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개념화된 글쓰기
제 1장 실용적 자기표현과 스토리텔링-자기소개서와 로드맵을 중심으로
1. 실용적 자기표현의 의미 11
2. 실용적 자기표현의 과정 14
3. 실용적 자기표현의 효과1: 정체성의 확인과 개성의 발견 29
4. 실용적 자기표현의 효과2: 미래에 대한 도전적 기획 39
5. 결론 : 실용적 자기표현과 교양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49
제 2장 인터뷰와 스토리텔링
1. 인터뷰의 의의 53
2. 인터뷰의 유형 59
3. 인터뷰의 준비 과정 71
4. 인터뷰의 진행 78
5. 인터뷰의 기록과 정리 82
제 3장 문화콘텐츠 글쓰기와 스토리텔링
1. 생활문화 글쓰기와 스토리텔링 101
2. 지역문화 글쓰기와 스토리텔링 148
참고문헌 211
제 1장 실용적 자기표현과 스토리텔링-자기소개서와 로드맵을 중심으로
1. 실용적 자기표현의 의미 11
2. 실용적 자기표현의 과정 14
3. 실용적 자기표현의 효과1: 정체성의 확인과 개성의 발견 29
4. 실용적 자기표현의 효과2: 미래에 대한 도전적 기획 39
5. 결론 : 실용적 자기표현과 교양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49
제 2장 인터뷰와 스토리텔링
1. 인터뷰의 의의 53
2. 인터뷰의 유형 59
3. 인터뷰의 준비 과정 71
4. 인터뷰의 진행 78
5. 인터뷰의 기록과 정리 82
제 3장 문화콘텐츠 글쓰기와 스토리텔링
1. 생활문화 글쓰기와 스토리텔링 101
2. 지역문화 글쓰기와 스토리텔링 148
참고문헌 211
본문내용
는 방법을 말한다. 전화 인터뷰와 마찬가지로 인터뷰어와 인터뷰이는 직접 만나지 않고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게 된다.인터뷰어가 필요한 질문을 서면으로 적어 보내면, 인터뷰이가 역시 서면으로 답변을 적어 돌려보내는 방식이다.
보도용 인터뷰를 진행하는 기자들 입장에서는 직접 만나기도 어렵고, 전화를 걸 만큼 친숙한 사이도 아닌 인물들, 특히 고위 공직자나 해외 유명인을 인터뷰할 경우엔 서면 인터뷰를 많이 활용한다.
과거에는 서면인터뷰라 하면 직접 혹은 우편을 통해 문서를 주고받음으로써 이루어졌지만, 이제는 팩스나 이메일을 이용한 서면 인터뷰가 일반적이다. 팩스나 이메일을 이용할 경우에는 발신자가 누구인지 명확히 밝혀 보내도록 하며, 발송 이후에는 상대방이 온전하게 수신을 했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④ 인터넷 메신저 인터뷰
메신저 인터뷰는 네이트온이나 MSN 메신저, 구글 토크 등과 같은 인터넷기반의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터뷰를 의미한다. 요즘은 트위터처럼 짧은 글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무엇보다 인터넷 글쓰기의 특징인 줄임말 표현, 이모티콘, 신조어 표현 등이 활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명료한 의미 전달과 의사소통을 요구하는 인터뷰의 방식으로는 별로 바람직스럽지 않은 선택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비롯한 유비쿼터스 기기의 보급과 활용이 좀 더 보편화된 이후에는 가장 각광받고 애용되는 인터뷰 방식이 될 가능성도 높다.
⑶ 만남의 방식에 따른 유형
① 단독 인터뷰
아직까지 가장 일반적인 인터뷰 방법은 대면 인터뷰 가운데에서도 단독 인터뷰의 방식이다. 이 방식은 말 그대로 인터뷰어와 인터뷰이가 일 대 일로 만나 진행하는 인터뷰를 의미한다.
