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대중문화와 문화산업의 의의
II. 최근의 한류 현상
III. 한류에 대한 평가
VI. 문화산업정책에 대한 함의
VII. 맺는 말
II. 최근의 한류 현상
III. 한류에 대한 평가
VI. 문화산업정책에 대한 함의
VII. 맺는 말
본문내용
환경에서 부모의 지대한 관심을 받으며 자라나 ‘소황제’라고도 불리우는 부유한 젊은이들은 외국 문물과의 접촉이 자유롭고 개방적 성향이 강하다. 기존의 중국 문화에 만족하지 못하고 새로운 문화를 갈망하고 있는 이들 젊은층은 ‘하한쭈’의 주된 구성원들이기도 하다.
항목
1980
1985
1990
1995
1999
연평균 증가율(%) ‘81 ~ ’99
GDP(억 위안)
1인당 GDP(위안)
수출액(억 달러)
4,518
460
181
8,964
853
274
18,458
1,634
621
58,478
4,854
1,488
82,054
6,546
1,949
9.8
8.4
13.3
* 자료: 中國統計年鑑, 2000년. 김휴종(2001)에서 재인용.
국가
인구(백만명)
GDP(억 달러)
교역 규모(억 달러)
한국
중국
홍콩
대만
아세안
일본
NAFTA
EU
47
1,261
7
22
456
127
406
376
4,800
11,040
1,650
3,230
5,560
46,140
122,440
77,370
3,328
4,743
4,142
2,884
8,042
8,591
28,200
41,590
* 자료: 한국문화정책개발원(2001: 10)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적 진공 상태가 미국이나 일본이 아닌 한국의 대중문화로 메워진 데에는 다분히 정치적 고려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사회주의적 정치체제인 중국이나 베트남의 경우 자본주의의 메카인 미국의 대중문화를 여과없이 수용하기에는 부담이 너무 클 것이다. 또한 아픈 과거 역사의 기억으로 인해 일본 대중문화를 적극 받아들이는 것도 쉽지 않을 것이다. 이에 비해 한국의 대중문화는 같은 동양의 유교사상적 배경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미국 문화의 옷을 입고 있다. 말하자면 한국 대중문화는 본래 미국식 대중문화이지만 일본의 영향을 받은 한국적 정서로 한 번 걸러져서 동양화된 퓨전 문화라는 점에서 비교적 부담없이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이다. 결국 중국 및 베트남 정부가 “수용가능한 콘텐츠로 묵인”해주지 않았더라면 아마도 이들 지역에서 지금처럼 거센 한류 바람이 일어나기는 어려웠을 없었을 것이다.(유진룡, 2001)
3. 개인적 요인: 소수의 기업가적 활동가
한류 현상의 원인을 꼽을 때 현지에 직접 뛰어들어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에 매달렸던 소수의 기업가적 활동가들을 빼놓을 수 없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 宇田SOFT의 김윤호 사장을 꼽을 수 있다.(이형삼, 2001) 1996년 중국에 건너간 그는 중국 FM 라디오 방송 ‘북경음악대’에서 1주일에 한 번 방송되는 한국음악 전문코너를 맡아 1년간 음악선곡과 방송원고 작성을 담당하였다. 그밖에도 ‘교통대’, ‘장사음악대’ 등 라디오 방송국의 ‘환락무환’, ‘최유한국풍정’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장르의 한국 대중음악을 소개하였다. 이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음악 취향을 분석한 그는 한국의 댄스음악이라면 충분히 승산이 있으리라는 결론을 얻었다. 당시 중국에서 주류를 이루던 홍콩·대만 가수들의 발라드풍 노래와 차별될 뿐만 아니라 가사전달의 어려움을 강렬한 리듬과 비트로 커버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김윤호 사장은 한국 댄스가수의 음반 발매 및 대형 콘서트 기획 등을 위해 많은 중국내 관계자들을 끊임없이 만나고 집요하게 설득하였으며 홍보에도 전력을 다 기울였다. 그리하여 당시 한국내 최고의 인기 댄스그룹 H.O.T의 중국내 첫 공식음반이 1998년 5월에 시판되어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그 뒤를 이어 클론, NRG, 베이비복스 등이 계속해서 중국에 진출하게 되었다.
또한 라디오 음악전문방송 및 음반제작 등 종합 엔터테인먼트사인 (주) Media Plus의 박영교, 정연준 부사장도 한류 붐 조성에 크게 기여한 인물들이다. 중국 문화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회사를 설립한 이들은 1996년 2월 중국의 국제방송국과 합작을 통해 한국음악 프로그램을 송출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리고 중국 정부의 여러 관계자들과 계속 접촉하여 1997년 3월에는 마침내 중국 중앙정부의 광파전영전시총국으로부터 한중 문화교류를 위한 음악프로그램 송출의 비준(광전 301호)을 얻어내었다. 이어 중국 국무원 외교부와 문화부의 승인도 획득하고 북경, 상해, 천진, 청도, 광주 등 5개 지역 방송국가 프로그램 송출에 합의하였다. 그리고 1997년 7월 ‘한성음악청’(서울음악실)이라는 타이틀로 공식적인 첫 정규방송을 시작하였다. 1999년 5월에는 무한, 요녕, 길림, 남경, 홍콩, 마카오 지역 등으로 방송송출 지역이 확대되고 방송시간도 주 3회로 늘어났다. 그 후 2001년 3월에는 주 6회로 방송시간이 확대편성되었으며, 2002년 1월에는 중경, 성도, 곤명, 계림, 심천 등으로 방송지역 또한 확대되었다.
