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표본추출의 이해
2, 확률추출
3, 단순무작위표집
4, 계층표집, 계통표집
5, 층화표집
6, 집락표집
참고문헌
1, 표본추출의 이해
2, 확률추출
3, 단순무작위표집
4, 계층표집, 계통표집
5, 층화표집
6, 집락표집
참고문헌
본문내용
면에서 효율적이기 때문
- 단순무작위표집으로만 추출한 경우, 표본에 뽑힌 요소들이 지리적으로 무한히 분산될 수 있음
2. 층화표집과의 차이
- 모집단을 몇 개의 하위집단으로 나눈다는 점에서 층화표집과 유사하게 모이지만 차이가 있음
- 우선 층화표집은 표집단위가 계층이 아니라 각 계층의 요소이지만, 집락표집은 표집단위가 집락임
- 또한 층화표집에서는 집단과 집단간에는 이질적이고, 집단내에서는 동질적인 것이 바람직한 반면, 집락표집에서는 집단과 집단간은 동질적이고 집단내에서는 이질적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함
- 즉 다양한 속성을 지닌 특정 집락이 뽑혀야만 전체를 대표할 수 있다는 것
3. 장점
-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 전체 모집단의 목록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됨. 즉, 뽑힌 집락의 명단만 작성하면 됨
4. 단점
- 집락이 동질적이면 오차의 개입 가능성이 높음
- 단순무작위표집보다 특정 집단의 특성을 과대 또는 과소하게 나타낼 위험성이 높음
- 확률표집은 각각의 사례가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을 알 수 있고, 모두가 추출될 기회를 동등하게 가지며, 각 단위들이 무작위적으로 추출되는 표집방법. 즉, 모든 사례가 추출될 확률이 명백한 표집방법
- 확률표집은 비확률표집보다 대표성있는 표본을 얻을 수 있고, 조사자로 하여금 표본오차, 즉 조사결과의 통계처리에 의해 모집단의 특성을 몇 퍼센트의 확신을 가지고 예측할 수 있는가를 계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단, 확률표집은 표본을 추출하기 전에 표집단위가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을 밝혀줄 수 있는 정보가 있느냐의 여부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표집 이전에 표집틀 마련이 가장 우선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
- 확률표집방법에는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한 유형으로 각 요소가 뽑힐 확률이 동등한 단순무작위표집방법, 전체 목록(표집틀)에서 매 k번째 요소를 표본으로 표집하는 계통표집방법, 모집단을 보다 동질적인 몇 개의 층으로 나누고 이러한 각 층으로부터 단순무작위표집 또는 계통적 표집을 하는 층화표집 방법, 모집단을 집락이라고 부르는 많은 수의 집단으로 분류하여, 그 집락들 가운데서 표집의 대상이 될 집락을 먼저 뽑아낸 다음에 뽑힌 집락에서만 표본을 추출하는 집락표집방법 등이 있다.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 단순무작위표집으로만 추출한 경우, 표본에 뽑힌 요소들이 지리적으로 무한히 분산될 수 있음
2. 층화표집과의 차이
- 모집단을 몇 개의 하위집단으로 나눈다는 점에서 층화표집과 유사하게 모이지만 차이가 있음
- 우선 층화표집은 표집단위가 계층이 아니라 각 계층의 요소이지만, 집락표집은 표집단위가 집락임
- 또한 층화표집에서는 집단과 집단간에는 이질적이고, 집단내에서는 동질적인 것이 바람직한 반면, 집락표집에서는 집단과 집단간은 동질적이고 집단내에서는 이질적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함
- 즉 다양한 속성을 지닌 특정 집락이 뽑혀야만 전체를 대표할 수 있다는 것
3. 장점
-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 전체 모집단의 목록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됨. 즉, 뽑힌 집락의 명단만 작성하면 됨
4. 단점
- 집락이 동질적이면 오차의 개입 가능성이 높음
- 단순무작위표집보다 특정 집단의 특성을 과대 또는 과소하게 나타낼 위험성이 높음
- 확률표집은 각각의 사례가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을 알 수 있고, 모두가 추출될 기회를 동등하게 가지며, 각 단위들이 무작위적으로 추출되는 표집방법. 즉, 모든 사례가 추출될 확률이 명백한 표집방법
- 확률표집은 비확률표집보다 대표성있는 표본을 얻을 수 있고, 조사자로 하여금 표본오차, 즉 조사결과의 통계처리에 의해 모집단의 특성을 몇 퍼센트의 확신을 가지고 예측할 수 있는가를 계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단, 확률표집은 표본을 추출하기 전에 표집단위가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을 밝혀줄 수 있는 정보가 있느냐의 여부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표집 이전에 표집틀 마련이 가장 우선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
- 확률표집방법에는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한 유형으로 각 요소가 뽑힐 확률이 동등한 단순무작위표집방법, 전체 목록(표집틀)에서 매 k번째 요소를 표본으로 표집하는 계통표집방법, 모집단을 보다 동질적인 몇 개의 층으로 나누고 이러한 각 층으로부터 단순무작위표집 또는 계통적 표집을 하는 층화표집 방법, 모집단을 집락이라고 부르는 많은 수의 집단으로 분류하여, 그 집락들 가운데서 표집의 대상이 될 집락을 먼저 뽑아낸 다음에 뽑힌 집락에서만 표본을 추출하는 집락표집방법 등이 있다.
참고문헌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이익섭.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4.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조사론 기본서 나눔의 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