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4장 공조방식
열매(熱媒)운반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제어방식에 따른 따른 공조방식
열원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내주부/외주부
열매(熱媒)운반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열부하
전공기방식
단일덕트 정풍량방식 (CAV방식)
단일덕트 가변풍량방식 (VAV방식)
이중덕트 방식
전공기방식의 특징
전수방식
전수방식의 특징
공기-수 방식
공기-수 방식의 특징
공기-수 방식과 룸쿨러의 비교
냉매 방식
룸굴러 방식
소형 히트펌프 유닛 방식
패키지 유닛(Packaged Unit) 방식
제어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전체제어방식
조운제어방식
개별제어방식
열원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각종 건축에 대한 공조방식의 적용
Homeworks
열매(熱媒)운반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제어방식에 따른 따른 공조방식
열원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내주부/외주부
열매(熱媒)운반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열부하
전공기방식
단일덕트 정풍량방식 (CAV방식)
단일덕트 가변풍량방식 (VAV방식)
이중덕트 방식
전공기방식의 특징
전수방식
전수방식의 특징
공기-수 방식
공기-수 방식의 특징
공기-수 방식과 룸쿨러의 비교
냉매 방식
룸굴러 방식
소형 히트펌프 유닛 방식
패키지 유닛(Packaged Unit) 방식
제어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전체제어방식
조운제어방식
개별제어방식
열원방식에 따른 공조방식
각종 건축에 대한 공조방식의 적용
Homeworks
본문내용
도록 해야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복열원방식이라고 한다.
각종 건축에 대한 공조방식의 적용
p188
(1) 사무소건축
실내의 발열(전등, 인원)은 상면적당 25~35 Kcal/m2h 로서 중간 정도 이며, 잔업 혹은 일요 출근 등의 부분운전을 요하는 것이 특징이다. 연면적 10,000 m2 이상의 대규모일 때는 페리미터와 인테리어를 나누어서 조우닝 한다.
전자에는 스페이스 관계상 FCU를, 후자에는 변풍량 또는 정풍량의 단일덕트 방식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이 단일덕트 방식에는 부분운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각층 유닛을 채용하는 예가 증가되고 있다. 고급 건축에 있어서는 페리미터와 내부조운에 대하여 표 4.1과 같은 조합이 고려된다.
연면적 2,000 m2 이하의 소규모일 때는 페리미터 조운을 분리함이 없이 그림 4-22와 같은 PAC를 사용하는 각층 유닛 방식이 사용된다. 예산의 여유가 있으면 변풍량방식의 PAC로 한다. 그림 4-22의 예는 동북지방 이북의 한냉지에 사용하는 경우이며, 그 이외의 지방에서는 공기열원의 PAC를 사용하면 보일러는 불필요하다.
2,000~15.000 m2 의 중규모일 때는 예산이 있으면 상술한 대규모의 것에 준하며, 그렇지 않을 때는 소규모에 준한다.
(2) 병원
병원의 공조조우닝은 부하, 용도별, 그리고 공기청정도에 따라 조우닝을 할 필요가 있다. 즉 수술실, 신생아실, ICU 등의 청정구역은 각각 독립한 조우닝으로 하고, 이러한 실에는 FCU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그림 4-45와 같이 패키지(PAC)를 사용하여 각 실마다 재열기(TRH)를 설치한다. 취출구 직전에 고성능필터(HF)를 필요로 하며, 송풍기의 정압이 부족할 때는 도시한 바와 같은 부우스터 팬(booster fan, BF)을 설치한다.
이러한 부문은 심야의 공조를 필요로 할 때가 많고, 따라서 공기열원 HP식의 PAC를 설치하든지, 혹은 일반 공조기를 사용하고 축열조를 설치해서 심야에는 그 열을 이용한다. 이방법은 구급부와 간호원실도 마찬가지이다.
