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원효의 대승기신론소
1. 원효의 생애
2. 원효의 대승기신론소
(1) 대승기신론소의 의미
(2) 대승기신론소의 구조
(3) 대승기신론소의 의의
3. 원효의 핵심 사상 - 일심, 이문, 삼대
(1)일심
(2) 이문
(2) 삼대
4. 화쟁사상
1) 일승 대 삼승
2) 중관 대 유식
3) 신유식 대 구유식
참고문헌
1. 원효의 생애
2. 원효의 대승기신론소
(1) 대승기신론소의 의미
(2) 대승기신론소의 구조
(3) 대승기신론소의 의의
3. 원효의 핵심 사상 - 일심, 이문, 삼대
(1)일심
(2) 이문
(2) 삼대
4. 화쟁사상
1) 일승 대 삼승
2) 중관 대 유식
3) 신유식 대 구유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상(心眞如相), 심생멸상(心生滅相)의 2문을 열어, 그 진생 2문의 상호 불가분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다시 이 眞生 2문을 바탕으로 하여 일심의 체성(體性)과 덕상(德相)과 업용(業用)을 설명하고 있다. 즉 심진여상(心眞如相)은 일심의 체(體)를, 심생멸상(心生滅相)은 일심 자체의 상(相)과 용(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특히 이를 부처의 여실지견(如實知見)에서 볼 때 광대무량하여 다 함이 없다하여 「大」의 의미를 부여하고, 그러한 체(體)상(相)용(用) 3대를 중심으로 一心의 신앙적 의의를 유감없이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3. 원효의 핵심 사상 - 일심, 이문, 삼대
(1)일심
원효는 一心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대승의 진리는 오직 일심이다. 이 일심 외에 또 다른 진리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무명이 일심을 어리석음으로 유혹하여 번뇌의 물결을 일으켜 여섯 가지 윤회의 길에 흘러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비록 육도의 파도를 일으킨다고 해도 일심의 바다에서 벗어나지 않고, 일심의 움직임으로 말미암아 육도를 짓는 것이다. 그러므로 널리 중생을 구하겠다는 소원을 나타낼 수가 있는 것이며, 육도는 일심 밖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두가 한 뿌리라는 생각에서 우러난 자비심을 일으킬 수 있다.” -『대승기신론소병별기』
일심은 여섯 가지 윤회의 길 가운데 어느 길로 가든 모두 평등하게 소유하고 있으며 모든 것은 일심에서 떠날 수 없으므로 결국 나의 본성이나 나 외의 어떠한 본성도 같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보살은 모든 중생과 본질적인 면에서 하나라는 진리를 깨닫고 큰 자비심을 일으켜 구제활동을 편다는 것이다. 원효는 의상에게서 수전법(일원이 차곡차곡 쌓이면 십원이 된다. 그런 점에서 일원에는 십원이 될 성질이 있고, 반대로 십원 속에는 일원이 내포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원과 십원은 본질상 서로 장애가 없다.)을 전해듣고, 자신의 화엄학 연구에 반영하였다. 원효는 <화엄경>에 근거하여 자신의 일심 사상을 최종적으로 완성시켰다고 보는데, ‘하나’라는 개념에는 그물코 한 개를 잡아끌면 나머지 전체가 딸려오듯이 개개의 사물은 나머지 전우주와 서로 밀접한 관계에 놓여있다. 하나와 전체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 그것이 <화엄경>에서 말하는 ‘일즉다 다즉일’ 이다. 원효는 이 원리를 빌어와서 ‘하나’의 의미를 무한대로 확장시켰다. 그는 ‘하나’와 ‘전체’가 아무 걸림없이 드나드는 경지를 보법이라고 보았다. 한마음은 하나의 마음이지만 모든 중생들이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기에 모두의 마음이기도 하다. 만물의 근원인 한마음 앞에서 모든 인간은 본질적으로 평등하다. 그렇지만 중생들의 현실적 처지는 천차만별인데, 예컨대 각자 독특한 톱니바퀴를 지닌다. 그러므로 교화하는 사람은 모든 중생에게 맞추어 자유자재로 톱니바퀴를 바꿔야 하고 이것이 어떤 상황에도 구애받지 않는 무애행이다.
