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서론
제1장 연구의 의의와 목적
제2장 연구의 방법
제3장 연구의 범위와 한계
제4장 빈곤의 사회문제화
제5장 E.빈민법의 성립과 발전
제6장 거주지제한입법의 성립과 변용
제7장 17세기 후반의 빈민법 개혁론
제8장 18세기 작업장의 용도와 작업장선서법
제9장 Speenhamland제도의 성립과 변천과정
제1장 연구의 의의와 목적
제2장 연구의 방법
제3장 연구의 범위와 한계
제4장 빈곤의 사회문제화
제5장 E.빈민법의 성립과 발전
제6장 거주지제한입법의 성립과 변용
제7장 17세기 후반의 빈민법 개혁론
제8장 18세기 작업장의 용도와 작업장선서법
제9장 Speenhamland제도의 성립과 변천과정
본문내용
원칙과 비교한 이 원칙의 의의 : 참신하고 독창적임 → 중앙당국의 설립
이 원칙의 의도
그 의도에 대한 재해석
이 원칙의 실제적 결과 : 단명하고 맘.
제12장 신빈민법의 제정과 그 반대운동
서론 : 논의의 범주와 추후과제
→ 동同 법의 성격과 위원들의 권한 규명
∴ 제정 목적(의도)를 확실히 함.
추후 과제 → E.빈민법과의 차이 비교
제1절 보고서의 반향
정부 내외의 반향
납세자 부담으로 작업장 건설 → 구빈세의 증대
정치적 중립성(중앙당국이 국무장관으로부터 비통제)
거택구호의 폐지 → 사회불안 초래
「타임즈」: 중앙당국의 설립
제2절 법안의 심의 : 효과적인 논의 없었음.
그 결과 : 수정 내용 한시법(5년)
사생아 규정
제3절 1834년법의 내용
서론 : 특기사실
피구제빈민(the pauper)에 대한 구제계획이 전무
구빈사업의 폐지 → 제한
◎. 그 이유 : 체제의 탄력성 유지키 위해.
1. 구빈행정의 조직 : 중앙당국의 역할과 구성
2. 빈민법위원의 권한
1) 교구의 연합
2) 현금 구제
∴ 1834년법의 최대 특징 : 구빈행정의 중앙집권화 의도 → 실패(그 근거 : 한시법)
제4절 신빈민법에 대한 반대운동
1. 빈민법(행정)위원회의 활동
1) 위원회의 구성 : Lewis, Nicholls 및 Shaw Lefevre 등
2) 활동 상황 : 교구의 연합, 구빈비용의 감소(’34년의 630만£ → ‘37년 400만£)
3) 활동의 특징
(1) 구원의 억제 : 열등처우의 원칙 적용
(2) 작업장에로의 수용 : 시설외 구제의 금지
2. 신빈민법에 대한 반대운동
1) Sommerset House의 고관들
2) 남부의 반대
3) 북부의 저항
제13장 빈민법의 변화와 빈민법청의 설립
1834년법의 모순 → 전국적인 저항 초래 → 빈민법의 개정
구빈정책의 변화
논의의 범주 : 세 가지
모순의 타개 방향
빈곤의 다양한 원인론 제기 → 구빈정책에 미친 영향
빈민법청의 설립 배경과 구빈행정의 특징
제1절 빈민법의 개정(1844년법의 성립)
그 과정과 평가
→ \'제2의 빈민법 개정\' \'Peel의 성공\'
제2절 1834년 원칙(A)의 정착 방향 : 세 가지 명령(B)
A : 작업장제도와 열등처우의 원칙
B 시설외노동선서령(1842년) : 모든 실직노동자들의 작업장 수용 불가
시설외구제금지령(1844년) : \'시설 수용\'을 포기한 것은 아님.
시설외구제규제령(1852년) : 작업장 설비가 미비한 곳에 적용.
→ 이상 성격이 서로 다른 시행령들이 각 지역의 실정에 따라 또 구빈위원들의 판단에 따라 각기 달리 적용되어 갔다.
Quiz : ‘ ’ (2절의 제목을 달리 표현해 본다면?)