한편 연예기획사로는 첫 번째 코스닥 상장기업인 SM 엔터테인먼트의 이수만 이사 역시 한류 돌풍의 중요한 공로자 중의 한 사람이다. 70년대 가수 활동을 했었던 그는 80년대 미국 유학을 통하여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대한 확고한 비전과 계획을 갖게 되었다. 일찍부터 한국 가수들의 동아시아 진출을 꿈꿔온 그는 장기적 구도를 가지고 여러 가지 활발한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 10대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한 면밀한 시장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H.O.T라는 아이돌 그룹을 탄생시켰던 그는 계속해서 S.E.S, N.R.G, 신화, 보아 등의 인기 댄스가수들을 중점적으로 선보였다. 그의 사업전략의 핵심은 철저한 기획과 마케팅을 통해 아이돌 스타를 만들어내는 데에 있다. 예컨대 얼마 전 일본 음반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던 보아의 경우 처음부터 일본 및 세계무대 진출이라는 목표 하에 기획된 가수이다. 14세 소녀를 스카우트하여 노래와 댄스는 물론 일본어와 영어까지 철저하게 교육시킴으로써 ‘상품의 완성도’를 높였던 것이다.
4. 정책적 요인: 한국 음반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정부 지원
동아시아권의 한류 바람 뒤에는,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한국 정부의 숨은 지원과 도움이 있었다. 우리 나라에서 문화산업이 중요한 정책 영역으로 자리잡은 것은 1994년 문화관광부(당시 문화체육부) 내에 문화산업국이 신설되면서부터였다.
예컨대 2000년 2월의 H.O.T 중국 공연
항목
1980
1985
1990
1995
1999
연평균 증가율(%) ‘81 ~ ’99
GDP(억 위안)
1인당 GDP(위안)
수출액(억 달러)
4,518
460
181
8,964
853
274
18,458
1,634
621
58,478
4,854
1,488
82,054
6,546
1,949
9.8
8.4
13.3
* 자료: 中國統計年鑑, 2000년. 김휴종(2001)에서 재인용.
국가
인구(백만명)
GDP(억 달러)
교역 규모(억 달러)
한국
중국
홍콩
대만
아세안
일본
NAFTA
EU
47
1,261
7
22
456
127
406
376
4,800
11,040
1,650
3,230
5,560
46,140
122,440
77,370
3,328
4,743
4,142
2,884
8,042
8,591
28,200
41,590
* 자료: 한국문화정책개발원(2001: 10)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적 진공 상태가 미국이나 일본이 아닌 한국의 대중문화로 메워진 데에는 다분히 정치적 고려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사회주의적 정치체제인 중국이나 베트남의 경우 자본주의의 메카인 미국의 대중문화를 여과없이 수용하기에는 부담이 너무 클 것이다. 또한 아픈 과거 역사의 기억으로 인해 일본 대중문화를 적극 받아들이는 것도 쉽지 않을 것이다. 이에 비해 한국의 대중문화는 같은 동양의 유교사상적 배경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미국 문화의 옷을 입고 있다. 말하자면 한국 대중문화는 본래 미국식 대중문화이지만 일본의 영향을 받은 한국적 정서로 한 번 걸러져서 동양화된 퓨전 문화라는 점에서 비교적 부담없이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이다. 결국 중국 및 베트남 정부가 “수용가능한 콘텐츠로 묵인”해주지 않았더라면 아마도 이들 지역에서 지금처럼 거센 한류 바람이 일어나기는 어려웠을 없었을 것이다.(유진룡, 2001)
3. 개인적 요인: 소수의 기업가적 활동가
한류 현상의 원인을 꼽을 때 현지에 직접 뛰어들어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에 매달렸던 소수의 기업가적 활동가들을 빼놓을 수 없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 宇田SOFT의 김윤호 사장을 꼽을 수 있다.(이형삼, 2001) 1996년 중국에 건너간 그는 중국 FM 라디오 방송 ‘북경음악대’에서 1주일에 한 번 방송되는 한국음악 전문코너를 맡아 1년간 음악선곡과 방송원고 작성을 담당하였다. 그밖에도 ‘교통대’, ‘장사음악대’ 등 라디오 방송국의 ‘환락무환’, ‘최유한국풍정’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장르의 한국 대중음악을 소개하였다. 이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음악 취향을 분석한 그는 한국의 댄스음악이라면 충분히 승산이 있으리라는 결론을 얻었다. 당시 중국에서 주류를 이루던 홍콩·대만 가수들의 발라드풍 노래와 차별될 뿐만 아니라 가사전달의 어려움을 강렬한 리듬과 비트로 커버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김윤호 사장은 한국 댄스가수의 음반 발매 및 대형 콘서트 기획 등을 위해 많은 중국내 관계자들을 끊임없이 만나고 집요하게 설득하였으며 홍보에도 전력을 다 기울였다. 그리하여 당시 한국내 최고의 인기 댄스그룹 H.O.T의 중국내 첫 공식음반이 1998년 5월에 시판되어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그 뒤를 이어 클론, NRG, 베이비복스 등이 계속해서 중국에 진출하게 되었다.
