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리바이스 소개
II. SWOT 분석
III. STP 분석
IV. 4P 전략
VI. 결론
*참고자료
II. SWOT 분석
III. STP 분석
IV. 4P 전략
VI.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을 벌지 않기 때문에 구매력이 강하지 못하다. 그에 비해 리바이스 청바지의 경우 대부분이 10만원 이상으로 높은 가격을 호가하기 때문에, 아무리 리바이스의 진을 소비하고자 하는 잠재 소비자가 다수 존재하더라도 젊은 층이 쉽게 구매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결국, 리바이스 보다 저가인 청바지 브랜드의 상품을 구입할 수 밖에 없게 된다.
(2)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부족
리바이스는 이미 한번의 위기를 겪었었다. 오랜 역사와 함께 형성된 높은 인지도만을 믿어오다가, 패션시장의 흐름과 고객들의 needs를 파악하지 못했었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인식은 점차 \'리바이스는 옛날부터 어른들이 입던 그냥 청바지.\'라고 바뀌기 시작했고, \'리바이스=구식\'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패션시장에서 주요 고객인 젊은 층에게 외면 당했었다. 고객과 시장흐름에 대한 조사와 커뮤니케이션의 부족으로, 결국 젊은 층들은 \'리바이스\'의 청바지를 그냥 전형적인 청바지로 인식할 뿐, 그것이 개성있거나 유행에 맞다고 생각하지 않게 되었었다.
(3) 홍보, 서비스의 부족
리바이스는 인지도도 높고, 또한 매니아적인 소비자 층을 형성 하고 있으나, 새로운 고객을 끌어들이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free to move\'와 같은 활동적인 컨셉으로 젊은 층을 공략하는 광고들이 나가고 있지만, 리바이스가 가격에 비해 높은 가치가 있다는 것을 비구매자에게 어필하기에는 홍보가 턱없이 부족하다. 또한 구매자였던 소비자의 경우도, 특별히 리바이스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큰 개념이 없었다. 높은 가격에 맞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 결국 재구매 하려고 했던 소비자도 서비스와 질이 뛰어난 다른 브랜드로 눈을 돌리게 된다.
3. Opportunity
1) 소비자의 기호분석
청바지는 젊은이들의 필수적인 아이템이 되었다. 과거 80년대 자유의 상징, 통기타 시절의 문화코드로써의 역할을 그대로 이어가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캐주얼 의류의 대명사로써 젊은이, 특히 대학생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패션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다. 청바지 시장은 약 22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국내의류시장에서 약 1조원의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Tex Herald 1997.4 참조) 이는 청바지 소유량에 대한 조사에서 남녀 성별에 관계없이 3~4벌에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며 그 다음이 5~6벌임을 보아도 알 수 있다.(청바지의 착용태도 및 구매행동에 관한 마케팅적 연구」 『服飾』,박원선이선재, 한국복식학회 참조) 또 그 이미지에 있어서도 과거와는 달리 최신 모던의 캐주얼 의류로써 트렌드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젊음을 상징하는 하나의 코드가 되어버린 청바지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기호를 살펴보자.
(1)편안함과 개성을 동시에 추구
옷차림에 대한 형식이나 격식이 많이 파괴되면서 사람들은 좀 더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 개성 있는 옷차림을 선호하게 되었다. 특히 많은 의류업체에서 청소재의 의류를 좀 더 고급스럽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출시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젊은층의 옷차림은 좀 더 자유롭고 좀 더 편한 옷차림의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남들과 다르게 입고 싶어하는 심리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는 시대 상황을 반영하여 미국 리바이스사에서는 개인맞춤형 청바지 주문을 도입했다. 이런 개인맞춤청바지가 한국에 도입된다면 리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리라 기대된다.
(2)소비자들의 성향 고급화
경제력이 높아지고 소비자의 구매력이 증가하면서 중저가 브랜드보다 고가 브랜드가 강세를 나타나고 있다. 누구나 입을 수 있는 브랜드가 아닌 고급스럽고 명품의 느낌이 나는 브랜드를 선호한다. 이는 현재 불고 있는 명품바람과 무관하지 않다. 고가 브랜드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자부심이나 만족감을 위해서 사람들은 옷가격에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청바지 부문 브랜드의 매출액을 보면 리바이스, 게스, 닉스 등의 순서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3)제품의 질보다는 디자인을 중시
과거의 의류는 튼튼하고 질이 좋아서 오랫동안 입어도 변질이 없는 옷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옷이 변질이 되어서 못입기 보다는 유행이나 디자인의 변화로 입지 못하는 옷들이 많아졌다. 그만큼 소비자들이 디자인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제품의 디자인이나 색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며 세련된 느낌을 최대한 살리려고 한다.