제3절 공중위생과 교육문제
공중위생과 구빈행정 :
Chadwick의 신념 : ‘Chadwick의 역설’
Chadwick의 보고서 : ‘공중위생 착상’(a Sanitory Idea)
→ 1848년 공중위생법과 그 결과
교육의 보급과 작업장 실태
제4절 Andover사건과 빈민법청의 설립 배경
작업장제도의 심각성 → Andover사건 발생 → ‘정치적 중립’에 대한 반성
빈민법청의 설립 배경에 관한 재해석
‘설립’의 의의 : ‘위원회 행정’ → ‘정부 행정’
제5절 빈민법청의 구빈행정의 특징
1. 구빈행정의 공동화空洞化와 그 이념적 배경
→ 관료화와 자유방임사상
2. 수도에서의 피구제빈민화(Pauperism)와 Lancashire실험
계기 : 겨울(1860년) 혹한과 미 대륙으로부터의 면화 수입 중단
평가 : ‘신빈민법에 대한 폭격의 제1탄’
3. 질병 빈민과 빈곤 아동에 대한 처우의 변화
: 처우의 개선과 열등처우의 원칙 소거
제14장 구빈행정의 공동화空洞化에 대응한 민간 사회복지의
활성화
공동화의 이념적 배경과 그 대안 :
논의의 문제
제1절 자조조직으로서 우애조합의 발전
1. 우애조합에 대한 지배계급의 시각
사회적 동요와 혁명의 불씨
구빈비용 감소의 한 방법
2. 우애조합의 기능과 유형
3. 우애조합의 연혁과 자조조직의 한계
→ 구빈행정의 대상 ≠ 우애조합의 대상
제2절 자선조직협회의 기원과 창설과정
자선조직협회 태동의 배경 : 640여 개의 자선단체 난립과 250만£의 기금
〃 창설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 : Goschen의 각서 등 여섯 가지
「Goschen의 각서」의 제시 동기, 내용, 의의 및 평가
동기 : 구제의 중복
내용 : 협력 방법(기능의 분담)
의의 : ‘복지다원주의’의 기원
평가 : 저임금노동자들에 대한 국가 책임의 모면(회피)
∴ 복지다원주의의 의의
제3절 자선조직협회의 원칙
「자선조직논집」: 두 가지
「Manual」: 네 가지
Loch(동 협회 사무국장) : 다섯 가지
제4절 자선조직화의 효과와 한계
업적 : 정기간행물 발간, 의료사회사업 용어 사용, 케이스워어크모형의 개발 및 공공부 문과의 협력 방법 장려.
한계 : 전근대적 빈곤관 견지
평가 : 제약된 재분배 기능 → 사회불평등의 항속화
공공 구제에 대한 반대
∴ 동同 협회의 성격 : ‘1834년 원칙’에로의 복귀를 시도한 압력단체
Loch의 빈곤관
Fraser의 평가 : 동 협회의 사회철학과 케이스워어크論과의 구별 필요성
∴
사회사업방법론의 과제
제15장 지방자치청의 구원억제정책과 공중위생의 활성화
빈곤문제의 속성 : 기타의 사회문제와의 유기적인 관련성
→ 다각적인 방면으로의 구빈정책의 활성화 → 중앙당국의 재조직
논의의 범주 지방자치청의 설립 배경
LGB 정책의 특징
구원억제정책의 대표적 사례
공중위생의 활성화
제1절 지방자치청의 설립 배경과 구원억제정책
1. 지방자치청의 설립 배경
빈민들의 교육보건위생에 대한 관심 증대(1800년대 후반, 사회복지의 경제적 동기)
∴작업장의 수용 대상 ≠ 질병 빈민
구빈행정, 공중위생 및 교육 등의 유기적인 관련성 확인 → 구빈당국의 위상 강화
2. ‘시설외 구제에 대한 십자군’(등장 배경)
지배계급의 관심 대상 : 구빈비용의 증대 현상 → 노동능력자선서작업장제 적용
(포프라실험)
그 이념적 배경 : 개인주의적 빈곤죄악관
평가 : 1834년 원칙에로의 복귀
3. 포프라입소명령서(포프라작업장의 실험과 작업장의 실태)
발행 배경 : 스
이 원칙의 의도
그 의도에 대한 재해석
이 원칙의 실제적 결과 : 단명하고 맘.
제12장 신빈민법의 제정과 그 반대운동
서론 : 논의의 범주와 추후과제
→ 동同 법의 성격과 위원들의 권한 규명
∴ 제정 목적(의도)를 확실히 함.
