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계, 소화계, 내분비계, 비뇨기계 조사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순환계, 소화계, 내분비계, 비뇨기계 조사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순환계
소화계
내분비계
비뇨기계 (배설계)

본문내용

의 가장 큰 내장으로 혈관이 풍부하여 적간은 담즙을 생산하고 해독작용 및 특정한 물질의 합성과 저장 기능을 가지며 대사작용에 관여한다. 간은 간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세포는 간판을 형성하여 동양혈관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으며 동양혈관은 문정맥을 통하여 운반된 각종 영양분을 간세포들이 이용하고, 간에서 생성된 물질들을 혈액으로 보내준다. 동양혈관의 내피세포들 사이에는 쿠퍼세포가 분포하고 있어 혈액이 간을 통과시 혈액 속의 이물질을 탐식하는 기능을 가지는 대식세포이며, 내피세포들 간의 세포간격은 대단히 넓어서 다른 모세혈관에 비하여 물질 투과성이 높다.
간은 해독작용의 중심기관으로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저장, 지용성 비타민 저장, 담즙생산, 나머지 철분 저장, 나머지 아미노산 분해, 단백질 생산(헤파린), 섬유소원 생산, 혈류조절 등의 기능을 가진다.
-담즙 : 간에서 생성되어 담낭에 저장되며 소장의 소화에 이용된다. 간은 하루에 약 250~1,500ml의 담즙을 생산하며 담즙의 주요 성분으로는 담즙색소인 빌리루빈, 담즙산염, 레시틴, 콜레스테롤, 무기이온 등이 있다. 담즙은 거의 대부분이 수분(84%)이며 다음으로 담즙산(8.7%)과 빌리루빈(4.4%)이 차지하고 있다. 그 외에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레시틴 및 무기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 담낭
쓸개라고도 하며, 간의 하면에 부착한 속이 빈 근육성 주머니로 담즙을 농축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담낭은 길이가 약 10cm, 직경 3cm이며 저장용량은 약 35ml의 작은 배 모양의 푸른색을 띤 장기이다. 담낭의 구조는 막힌쪽의 볼록한 부위인 담낭저, 가운데 몸체 부분인 담낭체, 그리고 담낭관에 이어져 총담관과 함쳐지는 담낭경으로 구분한다.
담낭의 내면인 점막은 점막주름을 가지고 있으며 장에서 소화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담즙이 간에서 담낭을 거치지 않고 바로 간관과 총담관을 통하여 십이지장으로 분비되며, 장에서 소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총담관이 폐쇄되어 답즙이 담낭에 저장된다.
담낭은 담즙으로부터 물을 흡수하여 담즙을 5배로 농축시켜 많은 양의 담즙을 저장 가능하게 한다.
* 췌장
이자라고도 하며, 길이 12~15cm, 폭 3~5cm, 무게 약 70g이 많은 소엽으로 구성된 장기로 복강에 위치하는 가장 큰 소화선이자 내분비선이며 내분비 기능과 외분비 기능을 가진다.
췌액의 분비는 세크레틴, 콜레시스토키닌 등에 의하여 분비가 촉진되며 음식물이 소장으로 내려가면 분비가 되어 하루에 500~800ml의 췌액을 분비한다. 췌액은 약알칼리성으로 많은 효소를 함유하고 있다.
내분비계
혈액이나 체강 또는 표면으로부터 물질을 분비하는 세포나 세포군을 선이라고 하며, 타액이나 피지와 같이 분비관을 통하여 분비하는 선을 외분비선이라고 하며, 분비관이 없이 분비물을 직접 혈액이나 림프 내로 분비하는 선을 내분비선이라고 하며 갑상선, 부신, 뇌하수체 등이 있다. 내분비선에서 분비되는 물질을 호르몬이라고 하여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다.
호르몬은 특정 장기에서 생성되어 내분비선을 통하여 혈액으로 분비되어 표적 장기에 운반되어 대사, 생장, 생식 등에 관여하게 된다. 호르몬의 종류에는 스테로이드, 아민, 폴리펩티드, 당단백질 등이 있다.
* 호르몬
내분비계의 화학적 전달물질로 표적기관의 세포에 작용하며 대사를 조절하고 외부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게 하는 화학적 메신저의 역할을 한다.
* 호르몬의 기능
내분비계에서 분비된 호르몬은 표적장기에 작용하여 그 기능을 다한 다음 간에서 불활성화 되어 신장을 통하여 배설하게 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①대사기능 조절 : 호르몬은 인체의 대사 과정에 관여하게 되는데, 인슐린에 의한 혈당량 조절과 같은 당질대사기능, ADH의 수분대사와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의 열대사 작용에 관여한다.
②성장 및 발생 : 성장호르몬에 의해 신체의 성장과 티록신 등에 의한 골격성장과 기관의 발생에 관여한다.
③정신 및 신경발육 : 티록신 부족시 정신발육과 중추신경계의 성장에 이상을 주게 된다.
④생식 : 난포자극 호르몬, 황체형성 호르몬 등에 의하여 난자와 정자의 생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⑤소화작용 : secretin, pancreozymie, gastrin 등은 소화기능을 조절하는데 관여하게 된다.
⑥항상성 유지 : 신체의 자극 변화에 대해 신체 내부의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생명현상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 뇌하수체
간뇌 부위의 아래에 위치하며, 뇌하수체 누두경에 의하여 시상하부에 매달려 있다. 뇌하수체 후엽은 시상하부에 의해 생성되는 호르몬을 저장하고 방출하며, 뇌하수체 전엽은 시상하부에 반응하여 고유의 호르몬을 생성하여 분비하게 된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을 자극 호르몬이라고 하며, 성장 호르몬,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갑상선자극 호르몬, 난포자극 호르몬, 황체형성 호르몬, 황체자극 호르몬, 멜라닌자극 호르몬 등이 있다.
뇌하수체 후엽은 시상하부에서 생성되어 누두부 안의 축삭을 통하여 뇌하수체 후엽에 저장되어 있다가 방출되는데,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으로 항이뇨 호르몬과 옥시토신이 있다.
* 갑상선
후두 바로 밑부분에 위치하며, 갑상연골을 감싸고 있으며, 양쪽 두 개의 엽은 좌, 우 엽을 잇는 갑상선 협부에 연결되어 있다. 갑상선은 내분비선 중에서 가장 크며, 갑상선에 공급되는 동맥은 외경동맥에서 분지되는 상갑상선동맥과 총경동맥의 하부에서 분지되는 하갑상선동맥에 의하여 혈액을 공급받으며, 정맥혈은 상, 중, 하갑상선정맥으로 유입된다.
갑상선 호르몬은 신체의 신진대사율, 즉 단백질 합성과 탄수화물로부터 에너지 생산을 높여 체온을 유지하고, 신체의 성장률을 조절하는 등 기초대사율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갑상선 호르몬의 생성과 분비는 뇌하수체의 갑상선자극 호르몬에 의하여 조절된다.
* 부갑상선
갑상선 측면의 뒤에 묻혀 있으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1쌍씩 4개의 부갑상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갑상선의 조직은 갑상선 호르몬을 합성하는 주세포와 주세포를 지지하고 있는 호산성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부갑상선에 분비되는 유일한 호르몬으로 뼈와 신장, 소장에 작용하여 혈액의 칼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6.07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35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