여기서 일 대 일이라는 것은 인터뷰어와 인터뷰이가 각각 한 명씩이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두 명 이상의 인터뷰어나 인터뷰이가 인터뷰에 참여하더라도 단독 인터뷰로 간주되는 경우도 있다. 가령 세명으로 이루어진 보컬 그룹 팀을 한 명의 기자가 인터뷰한다고 하면, 인터뷰이의 숫자는 세 명일지라도 어디까지나 단독 인터뷰로 간주될 만하다. 숫자가 두 명 이상일 때에도 인터뷰에 참여한 매체가 하나일 경우에는 단독 인터뷰로 간주된다.
단독 인터뷰는 인터뷰어와 인터뷰이가 좀 더 은밀하고 친밀한 관계 속에서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내면의 깊은 이야기를 꺼내어 놓기에 유리한 방식이다. 하지만 인터뷰어와 인터뷰이라는 당사자 양 측을 제외하면 대화의 내용을 확인할 방법이 마땅치 않기 때문에 보도용 인터뷰의 경우 오보나 왜곡의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우려될 만하다.
공동 인터뷰
인터뷰어가 두 명 이상이고, 이를 단일한 팀으로 불 수 없는 경우의 인터뷰를 공동 인터뷰라고 한다. 흔히 기자 회견이나 기자 간담회 형식으로 진행되는 인터뷰는 복수(複數)의 인터뷰어가 진행하는 공동 인터뷰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동 인터뷰의 또 다른 장점은 인터뷰어 입장에서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영역의 질문을 다른 인터뷰어가 보완해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인터뷰이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입장을 널리 홍보하거나 사실을 해명하는 데에 있어 개별적인 인터뷰에 응하는 것보다 매우 효율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3. 인터뷰의 준비 과정
인터뷰를 하기 위해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는 우선 인터뷰의 주제와 대상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인터뷰 목적에 맞추어 적절한 주제와 대상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뷰의 구체적 주제가 정해진 뒤에 인터뷰 대상을 찾아 나서기 마련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인터뷰 대상이 정해진 뒤에 대상에 걸맞은 인터뷰 주제를 결정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대면단독 인터뷰를 기본 전제로 하여 인터뷰 준비 과정을 점검해보기로 하겠다.
⑴ 인터뷰 주제의 선정
인터뷰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인터뷰 주제를 구체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만약 주제를 구체적으로 잡지 않고 인터뷰를 진행하게 되면, 이것저것 생각나는 대로 물어보고 답하는 ‘30문 30답’ 식의 설문에 불과하게 된다. 구체적인 주제로 인터뷰의 내용을 한정해두어야 인터뷰의 목적을 구체화할 수 있다.
⑵ 인터뷰 대상의 선정
인터뷰 대상은 인터뷰의 목적과 주제에 맞추어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해외의 하천개발 사례’를 취재하는 보도용 인터뷰라면 최소 두 개 국가 이상의 하천 개발 사례를 설명해줄 만한 해외 학자나 고위 공무원과의 인터뷰가 필요할 것이며, ‘4대강 사업에 대한 지역별 여론’을 취재하기 위해서는 역시 4대강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곳과 진행되지 않은 곳,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주변 토지의 소유자와 비소유자 등으로 나누어 현지 주민들의 의견을 물어보는 인터뷰가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반드시 유명한 인물이나 성공한 인물을 인터뷰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 주변의 가까운 인물들을 인터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늘 가깝게 지내는 가족이나 친구들을 인터뷰하게 되면, 평소에는 너무나 가깝기 때문에 오히려 묻기 어려웠던 사건에 대해 궁금증을 해결할 수도 있고, 그들의 삶이 나에게 주는 의미를 새삼 깨달아보는 기회도 얻을 수 있다.
⑶ 인터뷰 주제와 대상 선택의 실제
적합한 주제와 대상을 선택하는 것은 인터뷰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할 만큼 중요하다. 성찰용 인터뷰의 경우에는 어떠한 주제로 어떤 인터뷰이를 만나는 것이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에 있어서 보탬이 될 것인가를 진지하게 검토해 보아야 한다. 보도용 인터뷰나 조사용 인터뷰의 경우에도 인터뷰 주제와 대상의 선택은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 져야 한다.
다음은 대학생들이 직접 인터뷰어로서 성찰용 인터뷰에 나섰을 때, 선택해볼 만한 인터뷰 주제와 대상을 예시로 든 것이다.