(4)연예인들의 의상을 모방하려는 심리
많은 연예인들이 유명브랜드 의상을 착용하며 이런 브랜드들은 별도의 광고가 없어도 충분히 광고효과가 나타난다. 본인이 좋아하는 연예인들이 입는 옷을 사는 일은 흔한 일이며, 특히 연예인들을 광고모델로 기용하는 경우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들이 모델이라는 이유도 브랜드 선택으로 이어진다. 리바이스의 경우 별도의 연예인 모델을 기용하지 않아도 많은 연예인들이 많이 입고 나오고 있어 광고효과를 톡톡히 누릴 수 있다.
(5)자신이 좋아하는 브랜드에 매니아층 형성
젊은층의 경우 본인이 좋아하는 브랜드에 대해 높은 충성도를 보이며 매니아층을 형성한다. 리바이스의 경우 다음(http://www.daum.net)에 회원수가 2만 6000명에 달하는 까페가 형성되어 있다. 그들은 물건을 서로 사고 살기도 하고, 제품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기도 한다. 또 리바이스를 좋아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서로 모임을 갖거나 개인적인 교류를 하기도 한다. 이렇게 한번 형성된 선호도는 그 제품에 대한 충성심을 형성하게 하여 제품을 재구매하는 원동력이 된다.
(6)소비의 양극화
최근 소비자를 일컬어 현명한 소비자, 똑똑한 소비자, 심지어 약은 소비자라고들 표현한다. 이는 새롭게 변화된 소비자들의 합리적 소비패턴을 보여 주고 있기 때문인데 특히 소득수준의 격차에서 오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통해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이 고가와 저가 소비로 확연히 구분되고 있다. 중산층 소비자의 경우는 비교적 합리적 가격의 상품을 선호하며 백화점 세일기간이나 할인점/아울렛 등 신 유통형태를 통해 상품 가치 중심의 소비패턴을 보이고 있는 반면 고소득층 소비자의 경우는 고급 명품을 지향하며 백화점과 고급 명품
(2)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부족
리바이스는 이미 한번의 위기를 겪었었다. 오랜 역사와 함께 형성된 높은 인지도만을 믿어오다가, 패션시장의 흐름과 고객들의 needs를 파악하지 못했었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인식은 점차 \'리바이스는 옛날부터 어른들이 입던 그냥 청바지.\'라고 바뀌기 시작했고, \'리바이스=구식\'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패션시장에서 주요 고객인 젊은 층에게 외면 당했었다. 고객과 시장흐름에 대한 조사와 커뮤니케이션의 부족으로, 결국 젊은 층들은 \'리바이스\'의 청바지를 그냥 전형적인 청바지로 인식할 뿐, 그것이 개성있거나 유행에 맞다고 생각하지 않게 되었었다.
(3) 홍보, 서비스의 부족
리바이스는 인지도도 높고, 또한 매니아적인 소비자 층을 형성 하고 있으나, 새로운 고객을 끌어들이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free to move\'와 같은 활동적인 컨셉으로 젊은 층을 공략하는 광고들이 나가고 있지만, 리바이스가 가격에 비해 높은 가치가 있다는 것을 비구매자에게 어필하기에는 홍보가 턱없이 부족하다. 또한 구매자였던 소비자의 경우도, 특별히 리바이스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큰 개념이 없었다. 높은 가격에 맞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 결국 재구매 하려고 했던 소비자도 서비스와 질이 뛰어난 다른 브랜드로 눈을 돌리게 된다.
3. Opportunity
1) 소비자의 기호분석
청바지는 젊은이들의 필수적인 아이템이 되었다. 과거 80년대 자유의 상징, 통기타 시절의 문화코드로써의 역할을 그대로 이어가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캐주얼 의류의 대명사로써 젊은이, 특히 대학생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패션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다. 청바지 시장은 약 22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국내의류시장에서 약 1조원의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Tex Herald 1997.4 참조) 이는 청바지 소유량에 대한 조사에서 남녀 성별에 관계없이 3~4벌에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며 그 다음이 5~6벌임을 보아도 알 수 있다.(청바지의 착용태도 및 구매행동에 관한 마케팅적 연구」 『服飾』,박원선이선재, 한국복식학회 참조) 또 그 이미지에 있어서도 과거와는 달리 최신 모던의 캐주얼 의류로써 트렌드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젊음을 상징하는 하나의 코드가 되어버린 청바지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기호를 살펴보자.
(1)편안함과 개성을 동시에 추구
옷차림에 대한 형식이나 격식이 많이 파괴되면서 사람들은 좀 더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 개성 있는 옷차림을 선호하게 되었다. 특히 많은 의류업체에서 청소재의 의류를 좀 더 고급스럽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출시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젊은층의 옷차림은 좀 더 자유롭고 좀 더 편한 옷차림의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남들과 다르게 입고 싶어하는 심리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는 시대 상황을 반영하여 미국 리바이스사에서는 개인맞춤형 청바지 주문을 도입했다. 이런 개인맞춤청바지가 한국에 도입된다면 리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리라 기대된다.
