.
②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건조시키도록 교육한다.
③반창고 사용법을 교육한다.
④피부 자극요인을 감소시킨다.
이론적근거
①피부상태를 사정한 후 간호를 시작한다.
②청결함으로 감염을 예방한다.
③피부손상을 잘 관리할 수 있다.
④더 이상 손상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행
①팔목 검사부위 3x3 피부 손상이 있었다.
②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건조시키도록 교육하였다.
③반창고 사용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반창고 제거 시 피부손상에 유의하라고 교육하였다.
④팔을 이유없이 움직이지 않도록 유의하며 오염 부위에 닿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4/20일 피부가 아물지 않았음.
8. 결론
◆이번 케이스인 불안정형 협심증(uAP)을 진단명으로 가지고 계신 이ㅇㅇ환자분은 흉통으로 입원하셔서 총 3가지의 검사를 통하여 의심되는 관상동맥을 검사하셨지만 환자의 경우 관상동맥이 정상으로 흉통의 원인이 되지 않는다는 검사결과가 나왔다.
◆72병동은 여러 가지 과가 있어서 다양한 케이스들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모두들 잘 대해주셔서 행복한 실습으로 기억될 것 같다. 그리고 내가 어려워하던 순환기 파트를 더욱 공부할 수 있었고 어려웠던 부분을 다시 공부할 수 있게끔 만들어 준 것 같아서 취직이 1년 남짓 남은 이 시점에서 의미있는 실습이었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김현아 외(2010). 임상실습 매뉴얼. 현문사
-신경림 외(2010). 성인간호학. 현문사
-양선희 외(2009). 기본간호학. 현문사
-원종순 외(2009). 기본간호학 수기. 현문사
-http://www.naver.com
-http://www.druginfo.co.kr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비염,두통,변비,기침증가,부정맥,서맥,발진 등
6. 환자에게 시행한 검사
환자에게 시행한 검사
①CAG =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내에 방사선에 잘 보이는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영상을 얻어 혈관의 구조와 질병
의 유무를 평가하여 심혈관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방침을 결정 할 수 있는 시술
-대퇴동맥, 요골동맥을 통하여 관상동맥 내로 진입시킨 후 조영제를 주사하여 관상동맥의
형태나 이상을 관찰
※결과 ⇒ ·Non-coronary origin chest pain
·normal coronaries
7. 간호과정
#1. 진단- 불이행
정의- 치료지시를 따르지 않는 상태.
#1.
2012년 4월 18일
사정
S: -“밥 먹고 커피 먹으면 왜 안돼?”
-“배고픈데 밥 그냥 먹으면 안돼?”
O: -교육받은 내용을 부정확하게 수행
진단
< 검사과정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이행 >
목표
목표 : 검사과정을 이해하고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계획
①환자의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②환자교육에 보호자를 포함시키고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설명한다.
③같은 진단명을 가진 사람들과의 만남을 제공한다.
④검사과정에 대해서 재설명한다.
이론적근거
①환자의 지식정도에 맞추어 설명하여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②환자만이 아니라 보호자의 이해도를 높여 환자 간호에 도움을 줌.
③공감대 형성하여 치료과정에 대한 불안을 감소, 이해도를 증가함.
④재설명을 통하여 환자가 계획을 이행하도록 한다.
수행
①환자의 지환자의 교육정도 : 초등학교 졸업
식을 사정하여 검사과정 설명 수준을 결정하였다.
②-보호자의 지식정도 또한 사정하여 환자 간호에 있어서 검사과정을
보호자(딸)의 교육정도 : 대학교 졸업
이해하도록 하고 설명 시 함께 설명을 듣도록 하였다.
③치료받기 전에 금식을 하는 이유를 지식정도에 맞추어 설명4월17일~18일 카페인 제한 식이→4월19일(검사전날 자정 저녁)부터 NPO실시
하였다.
⇒검사과정에 영향을 주는 카페인을 제한해야 하며 NPO를 실시해
놓지 않았다면 검사결과에 영향을 주어 정확히 검사할 수 없다.
④환자에게 검사과정을 설명할 때 같은 진단명을 가지고 같은 치료를
받을 환자와 함께 교육시키며 함께 이야기를 하도록 하였다.
⑤검사과정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하였다.
평가
-교육 후 교육 내용을 제대로 수행하여 불이행을 보이지 않았음.
#2. 진단- 수면장애
정의- 수면이 양적·질적 요인으로 장애를 받는 것.
#2.
2012년 4월 18일
사정
S: “병원에 입원한 이후부터 잠을 잘 못 잤어”
“내가 원래 환경이 바뀌면 잠을 잘 못 자는 편이야”
“밤에 잠이 안와서 힘들어”
O: -낮잠 자는 모습을 확인.
