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사라진 꿈
1.디스토피아의 재현
1)정윤수의 사연
2)문유정의 사연
2.새로운 세계로의 진입
3.유토피아의 실현
모니카 수녀의 바람대
1.디스토피아의 재현
1)정윤수의 사연
2)문유정의 사연
2.새로운 세계로의 진입
3.유토피아의 실현
모니카 수녀의 바람대
본문내용
한 가지, ‘용서’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용서란 지극히 개인적인 행위이다. 상대를 용서하는 것이나 그것이 영향을 미치는 대상은 용서하는 주체 자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니카 수녀가 이야기하는 용서 역시 이원적 세계에 존재하는 유토피아를 꿈꾸는 대신 네 안에서 유토피아를 찾아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상처받은 개인과 개인이 만나, 진정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간. 그리고 이 진정한 소통이 개인과 개인의 디스토피아를 무너뜨리고 마침내 그들을 보듬는 그곳이 다름 아닌 유토피아란 해석은 어찌 보면 의미의 지나친 확장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앞서 제시하였듯, 이 소설이 그토록 많은 독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읽히고 있는 것은 우리가 이러한 소통에 대해 목마름을 느끼고 있다는 반증이 아닐까. 무릇 어렵고 혼란한 시기일수록 상처와 폭력이 난무하고, 그 속에서 용서와 참회 등에 대해 곱씹게 되며 그것은 또한 필연적으로 세계와 개인의 관계에 대해 자문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소설에서 윤수와 유정이 보여주고 있는 ‘그들의 행복한 시간’이 우리에게 주는 울림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해 보아야 하지 않을까. (*)
상처받은 개인과 개인이 만나, 진정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간. 그리고 이 진정한 소통이 개인과 개인의 디스토피아를 무너뜨리고 마침내 그들을 보듬는 그곳이 다름 아닌 유토피아란 해석은 어찌 보면 의미의 지나친 확장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앞서 제시하였듯, 이 소설이 그토록 많은 독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읽히고 있는 것은 우리가 이러한 소통에 대해 목마름을 느끼고 있다는 반증이 아닐까. 무릇 어렵고 혼란한 시기일수록 상처와 폭력이 난무하고, 그 속에서 용서와 참회 등에 대해 곱씹게 되며 그것은 또한 필연적으로 세계와 개인의 관계에 대해 자문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소설에서 윤수와 유정이 보여주고 있는 ‘그들의 행복한 시간’이 우리에게 주는 울림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해 보아야 하지 않을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