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뚜레쥬르 선정이유
2-1. 뚜레쥬르 기업소개
2-2. 기업연혁
본론
1. 시장분석
2. 뚜레쥬르의 SWOT 분석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험)
3. 뚜레쥬르 STP전략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4. 뚜레쥬르 마케팅믹스 4P전략
Product 전략
Price 전략
Place 전략
Promotion 전략
5. 뚜레쥬르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결론
나의 의견
1. 뚜레쥬르 선정이유
2-1. 뚜레쥬르 기업소개
2-2. 기업연혁
본론
1. 시장분석
2. 뚜레쥬르의 SWOT 분석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험)
3. 뚜레쥬르 STP전략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4. 뚜레쥬르 마케팅믹스 4P전략
Product 전략
Price 전략
Place 전략
Promotion 전략
5. 뚜레쥬르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결론
나의 의견
본문내용
510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아침식사에 대해 설문조사한 내용이다.
직장인 10명 중 4명, 아침식사 안 해
직장인 38.4%는 아침식사를 거르고 있으며,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좀 더 자고 싶어서’인 것으로 조사됐다. 커리어(http://www.career.co.kr)가 직장인 5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38.4%가 ‘평소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이유(복수응답)는 ‘좀 더 자고 싶어서’라는 의견이 56.1%로 1위를 차지했다. ‘시간이 없어서’ 52.6%, ‘차려먹기 귀찮아서’ 27.0%, ‘입맛이 없어서’ 26.5%, ‘꾸미기 위해’ 11.2% 등이었다.
아침식사를 하는 응답자 중 72.0%는 주로 밥과 국, 반찬으로 구성된 ‘일반 가정식’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토스트나 빵, 김밥’(14.3%), ‘생식, 과일, 녹즙’ (9.6%), ‘라면이나 인스턴트 식품’ (2.5%)라는 의견도 있었다.
또한 평일 주 5일 기준으로 평균 4.5일 아침 식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는, 매일 아침식사를 한다는 응답이 67.8%로 가장 많았다.
한편, ‘아침식사를 하는 것이 일의 업무 능력에 도움이 되는가’라는 질문에는 86.3%가 ‘그렇다’고 답했다.
위의 자료에서 직장인 10명 중 4명이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직장인들은 잠을 더 자기 위해서,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아침식사를 하지 못한다고 응답했지만 아침식사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핵심타겟(Core target)은 아침식사를 거르지만 아침식사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 아침식사를 토스트나 빵, 김밥으로 해결하는 사람(14.3%)을 대상으로 한다.
앞서 말한 것처럼 이들은 간편한 식사대용으로 빵을 선호하지만 인스턴트 제품이 줄 수 없는 건강함과 웰빙에 대한 니즈가 있다. 따라서, 뚜레쥬르가 출시한 ‘순우유 빵’은 식사대용과 건강함의 니즈를 둘다 충족 시킬수 있었다.
서브타겟(Sub target)은 ‘주부’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주 5회이상 습관적으로 아침을 거르는 학생이 25%라고 합니다. 우리는 아침을 거르고 오는 학생층을 타겟으로 하여 그들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들을 대상으로한 신선한 빵과 건강을 생각하는 브랜드는 충분한 효과를 거둘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말한 것처럼, 학생은 구매력은 떨어지지만, 맛과 질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며 부모의 구매촉진을 할 수 있다. 한편 ‘주부’는 ‘학생’과는 조금 다르게 식사대용 보다는 간식으로서의 빵을 선호하며, 가족의 건강과 웰빙에 관심이 많아 제품의 성분, 유통기한 등을 꼼꼼히 살핀다. 이들에게 매일 매일 갓 구워내는 빵, 우리 밀과 천일염을 사용한 뚜레쥬르의 빵은 가족들을 위한 건강한 한 끼로서 큰 호응을 얻을 수 있다. 뚜레쥬르의 신선하고 건강한 이미지를 더욱 더 부각시켜 타겟인 주부들에게 적합한 마케팅을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3) Positioning
가로 축에 Eco-friendly로 오른쪽으로 갈수록 환경친화적임을 뜻한다. 환경친화적이란, 앞서 말한 것처럼 친환경적인 원재료를 사용하는 것, 친환경 빵봉지 사용 캠페인을 통해 지구살리기 운동 등으로 Should it be sold? 의 개념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세로 축은 위쪽으로 갈 수로 High quality를 뜻한다. High quality란 제품의 맛과 질, 가격 등 전반적인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소비자가 느끼는 브랜드 인지도 또한 포함된다.
