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 교문을 넘다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과 느낀점 및 나의소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권 교문을 넘다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과 느낀점 및 나의소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이 책을 고른 동기

2.두발 문제에 대한 의의 제기와 내 생각

3.사회복지사가 필요한 이유

본문내용

을 보면 \"참 멋지시고 자기관리를 참 잘하시는 것 같아.\"라는 것이 학생들이 멋을 조금만 내기만 하면 \"공부는 안하고 쓰잘데기 없이 멋만 부리네. 재는 틀렸 구만.\"이라고 한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을 꾸미고 자신를 꾸미는 것은 나를 사랑하며 가꾸는 것인데 왜 남에게 평가받고 혼나야 하는 일 인걸까.
어른들이 너무나 공부라는 잣대에서 학생들을 작은 틀에 몰아놓고 공부가 아닌 것에는 모두 학생이 해서는 안 되는 일 이라는 낙인을 찍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세 번째로 바리캉의 교육은 무엇을 가르칠까? 하는 물음이다. 학교이외에 두발 자유가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곳은 군대이다. 왜 군인들은 머리를 짧게 자르게 할까? 실용적이기 때문에? 물론 그 이유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민간인에서 군인이 되었음을 마음에 새기고 군대의 일원으로써 충실히 하겠다는 다짐의 이유일 것이다. 학교는 획일적인 모리모양을 시키고 아이들은 그걸 보며 머리카락하나 마음대로 할 수 없는 현실에 순응하며 고분고분 공부나 하고 의문을 가질 생각도 해보지 못한다. 내 권리를 학교에 반납하고 나는 학교의 일부인체 살아가게 된다. 학교에서 배운 이런 삶의 태도가 사회가 가면 달라질까?
대학에 가면 나의 자율성을 높이고 큰 목소리로 나의 권리를 찾을 수 있을까?
사회는 우리에게 자율성과 창의성을 요구한다. 중학교 고등학교 6년 동안 내내 체제에 순응하고 하지 말라는 것은 생각도 하지 말고 정답만 외우기를 반복한 아이들에게 자율성과 창의성이라는 것이 있을 수 있는 것일까? 머리카락 하나 내 마음대로 하지 못하면서 자율성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네 번째 길이 자유 그이상은 안되는 걸까? 라는 물음이다. 현실적으로 학교가 한번에 바뀌기 힘들며 규제 완하라도 해보자는 주장하는 관점에 대해 이야기 했다. 물론 학생들의 목소리가 일어나서 변화를 이루었다면 의미있는 일이겠지만 전제는 바뀌지 않는다.
어떤 학생이 매일 깡패에게 만원씩 삥을 뜯기다가 이제는 5천원씩 뜯기게 되었다. 학생은 그것만으로 어디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깡패에게 당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바뀐 것은 아니다. 이것은 두발자유의 문제에서 아직도 학교는 학생의 머리카락을 규제할 권한이 있다는 전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어떤 학생들은 두발규제에 워낙 길들여져 있다 보니 두발자유라는 말이 모두 머리를 기르고 파마하고 염색하자는 주장으로 잘못 이해되기도 하는데 두발자유 라는 말은 머리를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1.08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40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