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서평/요약] 사람풍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후감/서평/요약] 사람풍경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전문 용어로는 대상 선택이라고 하며 프로이드는 대상선택의 기준을 의존적 대상선택과 자기애적 대상선택으로 나누었다. 의존적 대상선택이란 말 그대로 의존할 대상을 사랑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아기가 엄마에게 그토록 애착을 품는 이유는 엄마가 먹을 것을 주고 보살펴주고, 정서적으로 교류하며 생존에 필요한 것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최초의 사랑의 속성이 의존이듯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자동적으로 자신의 생존에 필요한 사람을 알아보고 그를 사랑하게 된다. 의존적 대상 선택의 기준을 가진 사람이 조심해야 할 것은 바로 그 기준이 되는 결함속에 영원히 매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FMS 나이에 결혼하는 사람은 대체로 의존적 대상선택의 기준을 가지고 있는 확률이 높다. 그에 비해 너무 늦게까지 결혼하지 않는 사람은 자기애적 대상 선택의 방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본다. 그런 이들은 유아에게 엄마와의 애착관계가 순조롭지 못해 그 사랑을 자기 자신에게 돌린 이들이다. 자기애적 대상선택의 특징은 우선 자기 이미지와 닮은 사람에게 사랑을 느낀다는 점이다.
여인을 사랑할대도 그대상을 사랑하는게 아니라 그 대상에 비친 자기 이미지를 사랑한다. 사실 모든 사랑이 의존적 대상 선택이나 자기애적 대상 선택으로 설명되지는 않는다. 사랑에는 그 보다 더 미묘하고 자각하지 못하는 많은 기준이 있고 그것은 더 힘이 세고 즉각적이고 운명적이다. 프로이트가 반론한 “신경증환자의 특별한 기준” 이 그것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방해하는 제삼자 최상의 가치, 창녀에 대한 사랑, 연인을 구원하려는 태도 등 네가지로 기준하였다. 사실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이란, 사랑을 선택하는 병리적 기준이라는 말로 상통한다. 또 현대인에게 자주 문제가 되는 사랑과 성의 병리적이고 중독적인 성향에 합류적 사랑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합류적 사랑이란 상대방에서 사로잡히는 대신 자아발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즉각적인 희열을 욕망하기보다는 단계적으로 발전하는 관계를 지향한다. 헌신을 요구하며 상대방을 압박하기보다는 선택의 자유를 존중하며 관계내에서 지배하고 지배당하기보다는 상호성을 이루는 방식이다. 무엇보다도 상대방과 하나가 되려는 융합의 욕망을 벗고 상대방의 안녕과 성장에 관심을 쏟으며 상대방을 그냥 내버려두는 초연함이 필요하다. 다음은 분노에 대하여 이야기 한다. 분노는 대상상실의 감정, 혹은 돌아오지 않는 사랑으로 표현하다. 분노는 전형적으로 사랑의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9.07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6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