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서론
1. ‘말소리’의 정의
제 2장 말소리의 생성
1. 말소리를 만드는 기관 : 발음 기관
2.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과정
제 3장 우리말 듣고 적기
제 4장 우리말 음소의 설정과 분류
1. 음소 설정 방법
2. 우리말 음소의 분류
3. 음소와 이음
제 5장 음운 자질
제 6장 우리말의 운율 단위
제 7장 말소리의 변화와 그 기술 방법
제 8장 음운 변화(Ⅰ): 대치
제 9장 음운 변화(Ⅱ): 탈락, 축약, 첨가
(1) 대치, 탈락, 축약, 첨가 규칙
(2) 운율 단위와 음운 규칙
제 10장 우리말 소리의 제약
1. ‘말소리’의 정의
제 2장 말소리의 생성
1. 말소리를 만드는 기관 : 발음 기관
2.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과정
제 3장 우리말 듣고 적기
제 4장 우리말 음소의 설정과 분류
1. 음소 설정 방법
2. 우리말 음소의 분류
3. 음소와 이음
제 5장 음운 자질
제 6장 우리말의 운율 단위
제 7장 말소리의 변화와 그 기술 방법
제 8장 음운 변화(Ⅰ): 대치
제 9장 음운 변화(Ⅱ): 탈락, 축약, 첨가
(1) 대치, 탈락, 축약, 첨가 규칙
(2) 운율 단위와 음운 규칙
제 10장 우리말 소리의 제약
본문내용
원 순
평 순
고모음
i
u
중모음
o
저모음
i
u
o
j계
j
j
ju
j
jo
w계
wi
w
w
w
계
i
<우리말의 이중모음>
우리말 이중 모음 체계는 활음이 단모음에 선행하는 상향 이중모음만 존재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3. 음소와 이음
음소와 이음의 관계를 관계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 5장 음운 자질
음운 자질은 음운(=음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이나 속성을 말한다. 음운 자질을 설정할 때는 말소리들의 음운론적 행동을 관찰해야한다. 음운 자질은 이 소리와 저 소리를 구별하게 해 주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변별적 자질(distinctive feature)이라고 부른다. 음운 자질은 변별의 기능 외에 분류의 기능(classification function)도 가진다. 음운 자질을 선정하는 기준에는 음운론적 행동을 같이 하는가? 음성적 특징으로 기술 될 수 있는 가? 최소의 자질로 최대의 효과를 보는 가(경제성)? 등이 있다. 음운론적 행동을 함께 하는 소리의 무리를 자연부류라고 부른다.
말소리는 음향적 관점에서 공명음(共鳴音, sonorants)과 장애음(障碍音, obstruents)의 두 범주로 나눈다. 공명음과 장애음을 나누는 자질은 공명성이다. 조음적 관점에서의 말소리는 자음, 모음, 그리고 활음으로 분류된다. 이 분류에는 자음성과 성절성의 자질이 필요하다.
이 중 자음의 분류를 위한 자질에는 조음 방법에서, 지속성, 지연 개방성, 설측성이 있고, 조음 위치에서 설정성, 전방성이 있고, (설정성을 알기 위해서는 중립위치의 정의를 알아야한다. 중립 위치 : 발화 직전의 성도 형태.) 발성유형에서는 기식성과 긴장성이 있다. 모음의 분류를 위한 자질에는 고설성, 저설성, 후설성, 원순성이 있다.
제 6장 우리말의 운율 단위
말소리의 음높이, 크기, 길이, 쉼(끊김)과 같은 요소들을 운율(prosody)이라고 한다.
운율단위는 발화에서 의미 분화의 기능을 한다. 발화에서의 음높이는 문장의 문법적, 화용적 의미를 전달한다. 또, 끊어 읽기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똑같은 분절음의 연쇄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 발화로 해석된다. 우리말의 운율 단위는 음절, 음운단어, 강세구, 억양구, 발화로, 각각의 단위는 상하위개념의 관계이다.
음절은 음소들이 모여 만들어 낸 가장 하위의 운율 단위이다. 음절은 음절핵과 주변음의 결합으로 구성되어있다. 우리말의 음절 유형은 8가지로, 모음 하나로 이루어진 음절, 활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자음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자음활음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모음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활음모음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자음모음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자음활음모음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이 있다.
