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의 및 중요성
2) 장소와 대상
3) 정신보건사회복지사
4)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 방법
2) 장소와 대상
3) 정신보건사회복지사
4)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 방법
본문내용
이 증가하고 있는데 국제질병분류를 이용하여 조사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재 10만 명당 유병률은 2,703명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질환의 종류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다양한 정신질환의 발생과 증가에 대해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목적으로 정부는 1997년 정신보건법을 제정하여 정신질환과 정신보건시설의 운영에 대한 규정을 명확히 하였으며 정신질환의 치료 및 인권보호에 대한 내용을 구체화
- 아직은 정신질환자의 다양한 정신의료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미비한 점이 많은 것으로 지적
1) 의료사회복지의 전문성 확보
- 우리나라의 정신과 의사는 10만 명당 3.8명 수준이며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349명으로 호주를 비롯한 선진국에 비해서 절대적으로 전문 인력의 수가 부족
- 절대적인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의료사회사업가의 부족은 현장에서 팀워크를 형성하여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장애 요인이 됨
- 전문적인 역할을 현장에서 수행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동시에 정신보건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가 어려운 실정
- 전문적인 의료복지사를 양성관리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
2) 의료제도의 개선
- 우리나라의 의료복지와 관련된 주된 제도적인 장치로서는 의료법과 정신보건법 등에 규정되지 않은 부분은 모두 의료와 관련된 여러 의료법의 규정을 받고 있음
- 의료제도의 법적인 제도장치와 함께 지적되고 있는 또 하나의 문제점은 의료보험 급여체계
- 정신보건사회복지사나 의료사회사업가가 정신과 의사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였을 경우에 의료보험 급여 항목이 세부적이지 못하고 또한 청구횟수도 제한적
- 급여 제한은 정신의료기관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채용을 소극적으로 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의료서비스의 질을 낮게 하는 요인
3)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확립
- 1997년 정신보건법의 제정으로 보건소 내에 예방, 진단, 치료, 재활, 홍보, 계몽, 교육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를 운영관리하게 하여 지역주민의 정신건강의 증진을 도모
▷ 효과적인 지역자원으로써의 역할 수행을 위한 전제조건
① 전문적인 정신보건요원들이 한 팀을 형성하여 협동심과 지속성을 유지
② 정신보건증진기획 과정에 지역사회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
③ 정신보건을 연구하는 학술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역학조사가 지역의 특성에 맞게 이루어져야 함
④ 효과적인 지역정신보건사업의 운영을 위해서 통제와 감독기능이 요구
⑤ 진정한 정신보건복지 실현을 위해서는 우리들이 정신질환자를 대하는 태도 바꿔야 함
참고문헌
사회복지학개론. 이정서,김상철,박성택 공저. 유풍. 2002
사회복지개론. 김상균. 나남. 20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제너럴리스트 실천 접근= Skills and techniques for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조휘일. 학현사. 2005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에 관한 연구. 오혜경. 카톨릭대학교사회복지연구소.
현대사회보장론, 김영모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 다양한 정신질환의 발생과 증가에 대해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목적으로 정부는 1997년 정신보건법을 제정하여 정신질환과 정신보건시설의 운영에 대한 규정을 명확히 하였으며 정신질환의 치료 및 인권보호에 대한 내용을 구체화
- 아직은 정신질환자의 다양한 정신의료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미비한 점이 많은 것으로 지적
1) 의료사회복지의 전문성 확보
- 우리나라의 정신과 의사는 10만 명당 3.8명 수준이며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349명으로 호주를 비롯한 선진국에 비해서 절대적으로 전문 인력의 수가 부족
- 절대적인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의료사회사업가의 부족은 현장에서 팀워크를 형성하여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장애 요인이 됨
- 전문적인 역할을 현장에서 수행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동시에 정신보건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가 어려운 실정
- 전문적인 의료복지사를 양성관리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
2) 의료제도의 개선
- 우리나라의 의료복지와 관련된 주된 제도적인 장치로서는 의료법과 정신보건법 등에 규정되지 않은 부분은 모두 의료와 관련된 여러 의료법의 규정을 받고 있음
- 의료제도의 법적인 제도장치와 함께 지적되고 있는 또 하나의 문제점은 의료보험 급여체계
- 정신보건사회복지사나 의료사회사업가가 정신과 의사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였을 경우에 의료보험 급여 항목이 세부적이지 못하고 또한 청구횟수도 제한적
- 급여 제한은 정신의료기관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채용을 소극적으로 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의료서비스의 질을 낮게 하는 요인
3)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확립
- 1997년 정신보건법의 제정으로 보건소 내에 예방, 진단, 치료, 재활, 홍보, 계몽, 교육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를 운영관리하게 하여 지역주민의 정신건강의 증진을 도모
▷ 효과적인 지역자원으로써의 역할 수행을 위한 전제조건
① 전문적인 정신보건요원들이 한 팀을 형성하여 협동심과 지속성을 유지
② 정신보건증진기획 과정에 지역사회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
③ 정신보건을 연구하는 학술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역학조사가 지역의 특성에 맞게 이루어져야 함
④ 효과적인 지역정신보건사업의 운영을 위해서 통제와 감독기능이 요구
⑤ 진정한 정신보건복지 실현을 위해서는 우리들이 정신질환자를 대하는 태도 바꿔야 함
참고문헌
사회복지학개론. 이정서,김상철,박성택 공저. 유풍. 2002
사회복지개론. 김상균. 나남. 20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제너럴리스트 실천 접근= Skills and techniques for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조휘일. 학현사. 2005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에 관한 연구. 오혜경. 카톨릭대학교사회복지연구소.
현대사회보장론, 김영모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추천자료
[사회복지] 미국 사회복지 발달사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역사와 발전방향
[사회과학] 사회복지 발달사
영국의 사회복지 발달사
사회복지의 역사 (영국, 독일, 스웨덴, 미국, 한극이 사회복지의 역사)
영국과 한국의 사회복지발달사 비교
사회복지정책의 역사적 전개_22p
사회복지발달사정리하고, 영국사회복지발달사가 주는 시사점 통해 한국의 사회복지발전을 위...
구빈법부터 신구빈법까지의 등장 배경과 의의 및 시사점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발달사] 인보관운동 (Settlement Movement) - 인보관 운동의 정의에서부터 한계점까...
[선진국의 구빈제도] 영국의 구빈법과 구빈제도 - 영국 구민법, 영국 구빈제도.pptx
아동복지법]아동복지법의 주요 내용에 대해 살펴보면서 아동복지 관련법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