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러시아와 러시아 정교회에 대해서
1. 정교회란 무엇인가?
2. 정교회 지역과 민족역사
3. 러시아 정교회 신앙과 애국심
4. 러시아 정교회와 타종교
5. 러시아 정교회와 공산주의 정권 탄생
6. 현제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력
7. 우리나라 종교의 영향력과 러시아와의 차이
1. 정교회란 무엇인가?
2. 정교회 지역과 민족역사
3. 러시아 정교회 신앙과 애국심
4. 러시아 정교회와 타종교
5. 러시아 정교회와 공산주의 정권 탄생
6. 현제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력
7. 우리나라 종교의 영향력과 러시아와의 차이
본문내용
있는 정교회 신부들을 매수하여 바티칸에 충성하도록 만들었다. 결과 예배 방식과 신자들은 동방정교회이고, 신부는 바티칸에 충성하는 혼합 교파 양식의 교회가 등장하였는데, 이것을 흔히 우니아테 교회라고 한다. 이 역사적 사건을 두고 러시아 정교회는 분노한다. 그것은 개종화 작업이며, 양 쟁탈전이며, 같은 형제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을 했다고 분노한다. 그리고 18세기, 19세기에는 유럽 여러 나라들과 전쟁을 하면서, 본의 아니게 로마 카톨리과 정교회 간의 싸움처럼 인식되었고, 1,2차 세계 대전 시에는 독일과 싸우면서 개신교와의 전쟁처럼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최근에 wcc 활동을 통하여 교회일치 운동에 러시아 정교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평등한 대화와 일치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정교회를 중심으로 한 일치와 협력을 의미한다. 그래서 연합 모임에서 성찬식을 하면, 정교회 신부가 떡과 포도주를 나누면, 장로교 목사, 감리교 목사, 성공회 신부가 다 받아 먹는데, 장로교 목사가 떡과 포도주를 나누면, 정교회 신부들은 받지 않고 밖으로 나가버린다. 성직자의 권세가 동등하지 않다는 것이다.
정교회는 러시아 안에서도 침례교, 오순절 교회를 무던히도 핍박하고 나쁘게 선전하였다. 과거 70년 동안 공산주의 치하에서 약 100만 명의 러시아 침례교 신자들은 이중으로 핍박을 받았다. 무신론 공산주의 정부로부터, 그리고 정교회로부터 가혹한 핍박을 받았다.
역사적으로 정교회의 배타성을 보여주는 예들이 있다.
첫째는 콘스탄티노플 대주교였던 시릴 루카리스(Cyril Lucaris;1572-1638)를 살해한 사건이다. 그는 정교회 신부이지만, 칼빈의 기독교 강요의 영향을 많이 받아 \'신앙 고백\'(confession of faith;1629)하였는데, 성경의 권위를 전통 위에 두고 정교회의 모든 가르침들을 성경에 근거하여 재구성 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정교회는 이러한 그의 의지를 꺽어 버리기 위하여 결국 음모를 꾸며 암살해 버렸다.그리고 1672년 예루살렘에서 모인 정교회 대회에 루카리스를 \'칼빈주의적 이단\'으로 정죄함으로써 개혁교회와의 벽을 두텁게 만들었다.
두번째는 루터교도들과의 만남 사건이다. 정교회와 루터교는 역사적으로 3번의 주요한 접촉의 기회를 가졌는데, 첫째는 1555-1607년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JOASAPH 2세가 1558년 부제 DMETRIOS MYSOS를 독일 비턴베르크에 보냈다. 두 번
최근에 wcc 활동을 통하여 교회일치 운동에 러시아 정교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평등한 대화와 일치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정교회를 중심으로 한 일치와 협력을 의미한다. 그래서 연합 모임에서 성찬식을 하면, 정교회 신부가 떡과 포도주를 나누면, 장로교 목사, 감리교 목사, 성공회 신부가 다 받아 먹는데, 장로교 목사가 떡과 포도주를 나누면, 정교회 신부들은 받지 않고 밖으로 나가버린다. 성직자의 권세가 동등하지 않다는 것이다.
정교회는 러시아 안에서도 침례교, 오순절 교회를 무던히도 핍박하고 나쁘게 선전하였다. 과거 70년 동안 공산주의 치하에서 약 100만 명의 러시아 침례교 신자들은 이중으로 핍박을 받았다. 무신론 공산주의 정부로부터, 그리고 정교회로부터 가혹한 핍박을 받았다.
역사적으로 정교회의 배타성을 보여주는 예들이 있다.
첫째는 콘스탄티노플 대주교였던 시릴 루카리스(Cyril Lucaris;1572-1638)를 살해한 사건이다. 그는 정교회 신부이지만, 칼빈의 기독교 강요의 영향을 많이 받아 \'신앙 고백\'(confession of faith;1629)하였는데, 성경의 권위를 전통 위에 두고 정교회의 모든 가르침들을 성경에 근거하여 재구성 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정교회는 이러한 그의 의지를 꺽어 버리기 위하여 결국 음모를 꾸며 암살해 버렸다.그리고 1672년 예루살렘에서 모인 정교회 대회에 루카리스를 \'칼빈주의적 이단\'으로 정죄함으로써 개혁교회와의 벽을 두텁게 만들었다.
두번째는 루터교도들과의 만남 사건이다. 정교회와 루터교는 역사적으로 3번의 주요한 접촉의 기회를 가졌는데, 첫째는 1555-1607년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JOASAPH 2세가 1558년 부제 DMETRIOS MYSOS를 독일 비턴베르크에 보냈다. 두 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