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이론 ▣
▣ 실험방법 ▣
▣ 실험결과 ▣
▣ 고찰 ▣
▣ 실험방법 ▣
▣ 실험결과 ▣
▣ 고찰 ▣
본문내용
므로 액체배양액의 계대배양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백금선은 끝부분이 뾰쪽하므로 고체배지에 찔러서 계대배양하는데 유리하다. 백금서과 백금이는 사용할 때마다 분젠버너나 알콜램프 등을 이용한 화여멸균법(flame sterilization)을 실시한 후 사용한다.
계대배양은 배양되어진 또는 새로 계대배양 될 배지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방법상에서 조금씩 다른 면들이 존재한다.
계대배양 방법은 다음 그림과 같다.
1. 라벨 한다.
2. 튜브를 잡는다.
3. 백금이나 백금선을 멸균한다.
4. 마개를 연다.
5. 튜브입구를 멸균한다.
6. 계대한다.
7. 튜브입구를 멸균한다.
8. 마개를 닫는다.
9. 계대도구를 멸균한다.
10. 인큐베이터 27℃에서 배양한다.
◈ 채취
백금선이나 백금이를 증식한 세균에 살짝 대었다 뗀다.
◈ 접종
사면배지의 경사면을 아래부분부터 위 부분으로 일직선으로 그어준 후 지그재그로 펼쳐준다. 고체배지나 반고체 배지의 내부에도 세균을 증식시켜야 되는 경우에는 배금선으로 배지를 찔 러 접종한다.
▣ 실험결과 ▣
혼합 희석 평판배양법 (Pour Plate Culture Technique)
일정량의 시료를 평판접시에 분주한 다음 배지를 부어 평판배지를 만들어 배양한 후 세균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집락들은 배지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액체 상태의 배지와 시료를 혼합하였기 때문에 배지 속에서도 형성된다. 혼합희석평판배양법은 서로 떨어진 순수한 집락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순수배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45℃의 배지를 세균과 혼합하기 때문에 열에 약한 세균의 증식이 억제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험과정이 복잡하며 희석과정에서 오차가 생길 수도 있다.
혼합희석평판 배양법은 음식, 물, 우유, 등과 같은 물질 속에 살아 있는 세균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집락의 계수시에는 작은 집락까지 세기 위하여 집락계수기로 집락을 확대하여 관찰한다. 계수 과정시에는 한번 센 집락을 다시 세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자동계수기가 없는 경우에는 왼손에 counter를 잡고 오른손에 잡은 수성펜으로 평판 뒷면으로 보이는 집락을 찍으면서 계수한다.
집락의 형태
집락계수기
집락수의 합 × 희석배수 / 배지수 = 원래갯수
Petri dish 희석배수
집락수의 합
집락수의 합 × 희석배수
1A
25
25 ×
1B
42
42 ×
2A
325
325 ×
2B
87
87 ×
3A
46
46 ×
3B
73
73 ×
Total : 899950000
Average : 899950000 ÷ 6 = 149991666.7 = 1.5 × 개
▣ 고찰 ▣
이론상으로는 희석배수가 에서 로 가면서 집락수가 줄어들어야 하는데 실험결과 희석배수에 상관없이 집락의 형성 되었다. 같은 희석배수의 petri dish에서도 집락의 차이가 많았다. 집락의 수가 30~300정도 형성 되는 것이 정상인데 미만이거나 초과된 petri dish 두 개 있었다. 희석수를 넣고 도말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 희석수를 완전히 스며들지 않게 도말하였거나 하키스틱을 제대로 멸균하지 않아 세균이 들어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그리고 희석수를 넣은 평판배지는 인큐베이터에 37℃에서 24시간 ~ 48시간 배양하는데 희석수를 넣지 않은 평판배지와 계대배지는 27℃에서 배양하는 차이가 의문이 생긴다. 처음 평판배지를 도말할 때 배지 표면에 상처가 생기기도 하였는데 앞으로는 더욱 주의를 기울여서 실험에 임해야겠다. 실험은 항상 흥미롭다. 새로운 실험도구를 접해보고 다른 수업에 비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계대배양은 배양되어진 또는 새로 계대배양 될 배지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방법상에서 조금씩 다른 면들이 존재한다.
계대배양 방법은 다음 그림과 같다.
1. 라벨 한다.
2. 튜브를 잡는다.