(2) 이문
“마음의 원리는 비록 하나지만, 두 개의 문이 있다. 진여문 가운데 대승의 본체가 있고, 생멸문 가운데는 체와 상과 용이 있다. 대승의 뜻은 이 세가지에 지나지
3. 원효의 핵심 사상 - 일심, 이문, 삼대
(1)일심
원효는 一心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대승의 진리는 오직 일심이다. 이 일심 외에 또 다른 진리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무명이 일심을 어리석음으로 유혹하여 번뇌의 물결을 일으켜 여섯 가지 윤회의 길에 흘러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비록 육도의 파도를 일으킨다고 해도 일심의 바다에서 벗어나지 않고, 일심의 움직임으로 말미암아 육도를 짓는 것이다. 그러므로 널리 중생을 구하겠다는 소원을 나타낼 수가 있는 것이며, 육도는 일심 밖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두가 한 뿌리라는 생각에서 우러난 자비심을 일으킬 수 있다.” -『대승기신론소병별기』
일심은 여섯 가지 윤회의 길 가운데 어느 길로 가든 모두 평등하게 소유하고 있으며 모든 것은 일심에서 떠날 수 없으므로 결국 나의 본성이나 나 외의 어떠한 본성도 같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보살은 모든 중생과 본질적인 면에서 하나라는 진리를 깨닫고 큰 자비심을 일으켜 구제활동을 편다는 것이다. 원효는 의상에게서 수전법(일원이 차곡차곡 쌓이면 십원이 된다. 그런 점에서 일원에는 십원이 될 성질이 있고, 반대로 십원 속에는 일원이 내포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원과 십원은 본질상 서로 장애가 없다.)을 전해듣고, 자신의 화엄학 연구에 반영하였다. 원효는 <화엄경>에 근거하여 자신의 일심 사상을 최종적으로 완성시켰다고 보는데, ‘하나’라는 개념에는 그물코 한 개를 잡아끌면 나머지 전체가 딸려오듯이 개개의 사물은 나머지 전우주와 서로 밀접한 관계에 놓여있다. 하나와 전체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 그것이 <화엄경>에서 말하는 ‘일즉다 다즉일’ 이다. 원효는 이 원리를 빌어와서 ‘하나’의 의미를 무한대로 확장시켰다. 그는 ‘하나’와 ‘전체’가 아무 걸림없이 드나드는 경지를 보법이라고 보았다. 한마음은 하나의 마음이지만 모든 중생들이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기에 모두의 마음이기도 하다. 만물의 근원인 한마음 앞에서 모든 인간은 본질적으로 평등하다. 그렇지만 중생들의 현실적 처지는 천차만별인데, 예컨대 각자 독특한 톱니바퀴를 지닌다. 그러므로 교화하는 사람은 모든 중생에게 맞추어 자유자재로 톱니바퀴를 바꿔야 하고 이것이 어떤 상황에도 구애받지 않는 무애행이다.
(2) 이문
“마음의 원리는 비록 하나지만, 두 개의 문이 있다. 진여문 가운데 대승의 본체가 있고, 생멸문 가운데는 체와 상과 용이 있다. 대승의 뜻은 이 세가지에 지나지
추천자료
제7차 초등교과서의 정치교육내용분석
스콜라철학의 기본 개념(보편)
[지역사회복지][지역복지]지역사회복지 개념, 내용과 전망 및 대처방안 분석(지역사회복지 개...
정신보건센터의 역할,개념,사업내용,운영내용,현황
아동과 청소년복지정책의 개념과 주요 내용 및 아동, 청소년복지 서비스정책의 내용
학교보건개념 및 주요내용 & 학교급식의 필요성과 문제점
성격이론 중 1가지를 선택하여 주요개념 및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현 사회문제(예를 들면...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지행동이론의 이해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주요 개념과 ...
국민기초생활제도 개념 및 내용, 자활급여, 문제점, 해결방안 (국민기초생활제도,수급권자 수...
(선택적함구증) 기타 아동기 및 청소년기 장애 중 선택적함구증에 대하여 개념, 내용, 치료...
아동권리의 개념 및 내용과 유형, 한국 아동권리의 문제점과 권리신장을 위한 과제(아동권리...
<노인의 개념과 특성, 노인복지정책의 내용과 개선점>노인의 개념,노인의 특성,노인의복지정...
표준보육과정의 전반적 내용에 대해 약술하고(개념, 필요성, 기본원리, 성격, 구성 체계 등),...
아동기 및 청소년기 장애 중 선택적함구증에 대하여 개념, 내용, 치료의 방법 및 사례에 대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