추후 과제 → E.빈민법과의 차이 비교
제1절 보고서의 반향
정부 내외의 반향
납세자 부담으로 작업장 건설 → 구빈세의 증대
정치적 중립성(중앙당국이 국무장관으로부터 비통제)
거택구호의 폐지 → 사회불안 초래
「타임즈」: 중앙당국의 설립
제2절 법안의 심의 : 효과적인 논의 없었음.
그 결과 : 수정 내용 한시법(5년)
사생아 규정
제3절 1834년법의 내용
서론 : 특기사실
피구제빈민(the pauper)에 대한 구제계획이 전무
구빈사업의 폐지 → 제한
◎. 그 이유 : 체제의 탄력성 유지키 위해.
1. 구빈행정의 조직 : 중앙당국의 역할과 구성
2. 빈민법위원의 권한
1) 교구의 연합
2) 현금 구제
∴ 1834년법의 최대 특징 : 구빈행정의 중앙집권화 의도 → 실패(그 근거 : 한시법)
제4절 신빈민법에 대한 반대운동
1. 빈민법(행정)위원회의 활동
1) 위원회의 구성 : Lewis, Nicholls 및 Shaw Lefevre 등
2) 활동 상황 : 교구의 연합, 구빈비용의 감소(’34년의 630만£ → ‘37년 400만£)
3) 활동의 특징
(1) 구원의 억제 : 열등처우의 원칙 적용
(2) 작업장에로의 수용 : 시설외 구제의 금지
2. 신빈민법에 대한 반대운동
1) Sommerset House의 고관들
2) 남부의 반대
3) 북부의 저항
제13장 빈민법의 변화와 빈민법청의 설립
1834년법의 모순 → 전국적인 저항 초래 → 빈민법의 개정
구빈정책의 변화
논의의 범주 : 세 가지
모순의 타개 방향
빈곤의 다양한 원인론 제기 → 구빈정책에 미친 영향
빈민법청의 설립 배경과 구빈행정의 특징
제1절 빈민법의 개정(1844년법의 성립)
그 과정과 평가
→ \'제2의 빈민법 개정\' \'Peel의 성공\'
제2절 1834년 원칙(A)의 정착 방향 : 세 가지 명령(B)
A : 작업장제도와 열등처우의 원칙
B 시설외노동선서령(1842년) : 모든 실직노동자들의 작업장 수용 불가
시설외구제금지령(1844년) : \'시설 수용\'을 포기한 것은 아님.
시설외구제규제령(1852년) : 작업장 설비가 미비한 곳에 적용.
→ 이상 성격이 서로 다른 시행령들이 각 지역의 실정에 따라 또 구빈위원들의 판단에 따라 각기 달리 적용되어 갔다.
Quiz : ‘ ’ (2절의 제목을 달리 표현해 본다면?)
제3절 공중위생과 교육문제
공중위생과 구빈행정 :
Chadwick의 신념 : ‘Chadwick의 역설’
Chadwick의 보고서 : ‘공중위생 착상’(a Sanitory Idea)
→ 1848년 공중위생법과 그 결과
교육의 보급과 작업장 실태
제4절 Andover사건과 빈민법청의 설립 배경
작업장제도의 심각성 → Andover사건 발생 → ‘정치적 중립’에 대한 반성
빈민법청의 설립 배경에 관한 재해석
‘설립’의 의의 : ‘위원회 행정’ → ‘정부 행정’
제5절 빈민법청의 구빈행정의 특징
1. 구빈행정의 공동화空洞化와 그 이념적 배경
→ 관료화와 자유방임사상
2. 수도에서의 피구제빈민화(Pauperism)와 Lancashire실험
계기 : 겨울(1860년) 혹한과 미 대륙으로부터의 면화 수입 중단
평가 : ‘신빈민법에 대한 폭격의 제1탄’
3. 질병 빈민과 빈곤 아동에 대한 처우의 변화
: 처우의 개선과 열등처우의 원칙 소거
제14장 구빈행정의 공동화空洞化에 대응한 민간 사회복지의
활성화
공동화의 이념적 배경과 그 대안 :
논의의 문제
제1절 자조조직으로서 우애조합의 발전
1. 우애조합에 대한 지배계급의 시각
사회적 동요와 혁명의 불씨
구빈비용 감소의 한 방법
2. 우애조합의 기능과 유형
3. 우애조합의 연혁과 자조조직의 한계
→ 구빈행정의 대상 ≠ 우애조합의 대상
제2절 자선조직협회의 기원과 창설과정
자선조직협회 태동의 배경 : 640여 개의 자선단체 난립과 250만£의 기금
〃 창설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 : Goschen의 각서 등 여섯 가지
「Goschen의 각서」의 제시 동기, 내용, 의의 및 평가
동기 : 구제의 중복
내용 : 협력 방법(기능의 분담)
의의 : ‘복지다원주의’의 기원
평가 : 저임금노동자들에 대한 국가 책임의 모면(회피)
∴ 복지다원주의의 의의
제3절 자선조직협회의 원칙
「자선조직논집」: 두 가지
「Manual」: 네 가지
Loch(동 협회 사무국장) : 다섯 가지
제4절 자선조직화의 효과와 한계
업적 : 정기간행물 발간, 의료사회사업 용어 사용, 케이스워어크모형의 개발 및 공공부 문과의 협력 방법 장려.
