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북아일랜드의 분쟁사
Ⅲ. 평화정착을 위한 양국의 노력
Ⅳ. 마치는 말
<참고문헌>
Ⅱ. 북아일랜드의 분쟁사
Ⅲ. 평화정착을 위한 양국의 노력
Ⅳ. 마치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맡기고, IRA가 무장 투쟁을 포기하면 평화 협상에 참여시키겠다는 것이었다. 또한 1995년 2월 영국과 아일랜드 양국 정부가 발표한 북아일랜드 평화안은 분쟁 해결 방안의 기본 틀을 마련했다. 그러나 북아일랜드가 영국령으로 남아 있기를 바라는 신교계 지도자들이 강하게 반발하여, 그 후에 계속된 평화 회담은 난항을 겪었고 영국이 IRA가 먼저 무장해제할 것을 요구함에 따라 회담은 진전되지 못하였다. 평화 협상이 무산된 이후 유혈 사태는 또다시 발생하였고, 1997년 실시된 영국 총선의 결과 새로 집권한 노동당의 블레어 총리는 신페인(Sinn Fein-아일랜드인만이 북아일랜드의 주인이라는 의미)당의 참여에 반대하던 보수당 정권의 오랜 방침을 깨고, IRA의 정치 조직인 신페인당이 평화 회담에 동참할 것을 제의했다. 그리고 1997년 7월 IRA가 휴전을 선언함으로써 북아일랜드 평화 협상에 획기적인 발판이 마련되었다.
1997년 12월 27일 북아일랜드에서의 유혈 충돌이 확산되면서 평화 협상이 무산될 듯 했으나, 1998년 4월 마침내 다자 회담을 통한 북아일랜드 평화 협정(굿 프라이데이 협정)이 타결되었다. 5월 22일 북아일랜드 평화안에 대한 주민투표가 실시되고, 그 결과 찬성이 70%를 넘자 블레어 총리는 분쟁 종식에 대한 전망이 밝아졌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신교도 측은 IRA가 무장해제를 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영국이 제안한 신페인당과의 권력 공유를 거부하였다. 8월 15일 신·구교도들 사이에 유혈 사태가 발생하였고 분쟁의 재발을 막기 위해, 1999년 자치 정부를 구성하고 평화 협정 합의안을 수용·이행하였다. 이에 따라 북아일랜드는 영국 정부로부터 기본 자치권을 이양 받게 되었지만, 경찰 및 사법 등 분야는 여전히 영국 정부 관할권의 영향 아래 남아있게 되었다.
Ⅳ. 마치는 말
민족과 종교의 이질성에서 출발한 북아일랜드 분쟁은 서부 유럽 지역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분쟁 중 하나이다. 1922년 영국으로부터 불완전하게 독립되면서 계속된 정치적 불안정은, 자치와 평화 정착을 위한 꾸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호 타결점을 찾지 못한 상태였다. 이렇게 교착 상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2005년 7월 IRA는 35년 만에 모든 무장 투쟁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하였다. 2007년 5월에는 가톨릭과 신교파 연합의 북아일랜드 공동 자치 정부가 출범하였다. 2009년 6월에는 구교도 무장단체가 무장해제를 선언한지 4년 만에 북아일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신교도 준군사조직인 얼스터의용군과 얼스터방위군이 완전한 무장해제를 선언했다. 그러나 IRA 강경 분파가 여전히 활동 중이다. 북아일랜드에서 수십 년간 이어진 신구교도 간의 ‘피의 전쟁’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는 날은 언제나 올까? 구동회 외,『세계의 분쟁』푸른길, 151~152쪽.
<참고문헌>
구동회 외, 『세계의 분쟁』,푸른길.
http://blog.naver.com/cocoborn?Redirect=Log&logNo=130074546386
http://yoon2848.blog.me/120000414457
1997년 12월 27일 북아일랜드에서의 유혈 충돌이 확산되면서 평화 협상이 무산될 듯 했으나, 1998년 4월 마침내 다자 회담을 통한 북아일랜드 평화 협정(굿 프라이데이 협정)이 타결되었다. 5월 22일 북아일랜드 평화안에 대한 주민투표가 실시되고, 그 결과 찬성이 70%를 넘자 블레어 총리는 분쟁 종식에 대한 전망이 밝아졌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신교도 측은 IRA가 무장해제를 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영국이 제안한 신페인당과의 권력 공유를 거부하였다. 8월 15일 신·구교도들 사이에 유혈 사태가 발생하였고 분쟁의 재발을 막기 위해, 1999년 자치 정부를 구성하고 평화 협정 합의안을 수용·이행하였다. 이에 따라 북아일랜드는 영국 정부로부터 기본 자치권을 이양 받게 되었지만, 경찰 및 사법 등 분야는 여전히 영국 정부 관할권의 영향 아래 남아있게 되었다.
Ⅳ. 마치는 말
민족과 종교의 이질성에서 출발한 북아일랜드 분쟁은 서부 유럽 지역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분쟁 중 하나이다. 1922년 영국으로부터 불완전하게 독립되면서 계속된 정치적 불안정은, 자치와 평화 정착을 위한 꾸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호 타결점을 찾지 못한 상태였다. 이렇게 교착 상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2005년 7월 IRA는 35년 만에 모든 무장 투쟁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하였다. 2007년 5월에는 가톨릭과 신교파 연합의 북아일랜드 공동 자치 정부가 출범하였다. 2009년 6월에는 구교도 무장단체가 무장해제를 선언한지 4년 만에 북아일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신교도 준군사조직인 얼스터의용군과 얼스터방위군이 완전한 무장해제를 선언했다. 그러나 IRA 강경 분파가 여전히 활동 중이다. 북아일랜드에서 수십 년간 이어진 신구교도 간의 ‘피의 전쟁’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는 날은 언제나 올까? 구동회 외,『세계의 분쟁』푸른길, 151~152쪽.
<참고문헌>
구동회 외, 『세계의 분쟁』,푸른길.
http://blog.naver.com/cocoborn?Redirect=Log&logNo=130074546386
http://yoon2848.blog.me/120000414457
추천자료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경협의 추진실태와 평가 : 남북문제
통일교육에 관한 모든것
EU의 공동외교 안보정책과 독자방위 체제
남북정상회담의 전망
남한의 대북지원에 관한 조사
발칸유럽의 지정학적 위치에 따른 분쟁
[남북한군비통제][남북한군비통제 한계점]남북한군비통제의 원칙, 남북한군비통제의 목적, 남...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그랜드바겐 전략 대두배경과 성공적추진전략
[베이징회담][북경회담][한중교류][중국여성][세계여성대회][국제도시][중국]베이징회담(북경...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효과와 성공적 유치방안
[갈등]갈등의 개념, 갈등의 유형, 갈등과 갈등이론, 갈등과 민족갈등, 갈등과 북미갈등, 갈등...
러시아 정부에 따른 한러 관계
[국제물류론] 철도운송 활성화와 블록트레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