청정구역에 대한 전외기방식의 적용방법은 1965년 후반부터 개정되어 고성능 필터를 사용하는 한 필요 최소량의 외기를 혼합하는 재순환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병동부는 창하에 FCU를 설치해서 스크 로오드(skin load)를 처리하고, 여기에 더해서 환기회수 N = 3~4 회/h 정도의 송풍을 한다. 그 중 외기는 1/3~1/2로 한다. 병동부의 심야 운전 정지시에 연돌효과로서 덕트를 통하여 하층의 공기가 상층으로 올라가고, 이것으로 병원내의 감염이 생긴 예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층 유닛 방식으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각층 공통의 공조기를 사용할 때는 각층의 방연댐퍼를 자동복귀형으로 하고, 송풍기와 인터로크하여 송풍기 정지시는 댐퍼가 패쇄되도록 설계한다.
외래부간도 창측은 FCU, 또는 VAV 방식으로, 인테리어는 단일덕트정풍량방식으로 공조한다. 실내의 취출풍량, 흡입풍량을 조절하여 처치실, 진료실, 대합실의 순서로 공기가 흐르게 한다. 종래에는 대합실의 공조가 공기청정면에서 불완전하였으나, 금후에는 5~10 회/h의 청정공기를 되 수 있는대로 많은 천장 취출구로 송풍하여 배기는 T라인(9-1절의 [3]참조)과 같이 천장에 붙은 많은 흡입구로 취하게 한다.
사무소, 식당, 원장실, 의국 등은 다른 부문에 비하여 청정도의 요구가 적으므로 이 부문의 인테리어는 변풍량방식을 사용하여도 좋다.
(3) 극장공회당
관객석의 공조는 정풍량단일덕트방식을 사용한다. 그 취출방법에 관해서는 9-2절[5]에서 기술한다. 5,000 이상의 대규모일 때 무대의 공조는 관객석과는 별개통으로 설치한다. 그 외에 관객 로비, 식당, 리허설실, 장식실 등은 각가 별개통으로 하며, 유리창이 있는 방에는 FCU를 설치한다.
(4) 호텔
객실에는 각실마다 FCU 또는 IDU를 설치하며, 또 상면적당 5 m3/m2h 정도의 1차 공기(전외기)를 송풍한다. 객실에 부속되는 욕실의 배기는 1실당 100 m3/h 정도를 요하고, 객실의 송풍량이 이것으로 부족할 때는 배기량과 같은 송풍량을 사용한다. 연면적 3,000 m2 이하의 소규모 온천 호텔같은 데서는 그림 4-22와 같이, PAC에 의한 각층 유닛 방식을 사용할 때가 많다. 이 때 객실의 욕실은 축류홴에 의하는 단독 배기로 한다.
연회장, 식당, 혹은 현관 로비 등은 정풍량 또는 변풍량의 단일 덕트 방식을 사용하며, 창이 있는 부분에는 FCU를 설치한다.
객실은 심야에도 공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형의 축열조를 설치하여 주간에 흡입한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하여, 심야에는 냉동기(또는 보일러)를 운전하지 않고서 공조를 한다.
(5) 백화점, 슈우퍼마켓트
각층의 점포에 따라 조명부하와 인원부하가 심하게 다르며, 수년에 1회, 점포의 배치 변경이 있으므로, 각층 유닛 방식이 최적이다. 운전이 용이하고 설비비가 싸게 되므로 패키지를 사용하는 각층 유닛의 예가 많은데, 이 방식의 운전비는 흡수냉동기를 사용하는 중앙식보다 높게 된다.
패리미터 부분에 사무실이나 라커 루움 등을 배치할 때는 그것을 위한 덕트만을 별계통으로 하고, 덕트 내에 재열기를 설치해서 동계에 실온이 떨어지지 않게 한다.
(6) 공장
실내온습도의 조정은 일반 건축에 비하여 엄중하며, 특히 합성섬유공장이나 인쇄, 사진필름 등의 공장은 극히 엄밀하다. 또 전자관, 제약 등의 공장은 공기청정도가 문제가 되며, 각종의 클리인 루움(Clean Room, 9-4절 참조)을 필요로 한다.
중기계공장과 같이 천장 높이가 높을 때는 취출방법을 적당히 해서 거주공간만의 공조를 유효하게 하는 방법도 고안되고 있다.
Homeworks
1. 아래의 공조방식에 대해 설명하라.
