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론적 배경
2. 가출청소년 현황 및 실태
3. 청소년 가출의 요인
4. 가출청소년의 비행화 과정
5. 가출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
6. 외국의 가출청소년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및 대책
7. 가출 청소년 관련 서비스의 문제점
Ⅲ . 결론 및 제언
1. 정책 및 제도적 측면
2. 서비스 체계의 확립
3. 가족적 측면
4. 개인적 측면
< 참 고 문 헌 >
Ⅱ. 본론
1. 이론적 배경
2. 가출청소년 현황 및 실태
3. 청소년 가출의 요인
4. 가출청소년의 비행화 과정
5. 가출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
6. 외국의 가출청소년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및 대책
7. 가출 청소년 관련 서비스의 문제점
Ⅲ . 결론 및 제언
1. 정책 및 제도적 측면
2. 서비스 체계의 확립
3. 가족적 측면
4. 개인적 측면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주로 자립시까지이다. 직업
보도시설은 아동복지법에 의해 운영되는 곳으로 입소기간은 6개월 이상에서 자립시
까지이다.
그룹홈은 일반 가정집과 유사한 규모(6-12명) 로 청소년들이 담당교사와 함께 거주하는 양육중심시설이다. 쉼터에 있다가 가정 내 역기능적 요인으로 집으로 되돌아갈 수 없는 청소년들은 그룹홈으로 연계가 되어야 하지만, 그룹홈의 부족으로 인해 입소 할 곳이 없어 쉼터와 같은 일시보호시설이 중장기화 되는 경향이 있다. (김광수 외, 2003) 그룹홈의 프로그램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위기개입 서비스(신체적, 정신적 치료 프로그램, 가족상담 프로그램 등), 자아 강화 프로그램(자아 존중감 및 자신감 향상 프로그램, 자기통제력, 자율성 향상 프로그램),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 공동체성 향상, 체육활동 및 여행, 사회복귀를 위한 직업, 기술훈련 프로그램) 이 있다.
(2) 상담서비스
가출과 관련된 내용은 전국 어디에서나 1588-0924를 통해 가출청소년과 그 부모
가 상담할 수 있다. 청소년 상담실은 전국에 134개가 있다(한국청소년상담원,2004).
또한 가출. 성매매 관련 여자청소년을 위해 2000년에 설립된 서울시 늘푸른여성지원센터에서는 전화와 사이버상담을 통해 가출여자청소년에게 정보제공등 가출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치료서비스
의료기관에서 청소년 가출 문제를 정식으로 다루는 전문병원은 매우 적다. 현재 서울지역은 강서정신보건센터, 노원정신보건센터, 서대문정신보건센터, 인도주의실천의사협회에서 보호시설을 대상으로 의료서비스를 하고 있다. 그러나 보호시설에 입소하지 않은 가출청소년은 그 어느 곳에서도 의료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서울시 늘푸른여성지원센터는 2004년 4월부터 거리이동상담에서 이동진료차량을 통해 거리 청소년들에게 현장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4) 직업 훈련 서비스
가출 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직업훈련서비스는 선도보호시설에서 주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외 아동직업보도시설, 직업훈련기본법에서 정하고 있는 공공직업훈련기관 등에서 실시하고 있다. 서울지역은 은성직업기술원과 한국여성의 집, 아동복지시설인 마자렐로센터가 있으며, 한남직업전문학교와 여성발전센터 등에서 보호시설의 청소년들이 직업훈련교육을 받을 수 있다.
6. 외국의 가출청소년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및 대책
1) 미국의 가출청소년을 위한 서비스
미국은 1974년 ‘가출청소년법’을 제정하고 이후에 ‘가출및노숙청소년법(Runaway
And Homeless Youth Act)으로 확대 개정하여 보건복지부에서 가출청소년 관련 프로그램들을 마련하고 있다. 가출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응급쉼터(Emergency shelter), 전환생활프로그램(Transitional living program) 및 거리상담프로그램(Outreach program)을 실시하고 있다. 이렇게 미국의 경우 가출한 청소년이 언제든 도움을 받을 수 있고, 그들이 갖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도와줄 수 있는 다양한 체계들이 마련되어 운영되고 있다.
① 응급쉼터(Emergency shelter) 보호기간에 15일로 제한된 단기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가출청소년에게 기본적인 의식주를 제공하고 위기개입, 의료서비스, 개인, 집단 가족 상담서비스와 의뢰를 실시하는 24시간 운영체제를 갖고 있다. YMCA의 청소년 대안센터(The center for youth alternatives), 텍사스 코브넌트 하우스(Covenant House Texas)가 여기에 속한다.