예
인터뷰 주제
인터뷰 대상
1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 준비할 것들
현직 사회복지사 (나의 희망 직업)
2
직장생활의 어려움과 스트레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한 동창
3
싱글맘으로 살아가기
혼자 아이를 키우고 있는 사촌언니
4
호프집 사장님이 본 대학생들의 변화
학교 앞 단골 호프집 사장님
5
대형 할인매장 규제의 필요성
통네 슈퍼마켓 주인아저씨
6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사
보도용 인터뷰를 진행하는 기자들 입장에서는 직접 만나기도 어렵고, 전화를 걸 만큼 친숙한 사이도 아닌 인물들, 특히 고위 공직자나 해외 유명인을 인터뷰할 경우엔 서면 인터뷰를 많이 활용한다.
과거에는 서면인터뷰라 하면 직접 혹은 우편을 통해 문서를 주고받음으로써 이루어졌지만, 이제는 팩스나 이메일을 이용한 서면 인터뷰가 일반적이다. 팩스나 이메일을 이용할 경우에는 발신자가 누구인지 명확히 밝혀 보내도록 하며, 발송 이후에는 상대방이 온전하게 수신을 했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④ 인터넷 메신저 인터뷰
메신저 인터뷰는 네이트온이나 MSN 메신저, 구글 토크 등과 같은 인터넷기반의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터뷰를 의미한다. 요즘은 트위터처럼 짧은 글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무엇보다 인터넷 글쓰기의 특징인 줄임말 표현, 이모티콘, 신조어 표현 등이 활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명료한 의미 전달과 의사소통을 요구하는 인터뷰의 방식으로는 별로 바람직스럽지 않은 선택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비롯한 유비쿼터스 기기의 보급과 활용이 좀 더 보편화된 이후에는 가장 각광받고 애용되는 인터뷰 방식이 될 가능성도 높다.
⑶ 만남의 방식에 따른 유형
① 단독 인터뷰
아직까지 가장 일반적인 인터뷰 방법은 대면 인터뷰 가운데에서도 단독 인터뷰의 방식이다. 이 방식은 말 그대로 인터뷰어와 인터뷰이가 일 대 일로 만나 진행하는 인터뷰를 의미한다.
여기서 일 대 일이라는 것은 인터뷰어와 인터뷰이가 각각 한 명씩이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두 명 이상의 인터뷰어나 인터뷰이가 인터뷰에 참여하더라도 단독 인터뷰로 간주되는 경우도 있다. 가령 세명으로 이루어진 보컬 그룹 팀을 한 명의 기자가 인터뷰한다고 하면, 인터뷰이의 숫자는 세 명일지라도 어디까지나 단독 인터뷰로 간주될 만하다. 숫자가 두 명 이상일 때에도 인터뷰에 참여한 매체가 하나일 경우에는 단독 인터뷰로 간주된다.
단독 인터뷰는 인터뷰어와 인터뷰이가 좀 더 은밀하고 친밀한 관계 속에서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내면의 깊은 이야기를 꺼내어 놓기에 유리한 방식이다. 하지만 인터뷰어와 인터뷰이라는 당사자 양 측을 제외하면 대화의 내용을 확인할 방법이 마땅치 않기 때문에 보도용 인터뷰의 경우 오보나 왜곡의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우려될 만하다.
공동 인터뷰
인터뷰어가 두 명 이상이고, 이를 단일한 팀으로 불 수 없는 경우의 인터뷰를 공동 인터뷰라고 한다. 흔히 기자 회견이나 기자 간담회 형식으로 진행되는 인터뷰는 복수(複數)의 인터뷰어가 진행하는 공동 인터뷰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동 인터뷰의 또 다른 장점은 인터뷰어 입장에서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영역의 질문을 다른 인터뷰어가 보완해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인터뷰이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입장을 널리 홍보하거나 사실을 해명하는 데에 있어 개별적인 인터뷰에 응하는 것보다 매우 효율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3. 인터뷰의 준비 과정
인터뷰를 하기 위해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는 우선 인터뷰의 주제와 대상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인터뷰 목적에 맞추어 적절한 주제와 대상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뷰의 구체적 주제가 정해진 뒤에 인터뷰 대상을 찾아 나서기 마련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인터뷰 대상이 정해진 뒤에 대상에 걸맞은 인터뷰 주제를 결정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대면단독 인터뷰를 기본 전제로 하여 인터뷰 준비 과정을 점검해보기로 하겠다.