3. 백금이나 백금선을 멸균한다.
4. 마개를 연다.
5. 튜브입구를 멸균한다.
6. 계대한다.
7. 튜브입구를 멸균한다.
8. 마개를 닫는다.
9. 계대도구를 멸균한다.
10. 인큐베이터 27℃에서 배양한다.
◈ 채취
백금선이나 백금이를 증식한 세균에 살짝 대었다 뗀다.
◈ 접종
사면배지의 경사면을 아래부분부터 위 부분으로 일직선으로 그어준 후 지그재그로 펼쳐준다. 고체배지나 반고체 배지의 내부에도 세균을 증식시켜야 되는 경우에는 배금선으로 배지를 찔 러 접종한다.
▣ 실험결과 ▣
혼합 희석 평판배양법 (Pour Plate Culture Technique)
일정량의 시료를 평판접시에 분주한 다음 배지를 부어 평판배지를 만들어 배양한 후 세균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집락들은 배지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액체 상태의 배지와 시료를 혼합하였기 때문에 배지 속에서도 형성된다. 혼합희석평판배양법은 서로 떨어진 순수한 집락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순수배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45℃의 배지를 세균과 혼합하기 때문에 열에 약한 세균의 증식이 억제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험과정이 복잡하며 희석과정에서 오차가 생길 수도 있다.
혼합희석평판 배양법은 음식, 물, 우유, 등과 같은 물질 속에 살아 있는 세균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집락의 계수시에는 작은 집락까지 세기 위하여 집락계수기로 집락을 확대하여 관찰한다. 계수 과정시에는 한번 센 집락을 다시 세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자동계수기가 없는 경우에는 왼손에 counter를 잡고 오른손에 잡은 수성펜으로 평판 뒷면으로 보이는 집락을 찍으면서 계수한다.
집락의 형태
집락계수기
집락수의 합 × 희석배수 / 배지수 = 원래갯수
Petri dish 희석배수
집락수의 합
집락수의 합 × 희석배수
1A
25
25 ×
1B
42
42 ×
2A
325
325 ×
2B
87
87 ×
3A
46
46 ×
3B
73
73 ×
Total : 899950000
Average : 899950000 ÷ 6 = 149991666.7 = 1.5 × 개
▣ 고찰 ▣
이론상으로는 희석배수가 에서 로 가면서 집락수가 줄어들어야 하는데 실험결과 희석배수에 상관없이 집락의 형성 되었다. 같은 희석배수의 petri dish에서도 집락의 차이가 많았다. 집락의 수가 30~300정도 형성 되는 것이 정상인데 미만이거나 초과된 petri dish 두 개 있었다. 희석수를 넣고 도말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 희석수를 완전히 스며들지 않게 도말하였거나 하키스틱을 제대로 멸균하지 않아 세균이 들어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그리고 희석수를 넣은 평판배지는 인큐베이터에 37℃에서 24시간 ~ 48시간 배양하는데 희석수를 넣지 않은 평판배지와 계대배지는 27℃에서 배양하는 차이가 의문이 생긴다. 처음 평판배지를 도말할 때 배지 표면에 상처가 생기기도 하였는데 앞으로는 더욱 주의를 기울여서 실험에 임해야겠다. 실험은 항상 흥미롭다. 새로운 실험도구를 접해보고 다른 수업에 비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추천자료
학교교육과 교육이론에 대하여 -독일과 비교하여
생활은 화학이다
사회과학의 연구방법
지구과학 천문분야 교재연구
[환경분석실험] CODMn,CODCr,BOD,경도,알칼리도,산도,TKN,중금속 시료 분석 실험
[생물학] 미생물 배지(평판,사면) 만들기 및 멸균법에 대하여
바이오디젤의 생산 과정에서 생긴 글리세롤을 포함한 부산물 (wastes)로부터 H2와 에탄올 생산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의 개념과 영역,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의 필요성과 편성절...
[생태학실험]3.생물학적산소요구량
[생화학 실험보고서] E coli의 DNA 플라스미드 추출 및 농도 측정 실험
[중소기업][기업][중소기업 관리][중소기업 지원][중소기업 전략][중소기업 대응][중소기업 ...
상추 수경재배 실험 보고서 (일본, 한국 양액재배)
[미생물공학 실험] 균주탐색 실험 : Bacillus coagulans를 찾아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