또한 라디오 음악전문방송 및 음반제작 등 종합 엔터테인먼트사인 (주) Media Plus의 박영교, 정연준 부사장도 한류 붐 조성에 크게 기여한 인물들이다. 중국 문화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회사를 설립한 이들은 1996년 2월 중국의 국제방송국과 합작을 통해 한국음악 프로그램을 송출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리고 중국 정부의 여러 관계자들과 계속 접촉하여 1997년 3월에는 마침내 중국 중앙정부의 광파전영전시총국으로부터 한중 문화교류를 위한 음악프로그램 송출의 비준(광전 301호)을 얻어내었다. 이어 중국 국무원 외교부와 문화부의 승인도 획득하고 북경, 상해, 천진, 청도, 광주 등 5개 지역 방송국가 프로그램 송출에 합의하였다. 그리고 1997년 7월 ‘한성음악청’(서울음악실)이라는 타이틀로 공식적인 첫 정규방송을 시작하였다. 1999년 5월에는 무한, 요녕, 길림, 남경, 홍콩, 마카오 지역 등으로 방송송출 지역이 확대되고 방송시간도 주 3회로 늘어났다. 그 후 2001년 3월에는 주 6회로 방송시간이 확대편성되었으며, 2002년 1월에는 중경, 성도, 곤명, 계림, 심천 등으로 방송지역 또한 확대되었다.
한편 연예기획사로는 첫 번째 코스닥 상장기업인 SM 엔터테인먼트의 이수만 이사 역시 한류 돌풍의 중요한 공로자 중의 한 사람이다. 70년대 가수 활동을 했었던 그는 80년대 미국 유학을 통하여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대한 확고한 비전과 계획을 갖게 되었다. 일찍부터 한국 가수들의 동아시아 진출을 꿈꿔온 그는 장기적 구도를 가지고 여러 가지 활발한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 10대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한 면밀한 시장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H.O.T라는 아이돌 그룹을 탄생시켰던 그는 계속해서 S.E.S, N.R.G, 신화, 보아 등의 인기 댄스가수들을 중점적으로 선보였다. 그의 사업전략의 핵심은 철저한 기획과 마케팅을 통해 아이돌 스타를 만들어내는 데에 있다. 예컨대 얼마 전 일본 음반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던 보아의 경우 처음부터 일본 및 세계무대 진출이라는 목표 하에 기획된 가수이다. 14세 소녀를 스카우트하여 노래와 댄스는 물론 일본어와 영어까지 철저하게 교육시킴으로써 ‘상품의 완성도’를 높였던 것이다.
4. 정책적 요인: 한국 음반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정부 지원
동아시아권의 한류 바람 뒤에는,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한국 정부의 숨은 지원과 도움이 있었다. 우리 나라에서 문화산업이 중요한 정책 영역으로 자리잡은 것은 1994년 문화관광부(당시 문화체육부) 내에 문화산업국이 신설되면서부터였다.
예컨대 2000년 2월의 H.O.T 중국 공연
추천자료
신라면의 성공사례
네오위즈사 세이클럽의 인터넷 비즈니스 성공 사례에 관한 조사.
[체험 마케팅] 태평양 라네즈 성공 사례
기업사례를 통한 글로벌 마케팅 및 글로벌 광고 전략에 관한 조사
보아를 통한 SM 엔터테인먼트의 경영전략
인터넷_마케팅_성공사례(옥션)
락앤락의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성공배경과 특징 및 마케...
(A+자료) 유태인 상술의 개념과 특성 및 성공전략, 성공요인, 마케팅 조사분석
글로벌CEO비전과전략과제_김성주CEO성공요인분석 포트폴리오
[사회과학] 프랜차이즈 창업
더본코리아,더본코리아기업분석,더본코리아마케팅전략,컨셉마케팅전략,소셜커머스와연계한마...
이디야 커피(Ediya Coffee) vs 카페베네(Café bene) vs 스타벅스(Starbucks) 서비...
[서비스마케팅] ‘네이버 라인(NAVER LINE)’ 마케팅전략 분석과 라인 SWOT,STP,4P전략 (발표 ...
[E-business 성공사례연구] 교보문고 e-business(이비즈니스).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