② 전환생활프로그램(Transitional living program) 장기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최대 18개월까지의 거주지를 제공하여 독립생활을 위한 준비를 시킨다. 그 외에 우리나라의 그룹홈과 같은 Group Home Care 프로그램이 있다.
③ 거리상담프로그램(Outreach program) 한국에서 현재 실시중인 거리이동상담 과 같은 서비스이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브리지 프로그램(The bridge,Inc.) 이 있다.
또한 서비스 전달의 효율성을 위해 설립된 가출 및 청소년 서비스 전국 네트워크 (National network of Runaway and youth services) 와 국립가출전화(National Runaway Switchboard)는 전국 연결망을 통해 전화상담 등으로 청소년을 가정과
지역사회의 청소년 관련기관에 연결시킴으로써 청소년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2) 영국 가출 청소년 서비스
영국은 16세 이하 청소년의 경우 보호자 없이 독립적인 거주지에 머무는 것이 불가능하고, 16-17세 청소년은 민간단체가 운영하는 쉼터에서 일시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 아동청소년단(Children and young people’s unit) 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가출청소년 예방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민간단체들은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통해 위기의 청소년에게 기본생활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들은 긴급단기보호시설을 운영하여 식, 주를 제공하고 청소년의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장기보호 및 타 장기보호시설로 의뢰한다(우정자 외, 2003).
3) 독일 가출 청소년 대책
독일에서 가출청소년은 민간 청소년 상담실, 보호기관, 청소년청(Jugendamt:youth
Welfare office)과 연락(전화, 인터넷, 내방, 주변의 신고 등)을 통해 보호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민간기관은 시설보호가 필요할 경우 청소년청에 보고하고, 청소년이 청소년청과 직접 연계한 경우 청소년청이 결정하여 관내 보호시설에 보호 조치한다. 또한 독일의 각 주에서는 가출청소년에 대한 대책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교육학적 관점에서 단계별로 행해지고 있다.
① 집약적. 사회 교육적 개별보호프로젝트([ISE]-Projekt) 3개월간의 단기간 사업으로서 집중적으로 청소년문제에 개입하고 소그룹(4-5명의 담당자)이 기존의 지역사회 자원을 보완하거나 연계관계를 체계화 하는 작업을 주도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사회 환경에 적응하도록 자립심을 키워주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②
보도시설은 아동복지법에 의해 운영되는 곳으로 입소기간은 6개월 이상에서 자립시
까지이다.
그룹홈은 일반 가정집과 유사한 규모(6-12명) 로 청소년들이 담당교사와 함께 거주하는 양육중심시설이다. 쉼터에 있다가 가정 내 역기능적 요인으로 집으로 되돌아갈 수 없는 청소년들은 그룹홈으로 연계가 되어야 하지만, 그룹홈의 부족으로 인해 입소 할 곳이 없어 쉼터와 같은 일시보호시설이 중장기화 되는 경향이 있다. (김광수 외, 2003) 그룹홈의 프로그램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위기개입 서비스(신체적, 정신적 치료 프로그램, 가족상담 프로그램 등), 자아 강화 프로그램(자아 존중감 및 자신감 향상 프로그램, 자기통제력, 자율성 향상 프로그램),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 공동체성 향상, 체육활동 및 여행, 사회복귀를 위한 직업, 기술훈련 프로그램) 이 있다.
(2) 상담서비스
가출과 관련된 내용은 전국 어디에서나 1588-0924를 통해 가출청소년과 그 부모
가 상담할 수 있다. 청소년 상담실은 전국에 134개가 있다(한국청소년상담원,2004).
또한 가출. 성매매 관련 여자청소년을 위해 2000년에 설립된 서울시 늘푸른여성지원센터에서는 전화와 사이버상담을 통해 가출여자청소년에게 정보제공등 가출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치료서비스
의료기관에서 청소년 가출 문제를 정식으로 다루는 전문병원은 매우 적다. 현재 서울지역은 강서정신보건센터, 노원정신보건센터, 서대문정신보건센터, 인도주의실천의사협회에서 보호시설을 대상으로 의료서비스를 하고 있다. 그러나 보호시설에 입소하지 않은 가출청소년은 그 어느 곳에서도 의료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서울시 늘푸른여성지원센터는 2004년 4월부터 거리이동상담에서 이동진료차량을 통해 거리 청소년들에게 현장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4) 직업 훈련 서비스
가출 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직업훈련서비스는 선도보호시설에서 주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외 아동직업보도시설, 직업훈련기본법에서 정하고 있는 공공직업훈련기관 등에서 실시하고 있다. 서울지역은 은성직업기술원과 한국여성의 집, 아동복지시설인 마자렐로센터가 있으며, 한남직업전문학교와 여성발전센터 등에서 보호시설의 청소년들이 직업훈련교육을 받을 수 있다.
