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간의 비교를 통해 보는 성결교단의 사회복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단간의 비교를 통해 보는 성결교단의 사회복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기성의 선교신학과 선교정책, 선교전략
 1)기성의 선교에 대한 입장
 2)기성의 선교정책을 통한 넓은 의미의 선교신학.

제 2장. 성결교단의 사회복지활동 현황
 1. 교회의 사명
 2. 교회의 사회복지활동 참여율
 3. 사회복지 전문가 유무
 4. 유급 사회복지 전문가 필요성
 5. 교회에서 운영‧실시하는 분야별 사회복지시설 및 프로그램
 6.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호응
 7. 사회복지활동 재정 (설문에 응답한 교회 평균)
 8. 교회 개방 여부
 9.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여부
 10. 교회 사회복지활동 활성화 방안
 11.결론

본문내용

었다(표 15참조). 교단별로 교회개방 비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표 15〉 교회 개방 여부 (단위: %, 명)
예장
(통합)
예장
(합동)
기장
감리교
침례교
성결교
구세군
전체

51.6
57.6
81.2
63.8
61.3
54.2
70.6
58.7
아니오
48.4
42.4
18.8
36.2
38.7
45.8
29.4
41.3

(N)
100.0
(91)
100.0
(118)
100.0
(16)
100.0
(69)
100.0
(31)
100.0
(48)
100.0
(17)
100.0
(390)
χ2=7.494, p=0.278
사회복지활동은 교회가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본질적인 책임이며 역할이다. 교회의 사회복지활동은 단순히 구제나 자선을 베푸는 차원을 넘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일차적으로는 교회자체를 주민들에게 개방하여 주민들의 교회 및 사회복지프로그램에의 접근도를 제고해야 할 것이다.
9.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여부
교회에서 주중에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 교회는 21.7%에 불과하였으며, 78.3%가 운영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하였다(표16 참조). 즉, 교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복지활동 프로그램 중 주중에 따로 지역주민만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교회는 적었다. 교회들은 주중에도 주로 교인들을 위주 여러 가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교단별로는 구세군과 감리교가 상대적으로 주중에 주민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성결교와 예장 통합측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표 16〉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여부 (단위: %, 명)
예장
(통합)
예장
(합동)
기장
감리교
침례교
성결교
구세군
전체

11.3
24.3
26.7
35.9
17.2
6.7
43.8
21.7
아니오
88.7
75.7
73.3
64.1
82.8
93.3
56.2
78.3

(N)
100.0
(80)
100.0
(111)
100.0
(15)
100.0
(64)
100.0
(29)
100.0
(45)
100.0
(16)
100.0
(360)
χ2=24.375***, p=.000 *** p < .001
10. 교회 사회복지활동 활성화 방안
교회가 사회복지활동을 보다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교회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목회자의 42.4%가 지적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물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회자의 26.8%가 지적 하였다(표17 참조). 지역사회와의 유대감에 대해서는 17.4%의 목회자가 지적하여 이에 대한 중요성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인적지원은 7.1%에 불과하였으며, 전문인력의 지원은 5.6%로 나타나 인적자원에 대한 요구는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 표 17 〉 교회 사회복지활동 활성화 방안 (단위: %, 명)
예장
(통합)
예장
(합동)
기장
감리교
침례교
성결교
구세군
전체
복지인식과지지
35.1
45.1
58.8
44.2
32.3
50.0
35.3
42.3(168)
지역사회유대감
24.2
12.9
5.9
25.0
12.9
8.3
29.4
17.4(69)
인적지원
5.5
8.9
5.9
4.4
-
12.5
11.8
7.1(28)
전문인력지원
4.4
6.5
11.8
2.9
12.9
4.2
-
5.6(22)
물적지원
29.7
25.8
17.6
23.5
38.7
25.0
23.5
26.8(106)
기타
1.1
0.8
-
-
3.2
-
-
0.8(3)

(N)
100.0
(91)
100.0
(124)
100.0
(17)
100.0
(68)
100.0
(31)
100.0
(48)
100.0
(17)
100.0
(396)
주: 1) 빈도가 5 이하인 셀이 20% 이상이어서 χ2 검증을 하지 않았음.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교회에서 사회복지활동이 활발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교인과 목회자들이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이를 위해 적극적인 뒷받침을 해야 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재정을 비롯한 물질적인 뒷받침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인력 면에서는 사회복지의 필요성에 대한 의식이 제고되면 교인의 자발적인 사회복지활동 참여가 활발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지역사회 주민과 타교회, 복지관련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서 지역주민의 욕구에 맞는 복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1.결론
지금까지 성결교회의 사회복지활동 현황에 대해서 교단별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조사결과 현재 성결교회의 사회복지 참여율은 그다지 활발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회내의 사회복지 전문 인력 없이 사회복지활동이나 자원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있어, 체계적이거나 효율적인 활동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교인들의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관심과 호응도 그다지 높지 않았다. 따라서 교인들에게 사회복지활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리는 작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교인여부와 관계없이 어려운 이웃을 돕는 것이 기독교의 본질적인 사명인 것이다. 하지만 지역주민을 위한 사회복지활동에 있어서 아직까지 교회들은 활발한 편은 아니다. 그리고 교회를 지역주민에 개방함에 있어서도 교회들이 적극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설문에 응답한 목회자들은 사회복지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애로사항으로 재정적인 어려움이 가장 많다고 하였고, 교회의 시설이나 인력의 부족, 교인들의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교회의 재정적인 어려움은 예산배정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업이 다른 사업에 우선순위가 밀려 전체 예산의 10% 이하만을 사용하고 있었다.
사회복지활동을 위한 시설이나 인력부족, 교인들의 무관심은 목회자의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인식제고와 교인들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을 통해서 바뀔 수 있는 사항이라고 본다. 특히 교회는 다른 기관에 비해서 인적, 물적 자원이 갖추어져 있는 기관으로 목회자들은 교회가 보유한 인력과 자원으로 충분히 다양한 사회복지활동을 전개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교회의 사회복지할동 실태
성결교단 100주년과 사회선교와 지역사회선교로 본 복지관(임성규)
각 교단의 선교신학 비교(임성규)
  • 가격1,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9.09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64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