-잠을 못 잤다고 말하며 피곤해 함.
진단
< 입원으로 인해 바뀐 환경과 관련된 수면장애 >
목표
목표 : 수면장애가 사라지며 이전과 같은 수면을 유지한다.
계획
①수면과 활동양상(잠드는 시간, 일어나는 시간)을 사정한다.
②불면을 감소시킬 요인을 제공한다.
-낮에 수면을 피하도록 교육한다.
-차,커피,콜라 등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의 섭취를 제한한다.
-자기 전 따뜻한 우유를 마시도록 한다.
-자기 전 tv 등 소음을 차단하며 커튼을 치고 잠을 자도록 한다.
이론적근거
①수면양상을 사정한 후 간호를 시작한다.
②-밤에 평온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런 음료들은 오히려 잠을 깨우는데 효과가 있다.
-트립토판이 풍부한 우유를 마시면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의 분비가 늘어나면서
뇌가 휴식을 취하기 쉬워지게 된다.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 수면을 용이하게 한다.
수행
①수면 양상을 사정하였다.
-잠드는 시간은 새벽12시쯤이고 기상시간은 새벽 6시였다.
②-밤에 잘 잘 수 있도록 낮잠을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제한하도록 교육하였다.
-자기 전 따뜻한 우유를 한 잔 마시고 자도록 하였다.
-자기 전 소음을 차단하고 커튼을 치고 자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20일 아침에 어제는 잠을 잘 잤다고 말함.
#3. 진단- 피부손상
#3.
2012년 4월 19일-4월20일
사정
S: “여기(검사부위=손목) 피부가 완전히 벗겨졌어\"
O: 검사 부위에 3X3 피부가 손상됨.
진단
< 혈관조영술 검사와 관련된 피부손상 >
목표
목표: 피부 손상이 사라지고 깨끗한 피부가 유지된다.
계획
①피부상태를 사정한다.
②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건조시키도록 교육한다.
③반창고 사용법을 교육한다.
④피부 자극요인을 감소시킨다.
이론적근거
①피부상태를 사정한 후 간호를 시작한다.
②청결함으로 감염을 예방한다.
③피부손상을 잘 관리할 수 있다.
④더 이상 손상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행
①팔목 검사부위 3x3 피부 손상이 있었다.
②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건조시키도록 교육하였다.
③반창고 사용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반창고 제거 시 피부손상에 유의하라고 교육하였다.
④팔을 이유없이 움직이지 않도록 유의하며 오염 부위에 닿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4/20일 피부가 아물지 않았음.
8. 결론
◆이번 케이스인 불안정형 협심증(uAP)을 진단명으로 가지고 계신 이ㅇㅇ환자분은 흉통으로 입원하셔서 총 3가지의 검사를 통하여 의심되는 관상동맥을 검사하셨지만 환자의 경우 관상동맥이 정상으로 흉통의 원인이 되지 않는다는 검사결과가 나왔다.
◆72병동은 여러 가지 과가 있어서 다양한 케이스들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모두들 잘 대해주셔서 행복한 실습으로 기억될 것 같다. 그리고 내가 어려워하던 순환기 파트를 더욱 공부할 수 있었고 어려웠던 부분을 다시 공부할 수 있게끔 만들어 준 것 같아서 취직이 1년 남짓 남은 이 시점에서 의미있는 실습이었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김현아 외(2010). 임상실습 매뉴얼. 현문사
-신경림 외(2010). 성인간호학. 현문사
-양선희 외(2009). 기본간호학. 현문사
-원종순 외(2009). 기본간호학 수기. 현문사
-http://www.naver.com
-http://www.druginfo.co.kr
추천자료
울혈성심부전 - 정의, 병태생리, 성별, 심부전의 형태, 진단적 검사, 치료와 간호관리
협심증환자의 관상동맥우회술
판막질환
뇌졸중의 정의와 종류 원인과 치료 및 환자의 급성기 간호
[협심증][협심증의 정의][협심증의 원인][협심증의 증상][협심증의 진단][협심증의 치료][심...
중환자실 레포트
동맥경화성 동맥폐색증 (Arteriosclerosis Obliterans)case study
울혈성심부전증(CHF) 환자 case stydy, 간호과정
혈관수술 환자의 수술전후 간호 및 간호중재와 환자교육사항에 대해서
[아동간호] 고위험 아동 간호진단 및 중재(요약)
[자연과학] 뇌경색 case study
욕창 (Pressure sore)사정 예방법
Parkinsons disease CASE STUDY (파킨슨,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뇌출혈 Case Study / ICH(Intracerebral hemorrhage) Case Study / 응급실 Case Study /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