한계 : 전근대적 빈곤관 견지
평가 : 제약된 재분배 기능 → 사회불평등의 항속화
공공 구제에 대한 반대
∴ 동同 협회의 성격 : ‘1834년 원칙’에로의 복귀를 시도한 압력단체
Loch의 빈곤관
Fraser의 평가 : 동 협회의 사회철학과 케이스워어크論과의 구별 필요성
∴
사회사업방법론의 과제
제15장 지방자치청의 구원억제정책과 공중위생의 활성화
빈곤문제의 속성 : 기타의 사회문제와의 유기적인 관련성
→ 다각적인 방면으로의 구빈정책의 활성화 → 중앙당국의 재조직
논의의 범주 지방자치청의 설립 배경
LGB 정책의 특징
구원억제정책의 대표적 사례
공중위생의 활성화
제1절 지방자치청의 설립 배경과 구원억제정책
1. 지방자치청의 설립 배경
빈민들의 교육보건위생에 대한 관심 증대(1800년대 후반, 사회복지의 경제적 동기)
∴작업장의 수용 대상 ≠ 질병 빈민
구빈행정, 공중위생 및 교육 등의 유기적인 관련성 확인 → 구빈당국의 위상 강화
2. ‘시설외 구제에 대한 십자군’(등장 배경)
지배계급의 관심 대상 : 구빈비용의 증대 현상 → 노동능력자선서작업장제 적용
(포프라실험)
그 이념적 배경 : 개인주의적 빈곤죄악관
평가 : 1834년 원칙에로의 복귀
3. 포프라입소명령서(포프라작업장의 실험과 작업장의 실태)
발행 배경 : 스
추천자료
[사회복지행정]사회복지조직의 다양한 이론 정리(특징과 장단점 및 긍정적, 부정적 기능), 사...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관련 주요이론 - 거시사회복지관련 이론(경제학, 사회학, 정치학이론...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의 이론 - 수렴이론, 확산이론, 페미니즘론, 이익집단론, 국가...
<사회복지행정과 사회환경> 사회복지행정과 환경변화, 사회복지행정과 인접학문, 사회복지행...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이해 - 집단사회복지실천, 집단사회복지실...
자신이 학교사회복지사로 어느 한 학교에 들어가거나 또는 외부 학교와 연계하여 활동하게 되...
권력의 장치로서의 사회복지 - ‘푸코(Foucaul)의 권력이론에 입각한 권한부여 비판’이라는 논...
위기개입모델보고서(위기개입모델이론, 위기개입모델사례, 위기개입사례, 위기가정사례개입, ...
인본주의이론 보고서(인본주의주요개념, 인본주의성격발달관점, 인본주의사례개입, 인본주의...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 이론 중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체계이론을 기술하고 ...
사회복지정책론)사회복지정책발달이론(예. 음모이론, 확산이론 등)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술...
[사회복지정책론]사회복지정책발달이론(음모이론, 확산이론 등)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술하고...
[사회복지정책형성과정]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과 합리성 사회복지정책의 형성단계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이론의 개념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생태체계이론의 유용성을 설명하고 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