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본적인 MR 촬영 기법
2. 척수 내 종양
2. 척수 내 종양
본문내용
1강조영상
경계 분명하고 강한 조영증강
종괴 상부에 척수공동증
2) 별아교세포종
호발부위
호발연령
병리소견
MR영상
경추부, 흉추부
20~30대
침윤성
주위 정상 척수와 구분되지 않음
척수의 편심부에 발생
(주로 후반부)
부분적이고 비균질적인 조영증강
낭성 변성, 출혈이 드물지 않음
T1 동등 혹은 약간 저신호강도.
T2 고신호강도.
※ 뇌실막세포종과 별아교세포종의 감별진단
뇌실막세포종
별아교세포종
호발연령
30~40대
20~30대
호발부위
요추부, 경추부, 흉추부
경추부, 흉추부
척수내 위치
중심
편심
분리면
있을 수 있음
없음
조영증강
흔히 균질
흔히 비균질
낭성 변성과 출혈
(모자징후)
흔함
드물지 않음
A. T1강조영상
경부척수에 척수를 팽만시키는 종괴 관찰
B. T2강조영상
종괴가 불균질한 고신호 강도 보임
C. T1강조영상
종괴 내부에 불균질한 조영증강
A. T2강조영상
흉부척수에 경계가 분명한 종양, 종괴 위아래로 낭종 (부종동반)
B. T1강조영상
흉부척수에 강한 조영증강
경계가 분명한 종괴
종괴 위아래로 늘어난
혈관이 조영증강
3) 혈관모세포종
호발부위
호발연령
병리소견
MR영상
경추부(50%)
흉추부(40%)
30대
치밀한 혈관조직의 고형성 부분
종양공급동맥과 늘어난 정맥
고형성 부분은 강한 조영증강
2/3에서 낭종 혹은 척수공동증
동반 혈관에 의한 신호소실
※ 다발성 경화증
A. T2강조영상
C4-T1수준의 경부척수 내 고신호강도 병변이 관찰되나 척수의 팽만은
관찰되지 않음
B. T1강조영상
C6부위에 국소적인 희미한 조영증강
척수의 팽만이 동반되지 않는 점이 척수종양과의 감별에 도움
경계 분명하고 강한 조영증강
종괴 상부에 척수공동증
2) 별아교세포종
호발부위
호발연령
병리소견
MR영상
경추부, 흉추부
20~30대
침윤성
주위 정상 척수와 구분되지 않음
척수의 편심부에 발생
(주로 후반부)
부분적이고 비균질적인 조영증강
낭성 변성, 출혈이 드물지 않음
T1 동등 혹은 약간 저신호강도.
T2 고신호강도.
※ 뇌실막세포종과 별아교세포종의 감별진단
뇌실막세포종
별아교세포종
호발연령
30~40대
20~30대
호발부위
요추부, 경추부, 흉추부
경추부, 흉추부
척수내 위치
중심
편심
분리면
있을 수 있음
없음
조영증강
흔히 균질
흔히 비균질
낭성 변성과 출혈
(모자징후)
흔함
드물지 않음
A. T1강조영상
경부척수에 척수를 팽만시키는 종괴 관찰
B. T2강조영상
종괴가 불균질한 고신호 강도 보임
C. T1강조영상
종괴 내부에 불균질한 조영증강
A. T2강조영상
흉부척수에 경계가 분명한 종양, 종괴 위아래로 낭종 (부종동반)
B. T1강조영상
흉부척수에 강한 조영증강
경계가 분명한 종괴
종괴 위아래로 늘어난
혈관이 조영증강
3) 혈관모세포종
호발부위
호발연령
병리소견
MR영상
경추부(50%)
흉추부(40%)
30대
치밀한 혈관조직의 고형성 부분
종양공급동맥과 늘어난 정맥
고형성 부분은 강한 조영증강
2/3에서 낭종 혹은 척수공동증
동반 혈관에 의한 신호소실
※ 다발성 경화증
A. T2강조영상
C4-T1수준의 경부척수 내 고신호강도 병변이 관찰되나 척수의 팽만은
관찰되지 않음
B. T1강조영상
C6부위에 국소적인 희미한 조영증강
척수의 팽만이 동반되지 않는 점이 척수종양과의 감별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