- Heat Pump 공조방식
- Total Energy System 공조방식
- 지역냉난방
2. Room Cooler의 주요 구성(열교환기 설명에서 코일열수,직경, 핀간격 등),
설계조건(냉매/작용온도/압력-몰리에선도 이용), 운전조건 등에 대해 설명하라.
3. 각종 건축에 대한 공조방식에서 하나를 선정하여 적용예를 자세히 설명하라.
각종 건축에 대한 공조방식의 적용
p188
(1) 사무소건축
실내의 발열(전등, 인원)은 상면적당 25~35 Kcal/m2h 로서 중간 정도 이며, 잔업 혹은 일요 출근 등의 부분운전을 요하는 것이 특징이다. 연면적 10,000 m2 이상의 대규모일 때는 페리미터와 인테리어를 나누어서 조우닝 한다.
전자에는 스페이스 관계상 FCU를, 후자에는 변풍량 또는 정풍량의 단일덕트 방식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이 단일덕트 방식에는 부분운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각층 유닛을 채용하는 예가 증가되고 있다. 고급 건축에 있어서는 페리미터와 내부조운에 대하여 표 4.1과 같은 조합이 고려된다.
연면적 2,000 m2 이하의 소규모일 때는 페리미터 조운을 분리함이 없이 그림 4-22와 같은 PAC를 사용하는 각층 유닛 방식이 사용된다. 예산의 여유가 있으면 변풍량방식의 PAC로 한다. 그림 4-22의 예는 동북지방 이북의 한냉지에 사용하는 경우이며, 그 이외의 지방에서는 공기열원의 PAC를 사용하면 보일러는 불필요하다.
2,000~15.000 m2 의 중규모일 때는 예산이 있으면 상술한 대규모의 것에 준하며, 그렇지 않을 때는 소규모에 준한다.
(2) 병원
병원의 공조조우닝은 부하, 용도별, 그리고 공기청정도에 따라 조우닝을 할 필요가 있다. 즉 수술실, 신생아실, ICU 등의 청정구역은 각각 독립한 조우닝으로 하고, 이러한 실에는 FCU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그림 4-45와 같이 패키지(PAC)를 사용하여 각 실마다 재열기(TRH)를 설치한다. 취출구 직전에 고성능필터(HF)를 필요로 하며, 송풍기의 정압이 부족할 때는 도시한 바와 같은 부우스터 팬(booster fan, BF)을 설치한다.
이러한 부문은 심야의 공조를 필요로 할 때가 많고, 따라서 공기열원 HP식의 PAC를 설치하든지, 혹은 일반 공조기를 사용하고 축열조를 설치해서 심야에는 그 열을 이용한다. 이방법은 구급부와 간호원실도 마찬가지이다.
청정구역에 대한 전외기방식의 적용방법은 1965년 후반부터 개정되어 고성능 필터를 사용하는 한 필요 최소량의 외기를 혼합하는 재순환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병동부는 창하에 FCU를 설치해서 스크 로오드(skin load)를 처리하고, 여기에 더해서 환기회수 N = 3~4 회/h 정도의 송풍을 한다. 그 중 외기는 1/3~1/2로 한다. 병동부의 심야 운전 정지시에 연돌효과로서 덕트를 통하여 하층의 공기가 상층으로 올라가고, 이것으로 병원내의 감염이 생긴 예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층 유닛 방식으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각층 공통의 공조기를 사용할 때는 각층의 방연댐퍼를 자동복귀형으로 하고, 송풍기와 인터로크하여 송풍기 정지시는 댐퍼가 패쇄되도록 설계한다.
외래부간도 창측은 FCU, 또는 VAV 방식으로, 인테리어는 단일덕트정풍량방식으로 공조한다. 실내의 취출풍량, 흡입풍량을 조절하여 처치실, 진료실, 대합실의 순서로 공기가 흐르게 한다. 종래에는 대합실의 공조가 공기청정면에서 불완전하였으나, 금후에는 5~10 회/h의 청정공기를 되 수 있는대로 많은 천장 취출구로 송풍하여 배기는 T라인(9-1절의 [3]참조)과 같이 천장에 붙은 많은 흡입구로 취하게 한다.
사무소, 식당, 원장실, 의국 등은 다른 부문에 비하여 청정도의 요구가 적으므로 이 부문의 인테리어는 변풍량방식을 사용하여도 좋다.