우리말에서 음절의 수는 글자의 수와 일치한다. 표기상의 초성에 실제로는 아무런 음가가 없는 ‘ㅇ’이 있다는 것을 유의하자. ‘일어나다’는 네 음절이지만 첫음절의 초성은 비어있고 /ㄹ/은 둘째 음절의 초성이다. 여기에는 음절 구조 형성에 있어, 초성 우선 원리가 들어있다. 음절의 구조적 제약은 평폐쇄음화의 동인이다.
하나의 음절, 혹은 여러 개의 음절이 모여 음운 단어를 이룬다. 음운 단어는 불리성과 자림성을 가지는 형태론적 단어와 대체로 일치하나, 축약의 경우, 형태론적으로는 2개의 단어, 음운론적으로는 1개의 단어로 본다. 강세구는 음운단어의 상위 개념으로, 하나 이상의 음운단어들이 모여 만들어진다. 강세구는 발화 중 음높이(성조)의 유형과 분절음의 실현에 의해 형성된다. 억양구는 강세구의 상위 개념으로, 하나 이상의 강세구들이 모여 만들어진다. 억양구는 억양이 얹히는 운율 단위이다. 억양구의 경계 성조는 발화의 문법적, 화용적 의미를 결정한다.
제 7장 말소리의 변화와 그 기술 방법
말소리의 변화는 크게 음소 단위의 변화와 한 개 음소의 여러 이음으로의 실현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음소 단위의 변화는 대치, 탈락, 축약, 첨가가 있으며, 이를 음운 규칙이라한다. 하나의 음소가 여러 이음으로 실현되는 것은 ‘밥’이란 단어에서의 /ㅂ/이 같은 환경에서 이음 [p], [p¬]로 변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를 이음 규칙 또는 음성 규칙이라고 한다.
음운 규칙은 음절과 마찬가지로 머릿속에 있는 지식이며, 음운 규칙을 기술하는 일은 우리 머릿속에 있는 말소리에 관한 지식을 꺼내서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는 ‘모형’으로 만드는 일에 가깝다. 이 중 실제 발음과 가장 가까운 것을 ‘표면형’이라 한다.
◆ 기술 방법 - 기저형
기저형이란 한 형태소가 가진 형태 정보로 음운 정보의 연쇄를 말한다. 추상적 음성형으로서의 단어나 구의 연쇄를, 기저 표시라 부른다. 기저형 설정은 예측 가능성과 경제성, 그리고 타당성 등의 기준에 따른다. 기저형에 음운 규칙이 적용되면 음성 표시가 얻어지는 데 이 과정을 도출이라 한다. 규칙의 기술 방법은 표기 규약을 따르는 것에서 시작한다. 표기 규약에는 간결성의 원칙이 들어있다. 소괄호 표기는 선택적인 요소 표시로 규칙의 이접적 순서의 적용이며, 중괄호 표기는 순서적인 요소 표시로 규칙의 연접적 적용이다. 직각괄호 표기는 선택적인 자질들 간의 의존관계를 나타낸 것이며 알파표기는 변수를 나타낸다. % 표기는 동일한 환경 앞뒤에서 같은 변화가 일어날 경우, 두 환경을 축약하여 표시한 것으로 경상 규칙이라고도 표현한다.