파리바게뜨의 경우는 최근 들어 제품의 질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활동을 하고 있지만, 뚜레쥬르에 비해 소극적이다. 샤니의 경우 경기불황으로 인해 소비가 증가 할 수 있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이미지는 아니다. 던킨도너츠나 파스쿠치 등은 뚜레쥬르의 잠재적인 위협은 높지만 뚜레쥬르처럼 매일 갓 구운 빵을 제공할 수 없다는 점과 친환경적인 제품이 없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뚜레쥬르는 차별화된 제품(순 우유빵)과 이를 바탕으로한 마케팅으로, 소비자에게 친환경적이며, 제품의 질도 뛰어난 것으로 포지셔닝 될 것이다. 뚜레쥬르는 매장에서 직접 굽는 빵으로 높은 질의 빵을 제공 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뚜레쥬르는 업계의 후발주자로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가 아닌 시장 주도하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되기 위한 구체적인 4P전략을 살펴 보자.
4. 뚜레쥬르 마케팅믹스 4P전략
Product 전략
(1) 재료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선함 추구
뚜레쥬르는 매장에서 직접 굽는 빵의 비율이 80%로 경쟁브랜드에 비해 빵의 신선도가 우월하여 소비자들에게 좋은 이미지로 인식되어 있다. 이뿐 아니라 2012년 말부터 뚜레쥬르는 분급밀가루(Air Classified Flour) 생산과 제품 적용에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분급밀가루는 곱게 빻은 밀가루 중에서 입자가 너무 거칠거나 미세한 가루는 걸러낸 뒤 균일한 입자의 밀가루만 선별한 것이다. 이는 분급기(Air Classifier)로 밀가루의 비중과 원심력으로 입도별로 분리하고 조합해 품질력을 향상하는 원리다. 시간이 지날수록 빵이 딱딱하게 굳고 마르는 시점이 늦어지면서 신선도는 오래 유지되는 빵 생산이 가능해졌다. 앞서 뚜레쥬르는 지난 2010년부터 CJ제일제당의 제분기술로 개발한 베이커리 전용 밀가루인 온리원(ONLYONE) 밀가루를 도입해 사용하고 있다. 식빵, 모닝롤 등 식사용 빵에는 촉촉하고 쫄깃한 식감을 살려주는 \'ONLYONE B(basic)\', 가볍고 바삭함이 중요한 페이스트리에는 \'ONLYONE P(pastry)\',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쿠키류에는 \'ONLYONE H(Wheat Heat Treatment)\'를 사용한다. 이번에 도입하는 분급밀가루는 빵이 신선한 시간을 유지한다는 의미로 ONLYONE T(timeless)라 이름 짓고 식빵류 등에 적용한다. 이를 통해 빵 본연의 맛은 살리고,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여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2) 다양한 제품
뚜레쥬르는 케
직장인 10명 중 4명, 아침식사 안 해
직장인 38.4%는 아침식사를 거르고 있으며,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좀 더 자고 싶어서’인 것으로 조사됐다. 커리어(http://www.career.co.kr)가 직장인 5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38.4%가 ‘평소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이유(복수응답)는 ‘좀 더 자고 싶어서’라는 의견이 56.1%로 1위를 차지했다. ‘시간이 없어서’ 52.6%, ‘차려먹기 귀찮아서’ 27.0%, ‘입맛이 없어서’ 26.5%, ‘꾸미기 위해’ 11.2% 등이었다.
아침식사를 하는 응답자 중 72.0%는 주로 밥과 국, 반찬으로 구성된 ‘일반 가정식’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토스트나 빵, 김밥’(14.3%), ‘생식, 과일, 녹즙’ (9.6%), ‘라면이나 인스턴트 식품’ (2.5%)라는 의견도 있었다.
또한 평일 주 5일 기준으로 평균 4.5일 아침 식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는, 매일 아침식사를 한다는 응답이 67.8%로 가장 많았다.
한편, ‘아침식사를 하는 것이 일의 업무 능력에 도움이 되는가’라는 질문에는 86.3%가 ‘그렇다’고 답했다.
위의 자료에서 직장인 10명 중 4명이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직장인들은 잠을 더 자기 위해서,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아침식사를 하지 못한다고 응답했지만 아침식사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핵심타겟(Core target)은 아침식사를 거르지만 아침식사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 아침식사를 토스트나 빵, 김밥으로 해결하는 사람(14.3%)을 대상으로 한다.
앞서 말한 것처럼 이들은 간편한 식사대용으로 빵을 선호하지만 인스턴트 제품이 줄 수 없는 건강함과 웰빙에 대한 니즈가 있다. 따라서, 뚜레쥬르가 출시한 ‘순우유 빵’은 식사대용과 건강함의 니즈를 둘다 충족 시킬수 있었다.