(3) 극장공회당
관객석의 공조는 정풍량단일덕트방식을 사용한다. 그 취출방법에 관해서는 9-2절[5]에서 기술한다. 5,000 이상의 대규모일 때 무대의 공조는 관객석과는 별개통으로 설치한다. 그 외에 관객 로비, 식당, 리허설실, 장식실 등은 각가 별개통으로 하며, 유리창이 있는 방에는 FCU를 설치한다.
(4) 호텔
객실에는 각실마다 FCU 또는 IDU를 설치하며, 또 상면적당 5 m3/m2h 정도의 1차 공기(전외기)를 송풍한다. 객실에 부속되는 욕실의 배기는 1실당 100 m3/h 정도를 요하고, 객실의 송풍량이 이것으로 부족할 때는 배기량과 같은 송풍량을 사용한다. 연면적 3,000 m2 이하의 소규모 온천 호텔같은 데서는 그림 4-22와 같이, PAC에 의한 각층 유닛 방식을 사용할 때가 많다. 이 때 객실의 욕실은 축류홴에 의하는 단독 배기로 한다.
연회장, 식당, 혹은 현관 로비 등은 정풍량 또는 변풍량의 단일 덕트 방식을 사용하며, 창이 있는 부분에는 FCU를 설치한다.
객실은 심야에도 공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형의 축열조를 설치하여 주간에 흡입한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하여, 심야에는 냉동기(또는 보일러)를 운전하지 않고서 공조를 한다.
(5) 백화점, 슈우퍼마켓트
각층의 점포에 따라 조명부하와 인원부하가 심하게 다르며, 수년에 1회, 점포의 배치 변경이 있으므로, 각층 유닛 방식이 최적이다. 운전이 용이하고 설비비가 싸게 되므로 패키지를 사용하는 각층 유닛의 예가 많은데, 이 방식의 운전비는 흡수냉동기를 사용하는 중앙식보다 높게 된다.
패리미터 부분에 사무실이나 라커 루움 등을 배치할 때는 그것을 위한 덕트만을 별계통으로 하고, 덕트 내에 재열기를 설치해서 동계에 실온이 떨어지지 않게 한다.
(6) 공장
실내온습도의 조정은 일반 건축에 비하여 엄중하며, 특히 합성섬유공장이나 인쇄, 사진필름 등의 공장은 극히 엄밀하다. 또 전자관, 제약 등의 공장은 공기청정도가 문제가 되며, 각종의 클리인 루움(Clean Room, 9-4절 참조)을 필요로 한다.
중기계공장과 같이 천장 높이가 높을 때는 취출방법을 적당히 해서 거주공간만의 공조를 유효하게 하는 방법도 고안되고 있다.
Homeworks
1. 아래의 공조방식에 대해 설명하라.
- Heat Pump 공조방식
- Total Energy System 공조방식
- 지역냉난방
2. Room Cooler의 주요 구성(열교환기 설명에서 코일열수,직경, 핀간격 등),
설계조건(냉매/작용온도/압력-몰리에선도 이용), 운전조건 등에 대해 설명하라.
3. 각종 건축에 대한 공조방식에서 하나를 선정하여 적용예를 자세히 설명하라.
추천자료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 평가
목천 물류센터 감상 기행문
건축 재료 <창호재>
건물생체기후도
한반도의 진정한 자유를 위한 길 -나탄 샤란스키의 ‘민주주의를 말한다’와 현 대북 국제관계...
[화공]이중열 교환기 실험보고서
기술경영 사례 보고서 - 김치냉장고 “딤채”
[디지털컨텐츠][디지털방송]디지털컨텐츠, 디지털방송 개념, 디지털컨텐츠, 디지털방송 특성,...
OECD국가들과 한국간의 수산보조금에 대한 차이점 비교
역사신문만들기학습(역사신문제작수업) 개념, 역사신문만들기학습(역사신문제작수업) 과정, ...
문화체육관광부 건축문화정책 방향 및 정책과제
게임 컨텐츠 분석과 실습 - 사이버 범죄 예방과 대책
딤채 마케팅 사례
미시적 금융안정과 거시적 금융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