제 8장 음운 변화(Ⅰ): 대치
제 9장 음운 변화(Ⅱ): 탈락, 축약, 첨가
8, 9장에서는 말소리의 환경에 따른 변화를 대치, 탈락, 축약, 첨가로 나누어 설명되어있다. 대치는 특정 음소가 다른 음소로 바뀌는 것을 말하며 탈락은 특정 음소가 사라지는 것이며 축약은 두 가지 음소가 하나로 줄면서 음절 경계가 생겨나는 것이며, 첨가는 원래 없던 음소가 생겨나는 것이다.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1) 대치, 탈락, 축약, 첨가 규칙
큰 분류
음운 규칙
하위 분류
단어 용례
대치
평폐쇄음화
①격음→평폐쇄음
부엌→부억
②경음→평폐쇄음
낚다→낙다→낙따
③마찰음→평폐쇄음
낫→낟
④파찰음→평폐쇄음
낯→낟
⑤//→평폐쇄음
놓는→
평 순
고모음
i
u
중모음
o
저모음
i
u
o
j계
j
j
ju
j
jo
w계
wi
w
w
w
계
i
<우리말의 이중모음>
우리말 이중 모음 체계는 활음이 단모음에 선행하는 상향 이중모음만 존재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3. 음소와 이음
음소와 이음의 관계를 관계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 5장 음운 자질
음운 자질은 음운(=음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이나 속성을 말한다. 음운 자질을 설정할 때는 말소리들의 음운론적 행동을 관찰해야한다. 음운 자질은 이 소리와 저 소리를 구별하게 해 주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변별적 자질(distinctive feature)이라고 부른다. 음운 자질은 변별의 기능 외에 분류의 기능(classification function)도 가진다. 음운 자질을 선정하는 기준에는 음운론적 행동을 같이 하는가? 음성적 특징으로 기술 될 수 있는 가? 최소의 자질로 최대의 효과를 보는 가(경제성)? 등이 있다. 음운론적 행동을 함께 하는 소리의 무리를 자연부류라고 부른다.
말소리는 음향적 관점에서 공명음(共鳴音, sonorants)과 장애음(障碍音, obstruents)의 두 범주로 나눈다. 공명음과 장애음을 나누는 자질은 공명성이다. 조음적 관점에서의 말소리는 자음, 모음, 그리고 활음으로 분류된다. 이 분류에는 자음성과 성절성의 자질이 필요하다.
이 중 자음의 분류를 위한 자질에는 조음 방법에서, 지속성, 지연 개방성, 설측성이 있고, 조음 위치에서 설정성, 전방성이 있고, (설정성을 알기 위해서는 중립위치의 정의를 알아야한다. 중립 위치 : 발화 직전의 성도 형태.) 발성유형에서는 기식성과 긴장성이 있다. 모음의 분류를 위한 자질에는 고설성, 저설성, 후설성, 원순성이 있다.
제 6장 우리말의 운율 단위
말소리의 음높이, 크기, 길이, 쉼(끊김)과 같은 요소들을 운율(prosody)이라고 한다.
운율단위는 발화에서 의미 분화의 기능을 한다. 발화에서의 음높이는 문장의 문법적, 화용적 의미를 전달한다. 또, 끊어 읽기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똑같은 분절음의 연쇄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 발화로 해석된다. 우리말의 운율 단위는 음절, 음운단어, 강세구, 억양구, 발화로, 각각의 단위는 상하위개념의 관계이다.
음절은 음소들이 모여 만들어 낸 가장 하위의 운율 단위이다. 음절은 음절핵과 주변음의 결합으로 구성되어있다. 우리말의 음절 유형은 8가지로, 모음 하나로 이루어진 음절, 활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자음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자음활음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모음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활음모음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자음모음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자음활음모음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이 있다.
우리말에서 음절의 수는 글자의 수와 일치한다. 표기상의 초성에 실제로는 아무런 음가가 없는 ‘ㅇ’이 있다는 것을 유의하자. ‘일어나다’는 네 음절이지만 첫음절의 초성은 비어있고 /ㄹ/은 둘째 음절의 초성이다. 여기에는 음절 구조 형성에 있어, 초성 우선 원리가 들어있다. 음절의 구조적 제약은 평폐쇄음화의 동인이다.
하나의 음절, 혹은 여러 개의 음절이 모여 음운 단어를 이룬다. 음운 단어는 불리성과 자림성을 가지는 형태론적 단어와 대체로 일치하나, 축약의 경우, 형태론적으로는 2개의 단어, 음운론적으로는 1개의 단어로 본다. 강세구는 음운단어의 상위 개념으로, 하나 이상의 음운단어들이 모여 만들어진다. 강세구는 발화 중 음높이(성조)의 유형과 분절음의 실현에 의해 형성된다. 억양구는 강세구의 상위 개념으로, 하나 이상의 강세구들이 모여 만들어진다. 억양구는 억양이 얹히는 운율 단위이다. 억양구의 경계 성조는 발화의 문법적, 화용적 의미를 결정한다.