6. 외국의 가출청소년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및 대책
1) 미국의 가출청소년을 위한 서비스
미국은 1974년 ‘가출청소년법’을 제정하고 이후에 ‘가출및노숙청소년법(Runaway
And Homeless Youth Act)으로 확대 개정하여 보건복지부에서 가출청소년 관련 프로그램들을 마련하고 있다. 가출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응급쉼터(Emergency shelter), 전환생활프로그램(Transitional living program) 및 거리상담프로그램(Outreach program)을 실시하고 있다. 이렇게 미국의 경우 가출한 청소년이 언제든 도움을 받을 수 있고, 그들이 갖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도와줄 수 있는 다양한 체계들이 마련되어 운영되고 있다.
① 응급쉼터(Emergency shelter) 보호기간에 15일로 제한된 단기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가출청소년에게 기본적인 의식주를 제공하고 위기개입, 의료서비스, 개인, 집단 가족 상담서비스와 의뢰를 실시하는 24시간 운영체제를 갖고 있다. YMCA의 청소년 대안센터(The center for youth alternatives), 텍사스 코브넌트 하우스(Covenant House Texas)가 여기에 속한다.
② 전환생활프로그램(Transitional living program) 장기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최대 18개월까지의 거주지를 제공하여 독립생활을 위한 준비를 시킨다. 그 외에 우리나라의 그룹홈과 같은 Group Home Care 프로그램이 있다.
③ 거리상담프로그램(Outreach program) 한국에서 현재 실시중인 거리이동상담 과 같은 서비스이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브리지 프로그램(The bridge,Inc.) 이 있다.
또한 서비스 전달의 효율성을 위해 설립된 가출 및 청소년 서비스 전국 네트워크 (National network of Runaway and youth services) 와 국립가출전화(National Runaway Switchboard)는 전국 연결망을 통해 전화상담 등으로 청소년을 가정과
지역사회의 청소년 관련기관에 연결시킴으로써 청소년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2) 영국 가출 청소년 서비스
영국은 16세 이하 청소년의 경우 보호자 없이 독립적인 거주지에 머무는 것이 불가능하고, 16-17세 청소년은 민간단체가 운영하는 쉼터에서 일시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 아동청소년단(Children and young people’s unit) 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가출청소년 예방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민간단체들은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통해 위기의 청소년에게 기본생활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들은 긴급단기보호시설을 운영하여 식, 주를 제공하고 청소년의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장기보호 및 타 장기보호시설로 의뢰한다(우정자 외, 2003).
3) 독일 가출 청소년 대책
독일에서 가출청소년은 민간 청소년 상담실, 보호기관, 청소년청(Jugendamt:youth
Welfare office)과 연락(전화, 인터넷, 내방, 주변의 신고 등)을 통해 보호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민간기관은 시설보호가 필요할 경우 청소년청에 보고하고, 청소년이 청소년청과 직접 연계한 경우 청소년청이 결정하여 관내 보호시설에 보호 조치한다. 또한 독일의 각 주에서는 가출청소년에 대한 대책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교육학적 관점에서 단계별로 행해지고 있다.
① 집약적. 사회 교육적 개별보호프로젝트([ISE]-Projekt) 3개월간의 단기간 사업으로서 집중적으로 청소년문제에 개입하고 소그룹(4-5명의 담당자)이 기존의 지역사회 자원을 보완하거나 연계관계를 체계화 하는 작업을 주도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사회 환경에 적응하도록 자립심을 키워주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②
추천자료
대중매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 해결방안
책을 통해바라본 청소년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
청소년 수면부족의 원인, 실태, 해결방안
최근 청소년 비행이 증가하는 원인 및 해결방안
한국 사회의 청소년 문제와 그 예방 및 해결방안
[사회복지] 새터민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에 대한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
[게임중독] 청소년 인터넷게임중독의 실태와 예방 및 해결방안-게임중독치료, 게임중독대책-
[현대 사회 문제] 청소년 비만의 현황과 문제점 및 비만 해결방안 [A+추천 레포트]
청소년 자살의 원인,실태,해결방안
현대의 아동 청소년 인터넷중독 특성과 해결방안을 서술하시오
게임중독 - 게임중독현황, 게임중독문제점, 대안, 해결방안, 위험성, 청소년게임중독
최근 우리나라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청소년비행의 다양한 사례를 설명하고, 그 해결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