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친족체계와 종족이론, 당내, 소문중, 파문중, 대문중, 조옥, 특징, 현황, 사례, 마케팅 관리, 역할, 기법, 시사점, 나의견해, 총체적 조사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친족체계와 종족이론, 당내, 소문중, 파문중, 대문중, 조옥, 특징, 현황, 사례, 마케팅 관리, 역할, 기법, 시사점, 나의견해, 총체적 조사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r
버나츠키는 한국의 부계친족을 전부 종족이라 한 것이고, 시마는 원시조는 씨족 그리고 그 하부의 구체적 집단을 형성하는 것을 종족이라 하였으며, 송선희는 시마보다 한 단계 아래의 파시조부터 종족이라 하였다. 저자는 종족이란 기능집단의 중요한 내용을 기록에 정체를 상세히 기록한 시조로 문중이란 조직을 갖고 제사를 거행하고 족보를 간행할 수 있는 집단이라고 할 때 시마의 견해가 가장 타당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가족의 범위를 넘어선 친족집단인 종족을 규모에 따라 당내(黨內), 소문중(小門中), 파문중(派門中), 대문중(大門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했다.
◎ 당내(黨內)
당내는 동고조 8촌의 범위를 의미한다. 당내를 일상용어로 흔히 ‘집안’ 이라 한다. 또한 인류학자들은 당내를 흔히 최소 종족(minimal lineage)이라 표시한다. 당내의 친족에서의 범위는 이른바 유복친(有服親) 유복친(有服親) : 복제에 따라 상복을 입어야 하는 가까운 친척
의 범위를 이룬다. 당내는 친족용어의 범위 그리고 유복친의 범위와 일치하는 이외에 양반댁에서는 당내의 종손이 족인의 혼례시 혼주가 되는 경우도 있다.
당내를 집단이라 하는 것은 당내를 구성하는 부계가족들이 제사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중국의 5종법(宗法)에 의하여 이룩된 소종(小宗)을 말한다. 5종법이란 1개의 대종(大宗)과 4개의 소종을 합한 것으로 4개의 소종이란 부를 중심으로한 이종(宗), 조를 중심한 조종(祖宗), 증조를 중심한 증조종, 그리고 고조부를 중심한 고조종을 말하며 이를 모두 합하여 5종이라 한다. 그리고 고조종 이하를 뭉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7.13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5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