제 7장 말소리의 변화와 그 기술 방법
말소리의 변화는 크게 음소 단위의 변화와 한 개 음소의 여러 이음으로의 실현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음소 단위의 변화는 대치, 탈락, 축약, 첨가가 있으며, 이를 음운 규칙이라한다. 하나의 음소가 여러 이음으로 실현되는 것은 ‘밥’이란 단어에서의 /ㅂ/이 같은 환경에서 이음 [p], [p¬]로 변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를 이음 규칙 또는 음성 규칙이라고 한다.
음운 규칙은 음절과 마찬가지로 머릿속에 있는 지식이며, 음운 규칙을 기술하는 일은 우리 머릿속에 있는 말소리에 관한 지식을 꺼내서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는 ‘모형’으로 만드는 일에 가깝다. 이 중 실제 발음과 가장 가까운 것을 ‘표면형’이라 한다.
◆ 기술 방법 - 기저형
기저형이란 한 형태소가 가진 형태 정보로 음운 정보의 연쇄를 말한다. 추상적 음성형으로서의 단어나 구의 연쇄를, 기저 표시라 부른다. 기저형 설정은 예측 가능성과 경제성, 그리고 타당성 등의 기준에 따른다. 기저형에 음운 규칙이 적용되면 음성 표시가 얻어지는 데 이 과정을 도출이라 한다. 규칙의 기술 방법은 표기 규약을 따르는 것에서 시작한다. 표기 규약에는 간결성의 원칙이 들어있다. 소괄호 표기는 선택적인 요소 표시로 규칙의 이접적 순서의 적용이며, 중괄호 표기는 순서적인 요소 표시로 규칙의 연접적 적용이다. 직각괄호 표기는 선택적인 자질들 간의 의존관계를 나타낸 것이며 알파표기는 변수를 나타낸다. % 표기는 동일한 환경 앞뒤에서 같은 변화가 일어날 경우, 두 환경을 축약하여 표시한 것으로 경상 규칙이라고도 표현한다.
제 8장 음운 변화(Ⅰ): 대치
제 9장 음운 변화(Ⅱ): 탈락, 축약, 첨가
8, 9장에서는 말소리의 환경에 따른 변화를 대치, 탈락, 축약, 첨가로 나누어 설명되어있다. 대치는 특정 음소가 다른 음소로 바뀌는 것을 말하며 탈락은 특정 음소가 사라지는 것이며 축약은 두 가지 음소가 하나로 줄면서 음절 경계가 생겨나는 것이며, 첨가는 원래 없던 음소가 생겨나는 것이다.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1) 대치, 탈락, 축약, 첨가 규칙
큰 분류
음운 규칙
하위 분류
단어 용례
대치
평폐쇄음화
①격음→평폐쇄음
부엌→부억
②경음→평폐쇄음
낚다→낙다→낙따
③마찰음→평폐쇄음
낫→낟
④파찰음→평폐쇄음
낯→낟
⑤//→평폐쇄음
놓는→
추천자료
국어 음음론 - 음소의 정의
최현배, 이숭녕의 품사 체계와 학교 문법의 품사 체계 비교
낱말의 소리 변화
우리나라의 문자생활과 한글
국어의 운율적 자질
[방송언어][방송언어오용][방송][언어][언어파괴][방송용어]방송언어의 개념, 방송언어의 특...
국어문법론 - 문법교과서 요약 + 이익섭 &#8228; 채완「국어문법론강의」, 허웅「국어학...
영어교육(영어수업) 특징과 목표, 영어교육(영어수업)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영어교...
[오류, 중국어학습, 증명, 교육개혁, 교육공학]중국어학습상의 오류, 증명의 오류, 교육개혁...
[표현, 연속성, 언어표현, 색상어휘, 표현언어, 얼굴표정, 연극]표현과 연속성, 표현과 언어...
한국 방송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외래어 외국어 이름에 대한 분 (방송제목을 중심으로 살펴보기)
영아 및 유아의 말하기 지도 방법을 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