⑴ 인터뷰 주제의 선정
인터뷰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인터뷰 주제를 구체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만약 주제를 구체적으로 잡지 않고 인터뷰를 진행하게 되면, 이것저것 생각나는 대로 물어보고 답하는 ‘30문 30답’ 식의 설문에 불과하게 된다. 구체적인 주제로 인터뷰의 내용을 한정해두어야 인터뷰의 목적을 구체화할 수 있다.
⑵ 인터뷰 대상의 선정
인터뷰 대상은 인터뷰의 목적과 주제에 맞추어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해외의 하천개발 사례’를 취재하는 보도용 인터뷰라면 최소 두 개 국가 이상의 하천 개발 사례를 설명해줄 만한 해외 학자나 고위 공무원과의 인터뷰가 필요할 것이며, ‘4대강 사업에 대한 지역별 여론’을 취재하기 위해서는 역시 4대강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곳과 진행되지 않은 곳,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주변 토지의 소유자와 비소유자 등으로 나누어 현지 주민들의 의견을 물어보는 인터뷰가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반드시 유명한 인물이나 성공한 인물을 인터뷰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 주변의 가까운 인물들을 인터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늘 가깝게 지내는 가족이나 친구들을 인터뷰하게 되면, 평소에는 너무나 가깝기 때문에 오히려 묻기 어려웠던 사건에 대해 궁금증을 해결할 수도 있고, 그들의 삶이 나에게 주는 의미를 새삼 깨달아보는 기회도 얻을 수 있다.
⑶ 인터뷰 주제와 대상 선택의 실제
적합한 주제와 대상을 선택하는 것은 인터뷰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할 만큼 중요하다. 성찰용 인터뷰의 경우에는 어떠한 주제로 어떤 인터뷰이를 만나는 것이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에 있어서 보탬이 될 것인가를 진지하게 검토해 보아야 한다. 보도용 인터뷰나 조사용 인터뷰의 경우에도 인터뷰 주제와 대상의 선택은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 져야 한다.
다음은 대학생들이 직접 인터뷰어로서 성찰용 인터뷰에 나섰을 때, 선택해볼 만한 인터뷰 주제와 대상을 예시로 든 것이다.
예
인터뷰 주제
인터뷰 대상
1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 준비할 것들
현직 사회복지사 (나의 희망 직업)
2
직장생활의 어려움과 스트레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한 동창
3
싱글맘으로 살아가기
혼자 아이를 키우고 있는 사촌언니
4
호프집 사장님이 본 대학생들의 변화
학교 앞 단골 호프집 사장님
5
대형 할인매장 규제의 필요성
통네 슈퍼마켓 주인아저씨
6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사
추천자료
[지지적 서비스]아동복지 서비스로서 아동상담사업(지지적 서비스)의 의의와 특징 및 발전적 ...
[지지적 서비스]아동복지 서비스로써 학교사회사업(지지적 서비스)의 의의와 특징 및 발전적 ...
[초등학교 조소교육]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 조소지도(조소교육) 특징과 의의, 초등학교 ...
[지지적서비스]미혼부모자녀사업의 이해 - 지지적 서비스 중 하나인 미혼부모복지사업의 의의...
[수행평가][사회과교육 수행평가]수행평가의 특징, 수행평가의 등장배경, 수행평가의 원리, ...
[사회복지발달사] 민주정부하의 사회복지발전 {시대적 배경, 소극적 복지개입 연혁, 특징과 ...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과학적 관리론 및 인간관계론의 내용과 의의와 특징 및 관계
인간행동과사회환경1A)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교육학과] 인간행동과사회환경1E)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Rogers)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
인간행동과사회환경1D)행동발달에 대한 매슬로(A. Maslow)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인간행동과사회환경1E)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Rogers)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인간행동과사회환경)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행동발달에 대한 매슬로(A, Maslow) 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