서브타겟(Sub target)은 ‘주부’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주 5회이상 습관적으로 아침을 거르는 학생이 25%라고 합니다. 우리는 아침을 거르고 오는 학생층을 타겟으로 하여 그들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들을 대상으로한 신선한 빵과 건강을 생각하는 브랜드는 충분한 효과를 거둘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말한 것처럼, 학생은 구매력은 떨어지지만, 맛과 질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며 부모의 구매촉진을 할 수 있다. 한편 ‘주부’는 ‘학생’과는 조금 다르게 식사대용 보다는 간식으로서의 빵을 선호하며, 가족의 건강과 웰빙에 관심이 많아 제품의 성분, 유통기한 등을 꼼꼼히 살핀다. 이들에게 매일 매일 갓 구워내는 빵, 우리 밀과 천일염을 사용한 뚜레쥬르의 빵은 가족들을 위한 건강한 한 끼로서 큰 호응을 얻을 수 있다. 뚜레쥬르의 신선하고 건강한 이미지를 더욱 더 부각시켜 타겟인 주부들에게 적합한 마케팅을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3) Positioning
가로 축에 Eco-friendly로 오른쪽으로 갈수록 환경친화적임을 뜻한다. 환경친화적이란, 앞서 말한 것처럼 친환경적인 원재료를 사용하는 것, 친환경 빵봉지 사용 캠페인을 통해 지구살리기 운동 등으로 Should it be sold? 의 개념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세로 축은 위쪽으로 갈 수로 High quality를 뜻한다. High quality란 제품의 맛과 질, 가격 등 전반적인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소비자가 느끼는 브랜드 인지도 또한 포함된다.
파리바게뜨의 경우는 최근 들어 제품의 질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활동을 하고 있지만, 뚜레쥬르에 비해 소극적이다. 샤니의 경우 경기불황으로 인해 소비가 증가 할 수 있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이미지는 아니다. 던킨도너츠나 파스쿠치 등은 뚜레쥬르의 잠재적인 위협은 높지만 뚜레쥬르처럼 매일 갓 구운 빵을 제공할 수 없다는 점과 친환경적인 제품이 없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뚜레쥬르는 차별화된 제품(순 우유빵)과 이를 바탕으로한 마케팅으로, 소비자에게 친환경적이며, 제품의 질도 뛰어난 것으로 포지셔닝 될 것이다. 뚜레쥬르는 매장에서 직접 굽는 빵으로 높은 질의 빵을 제공 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뚜레쥬르는 업계의 후발주자로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가 아닌 시장 주도하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되기 위한 구체적인 4P전략을 살펴 보자.
4. 뚜레쥬르 마케팅믹스 4P전략
Product 전략
(1) 재료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선함 추구
뚜레쥬르는 매장에서 직접 굽는 빵의 비율이 80%로 경쟁브랜드에 비해 빵의 신선도가 우월하여 소비자들에게 좋은 이미지로 인식되어 있다. 이뿐 아니라 2012년 말부터 뚜레쥬르는 분급밀가루(Air Classified Flour) 생산과 제품 적용에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분급밀가루는 곱게 빻은 밀가루 중에서 입자가 너무 거칠거나 미세한 가루는 걸러낸 뒤 균일한 입자의 밀가루만 선별한 것이다. 이는 분급기(Air Classifier)로 밀가루의 비중과 원심력으로 입도별로 분리하고 조합해 품질력을 향상하는 원리다. 시간이 지날수록 빵이 딱딱하게 굳고 마르는 시점이 늦어지면서 신선도는 오래 유지되는 빵 생산이 가능해졌다. 앞서 뚜레쥬르는 지난 2010년부터 CJ제일제당의 제분기술로 개발한 베이커리 전용 밀가루인 온리원(ONLYONE) 밀가루를 도입해 사용하고 있다. 식빵, 모닝롤 등 식사용 빵에는 촉촉하고 쫄깃한 식감을 살려주는 \'ONLYONE B(basic)\', 가볍고 바삭함이 중요한 페이스트리에는 \'ONLYONE P(pastry)\',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쿠키류에는 \'ONLYONE H(Wheat Heat Treatment)\'를 사용한다. 이번에 도입하는 분급밀가루는 빵이 신선한 시간을 유지한다는 의미로 ONLYONE T(timeless)라 이름 짓고 식빵류 등에 적용한다. 이를 통해 빵 본연의 맛은 살리고,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여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2) 다양한 제품
뚜레쥬르는 케
추천자료
(마케팅) 르노 삼성 자동차 SM3 마케팅전략
[마케팅원론]유통환경 분석과 마케팅전략
[마케팅관리]새로운 도약을 위한 '금강제화' 마케팅전략 제안
[서비스마케팅]'스타벅스'의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마케팅조사론]광동제약 '옥수수수염차'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브랜드마케팅]아모레퍼시픽 ‘설화수’와 LG생활건강 ‘오휘’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마케팅관리]건강식 전문점 ‘본죽’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마케팅관리]'리츠칼튼' 호텔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마케팅조사]국내 차음료시장 분석 및 '17차' 마케팅전략 분석
[마케팅원론]T.G.I Friday's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네슬레(nestle) 마케팅전략분석과 네슬레 브랜드분석 및 네슬레 향후 경영전략제안
현대자동차 vs 메르세데스 벤츠[Mercedes-Benz] 글로벌 경영전략과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및 ...
[중소기업경영론 공통] 주위의 중소기업을 하나 선정하여 그곳의 마케팅전략을 조사하고 평가...
마케팅원론)실제 제품 혹은 서비스의 마케팅전략 실패 사례를 선정하여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