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의 환리스크 관리 실태 분석 및 관리와 성공사례, 론스타 사건 개요와 전말 총체적 조사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기업의 환리스크 관리 실태 분석 및 관리와 성공사례, 론스타 사건 개요와 전말 총체적 조사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환위험 관리
1. 국내기업의 환리스크 관리 실태
2. 국내기업의 환위험 관리 수단
3. 환리스크관리의 성공 사례-삼성물산

Ⅱ.글로벌 기업의 조세회피
-론스타 조세회피 사례를 중심으로-
1. 론스타 개요
2. 론스타- KEB사례

본문내용

규정, 전화녹음, 내부통제 프로세스등을 구축하고 년 1회 해외법 인 출장점검을 시행한다.
(5) 금융위험 관리 마인드의 배양
:전사원 환관리 교육 시행 전례화, 사내 consultant 및 economist의 역할 수행하고 FPS(Fianacial Portal Service)를 운영한다.
(6) 자연적 헷지(Natural Hedge)우선
:수, 발주 시 동일 통화를 계약하고, 매칭, 네팅, 리딩과 래깅등 자연적인 헷지를 우선적으로 시행하나 자연적인 헷지가 불가능 할 경우에는 사내선물환 시스템을 통해 강제적인 헷지를 시행한다.
(7) Potential Risk가 큰 금융거래는 금지한다
:외화표시 CB(헷지는 불가능), Option 매도(최악의 경우 리스크는 무한대)
3) 관리 프로세스
(1) 사내에서 선물환 거래 통해 전사적 차원의 환리스크 관리
삼성물산은 금융위험관리 목표 달성을 위해 금융위험 관리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시스템을 통한 내부통제 및 정기점검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1980년대 초에 구축된 사내선물환 시스템은 영업부서 환 포지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금융팀이 일정 규칙에 따라 사내선물환율을 고시하고 운영하여 전사적 차원의 환리스크를 관리하는 제도이다.
영업부서에서 환 포지션이 발생한 경우, 자동적으로 원가확정이 이루어지고, 금융팀에서는 포지션 잔액만 외부와 헤지 거래를 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고, 전사적 차원의 헤지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실제, 영업관리 시스템과 사내 선물환 시스템이 수발주 번호로 연동되어 있어 선물환 가입 신청이 누락될 경우 자금집행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될 정도이다.
(2) 내부통제 시스템 구축하고 전사원 환관리 교육 의무화
정기점검은 사업부서 및 투자사에 대해 분기별 환관리 점검, 상사 해외법인 및 해외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년 1회 출장 점검 등이 이루어진다. 그 외에도 전화녹음 시스템(Voice Recording System) 운영, 선물환 계약 만기 e-mail 송부 시스템 등 다양한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전사원 환관리 교육시행을 정례화 하고, 사내 서비스로서 금융시장 특이사항을 분석 보고하는 사내 Economist 역할의 수행, 각국 금융정보 및 분석자료를 게시하는 FPS(Financial Portal Service) 운영 등도 특징이다.
(3) Feedback 및 사후관리
금융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일선 영업 담당자로부터 관리자와 최고경영층까지 리스크 및 헤지에 대한 정보가 피드백 될 수 있도록 금융위험 노출 및 헤지 현황에 대해 부서별 주기적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업무 프로세스도 개선하였다. 또한 사내선물환 과정 수강(1학점 부여)을 의무화 하고 정기/비정기 부서별 순회교육 등도 강화하고 신입사원 및 경력사원 을 대상으로 하는 보수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4) 헤지 적정성 평가는 손익 평가가 아닌 헤지방법만을 평가
각 사업부의 품목 및 프로젝트에 대한 금융위험 구조를 파악한 후 리스크 형태를 분류, 효용분석에 근거하여 가장 단순한 최적의 리스크 헤지방법을 결정한 후 금융위험 관리 원칙에 따라 헤지를 실행하고 있다. 또한 헤지의 적정성에 대한 평가도 결과나 손익의 평가가 아닌 헤지방법 만을 평가 하고 있다.
4) 삼성물산의 금융위험 관리사례
(1)선물환 계약을 통한 환 헤지 사례(수출)
<상황>
삼성물산은 POSCO 회사로부터 철강제품을 공급받아 일본 거래선에게 판매하는 수출영업을 수행중 이었다.
공급자인 POSCO에게 Local at sight L/C를 개설하여 달러화도 물대를 지급하며, 일본 판매 업체에 선적 10일후 T/T 결제조건으로 물대를 달러화로 수취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
*T/T: Telegraphic Transfer (전신환) ; 환어음의 결제를 전신으로 행하는 경우 적용되는 환율로, 환어음의 송달이 1일 이내에 완료되므로 우송기간에 대한 금리의 요인이 개재되지 않는 순순한 의미의 환율이다.
*철강 사업부에서는 금융팀을 통해 다음과 같이 헤지 하였다.
수주통화와 발주통화가 달러화로 동일하지만, POSCO 향 대금지급 후 물대를 수취할 때까지 시점차이(약 10일간의 Exposure)가 발생했다.
-> POSCO향 물대를 선결제한 시점, 10일 후 T/T입금일을 만기로, USD매도/KRW매입 선물환 계약을 시행했다.
(2)선물환 계약을 통한 환 헤지 사례(수입)
<상황>
삼성물산은 미국의 공급업체로부터 메탄올을 수입하여 국내 거래선에게 판매하는 수입영업을 수행 중이었다. 미국 공급자로부터는 Usance L/C 90일 조건으로 달러화로 결제하며, 국내 판매 업체에는 60일 여신을 제공하여 물대는 원화로 수취하는 계약을 체결 하였다.
* 화학 사업부에서는 금융팀을 통해 다음과 같이 헤지하였다.
수주통화는 원화로 매출액은 확정이 되어 있으나, 발주 통화는 달러화로 환율이 변동에 따라 원가가 변동될 수 있는 환 Exposure이 발생했다.
-> 발주시점, B/L결제일을 만기로, USD매/KRW매도 선물환 계약을 시행했다.
*B/L: Bill of Lading (선하증권)
5) 금융위험 관리 및 지원 시스템
(1)사내선물환 시스템
-영업부서 환 포지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금융팀이 일정 규칙에 따라 사내선물환율
을 고시하고 운영하여 전사적 차원의 환리스크를 관리하는 제도이다.
-영업부서에서 환포지션이 발생한 경우, 자동적으로 원가확정이 이루어지고 금융팀에서는 포지션 잔액만 외부(은행)와 헤지거래를 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제고한다.(절차의 간소)
->사내 금융팀 딜링센터는 각 영업부서에서 신청한 사내선물환 계약들을 취합하여 netting후 잔약인 balance position만 은행과 커버거래를 함으로써 영업부서의 환거래 업무를 줄이고, 전사적 차원의 환헤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국내 최초로 1980년대 초반부터 운영되었다.
<사내 선물환 시스템>
(2)금융위험 관리 조직
*관리인력 총 5명
: 담당부장, 과장, 대리, 사원2명
*주요업무
-사내외 외한 Deal(사내선물환 시스템 운영 및 대외거래 주체)
-국내 사업부 및 해외법인의 환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4.25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42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