(2)소비자들의 성향 고급화
경제력이 높아지고 소비자의 구매력이 증가하면서 중저가 브랜드보다 고가 브랜드가 강세를 나타나고 있다. 누구나 입을 수 있는 브랜드가 아닌 고급스럽고 명품의 느낌이 나는 브랜드를 선호한다. 이는 현재 불고 있는 명품바람과 무관하지 않다. 고가 브랜드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자부심이나 만족감을 위해서 사람들은 옷가격에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청바지 부문 브랜드의 매출액을 보면 리바이스, 게스, 닉스 등의 순서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3)제품의 질보다는 디자인을 중시
과거의 의류는 튼튼하고 질이 좋아서 오랫동안 입어도 변질이 없는 옷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옷이 변질이 되어서 못입기 보다는 유행이나 디자인의 변화로 입지 못하는 옷들이 많아졌다. 그만큼 소비자들이 디자인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제품의 디자인이나 색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며 세련된 느낌을 최대한 살리려고 한다.
(4)연예인들의 의상을 모방하려는 심리
많은 연예인들이 유명브랜드 의상을 착용하며 이런 브랜드들은 별도의 광고가 없어도 충분히 광고효과가 나타난다. 본인이 좋아하는 연예인들이 입는 옷을 사는 일은 흔한 일이며, 특히 연예인들을 광고모델로 기용하는 경우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들이 모델이라는 이유도 브랜드 선택으로 이어진다. 리바이스의 경우 별도의 연예인 모델을 기용하지 않아도 많은 연예인들이 많이 입고 나오고 있어 광고효과를 톡톡히 누릴 수 있다.
(5)자신이 좋아하는 브랜드에 매니아층 형성
젊은층의 경우 본인이 좋아하는 브랜드에 대해 높은 충성도를 보이며 매니아층을 형성한다. 리바이스의 경우 다음(http://www.daum.net)에 회원수가 2만 6000명에 달하는 까페가 형성되어 있다. 그들은 물건을 서로 사고 살기도 하고, 제품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기도 한다. 또 리바이스를 좋아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서로 모임을 갖거나 개인적인 교류를 하기도 한다. 이렇게 한번 형성된 선호도는 그 제품에 대한 충성심을 형성하게 하여 제품을 재구매하는 원동력이 된다.
(6)소비의 양극화
최근 소비자를 일컬어 현명한 소비자, 똑똑한 소비자, 심지어 약은 소비자라고들 표현한다. 이는 새롭게 변화된 소비자들의 합리적 소비패턴을 보여 주고 있기 때문인데 특히 소득수준의 격차에서 오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통해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이 고가와 저가 소비로 확연히 구분되고 있다. 중산층 소비자의 경우는 비교적 합리적 가격의 상품을 선호하며 백화점 세일기간이나 할인점/아울렛 등 신 유통형태를 통해 상품 가치 중심의 소비패턴을 보이고 있는 반면 고소득층 소비자의 경우는 고급 명품을 지향하며 백화점과 고급 명품
추천자료
베니건스 swot stp 마케팅분석
CAFFEBENE 카페베네 마케팅전략 분석과 카페베네 브랜드분석및 카페베네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빈폴마케팅,빈폴전략,빈폴마케팅전략,빈폴기업분석,빈폴swot,빈폴4p,빈폴의마케팅전략
뚜레쥬르 브랜드분석과 뚜레쥬르 마케팅전략분석및 새로운마케팅전략 제안및 나의의견 SWOT 분석
벅스뮤직(BUGS) 마케팅사례분석과 벅스 경쟁사(멜론) 비교분석및 벅스뮤직 새로운도약위한 마...
[호식이두마리치킨] 국내 마케팅 전략분석과 호식이두마리치킨 중국진출 마케팅(SWOT,STP,4P)...
「떡보의하루」 글로벌 마케팅전략 - 떡보의하루 기업분석과 SWOT분석 및 떡보의하루 중국진...
미샤(MISSHA) vs 로레알(L`Oréal/L`Oreal) 기업환경·브랜드분석과 비교분석, SWOT...
『HITE 하이트진로 마케팅전략 분석』 하이트진로 기업경영분석과 하이트진로 마케팅 SWOT,ST...
한국콜마(Kolmar) 마케팅 성공사례분석과 한국콜마 기업분석과 SWOT, 4P전략분석 및 한국콜마...
롯데리아(Lotteria) vs 맥도날드(McDonald’s) 해외진출 글로벌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및 두기업...
레드불 REDBULL 기업분석과 레드불 마케팅 SWOT,STP,4P 전략분석과 레드불 새로운 마케팅전...
애플 APPLE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애플 마케팅전략과 브랜드전략분석및 애플 미래전망과 시사점
현대자동차 글로벌경영전략과 마케팅사례분석및 현대자동차 SWOT분석과 북미진출전략 분석및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