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내조경 1
1-1. 실내조경이란 1
1-2. 공간과 특성 1
1-3. APT 실내조경계획 1
1-4. 실내조경식물 4
1-5. 수목관리 7
1-6. 기능과 효과 7
2. 도로조경 9
2-1. 도로의 식재 9
2-2. 가로수 식재 14
3. 조경조명 17
3-1. 램프의 특성 17
1) 램프 특성파악의 필요성 17
2) 백열, 할로겐 램프(2800~3000K) 17
3) 램프의 장단점 비교 18
3-2. 지중매입등 18
1) 기구선정의 중요성 19
2) 수목투사 방법 19
3-3. 산책로등 19
1) 볼라드 (bollards) 19
3-4. 수증등 20
1) 수중등 (Underwater Lights) 20
2) 분수의 형태에 따른 기구 위치 선정 20
3-5. 광섬유 조명 21
1) 광섬유 조명 (Fiber optics lighting) 21
2) 광섬유의 구성요소 21
3) 조광장치 Lightsource(Generator) 21
3-6. 조경조명의 계획과정과 응용방안 22
1) 조명계획의 과정 22
2) 조경조명의 응용 22
1-1. 실내조경이란 1
1-2. 공간과 특성 1
1-3. APT 실내조경계획 1
1-4. 실내조경식물 4
1-5. 수목관리 7
1-6. 기능과 효과 7
2. 도로조경 9
2-1. 도로의 식재 9
2-2. 가로수 식재 14
3. 조경조명 17
3-1. 램프의 특성 17
1) 램프 특성파악의 필요성 17
2) 백열, 할로겐 램프(2800~3000K) 17
3) 램프의 장단점 비교 18
3-2. 지중매입등 18
1) 기구선정의 중요성 19
2) 수목투사 방법 19
3-3. 산책로등 19
1) 볼라드 (bollards) 19
3-4. 수증등 20
1) 수중등 (Underwater Lights) 20
2) 분수의 형태에 따른 기구 위치 선정 20
3-5. 광섬유 조명 21
1) 광섬유 조명 (Fiber optics lighting) 21
2) 광섬유의 구성요소 21
3) 조광장치 Lightsource(Generator) 21
3-6. 조경조명의 계획과정과 응용방안 22
1) 조명계획의 과정 22
2) 조경조명의 응용 22
본문내용
게소 식재율 : 7 - 10 %
(나) 주차지역 식재율 : 7 - 15 %
(다) 노변식재 : 도로연장 1km 당 한쪽노변에 200그루가 표준
2-2. 가로수 식재
가. 가로수의 구비조건
(1) 일반조건
(가) 수형, 잎의 모양, 잎의 색채 등이 아름다워야 하며, 낙엽수일 경우 신초의 색깔, 여름의 녹음, 가을의 단풍 색깔, 겨울의 채광이 좋아야 한다.
(나)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도 생장력이 왕성하여야 하며 생장속도가 빠르고 재배가 용이하여야 한다.
(다) 매연, 유독가스 등 공해에 강하고 방음, 방진, 방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어야 한다.
(라) 이식하기가 쉽고 강한 전정에 견디며, 광선 부족 및 통기에 견딜 수 있고, 병충해에 강하며 관리가 용이하여야 한다.
(마) 수목의 가지, 수피, 기타 부위에 손상을 입어도 견딜 수 있으며 위생적이어야 한다.
(바) 보행인에 의한 踏壓(답압)의 피해 및 염화칼슘의 해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사) 통행에 장애가 되지 않고 가로수로서의 녹음제공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하며, 수관부와 지하고의 비율이 6 : 4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아) 생리적 조건 이외에도 지역적, 역사적 조건과 향토성을 풍기며 도시민에게 친밀감을 줄 수 있는 수종이어야 한다.
(2) 형태조건
(가) 크기는 적어도 수고 3.5m 이상, 흉고직경 6cm 이상(근원직경 8cm 이상), 지하고 1.8m 이상이어야 한다. (도시중심가 및 특정지역에서는 수고 4m 이상, 흉고직경 10cm 이상, 지하고 2m 이상)
(나) 생김새에 있고 줄기가 곧고 가지가 고루 발달되어야 한다.
(다) 나무별 특유의 모양을 갖추고 어느 방향으로든지 균형이 잡혀 있어야 한다.
(라) 생육상태가 양호하고 활착을 보장할 수 있도록 뿌리분의 크기는 근원직경의 4~6배 이상이어야 한다.
(마) 수피에 대한 손상이 없고 병충해의 피해가 없어야 한다.
(3) 입지조건
(가) 공동구(공용 배수로)나 지하철 또는 지하상가와 같은 지하구조물과 가로수의 생육과의 관계에서 가로수가 서게 될 지점으로부터 양쪽으로 각각 1m 정도는 구조물로 차단되지 않는 상태로 토양이 이어져 있어야 한다.
(나) 가로수의 식재구획물 내부는 일반적으로 토양조건이 극히 불량하여 수분의 삼투는 물론 공기의 유입 상태도 여의치 않아 뿌리의 생육에 장애를 주는 경우 이러한 흙에 대해서는 모래를 섞어주던가 또는 광물성 토양개량제를 쓰는 등 투수성과 통기성을 개선해야 한다.
(다) 구조물이 식재구획물 밑까지 이르고 그 위의 토양층이 1.5m 정도의 깊이밖에 되지 않을 때에는 가로수의 생육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되므로 적어도 2m 이상의 토심이 주어지는 동시에 그 일부는 지하의 자연토양층과 연결되어야 한다.
(라) 식재구획과 보도를 경계짓는 경계석의 높이를 보도면과 동일한 높이로 하여 자연스럽게 빗물이 흙속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활성토양개량제를 흙표면에 뿌려 적어도 표토층을 입단 조직화 시켜 가로수의 생장생육을 원활하게 해준다.
(4) 가로수의 식재기준
(가) 차도로부터의 간격 : 0.65m 이상
(나) 건물로 부터의 거리 : 5 - 7 m
(다) 수간거리 : 6 - 10 m
(라) 가로수는 대지 경계선과 관계없이 일정한 간격으로 심는다.
(마) 특수효과를 위한 가로수를 제외하고는 한 가로변에는 동일수종을 식재한다.
(바) 열간거리 : 수간거리에 준하여 정하며 일반적으로 6m이상으로 한다.
(사) 3열 또는 그 이상의 가로수에서는 서로서로 비껴심어 수관배치를 자연적으로 하여주며 열간거리를 5m 정도 줄여준다.
(아) 자연경관 및 도로보호와 차량통행의 안전을 위하여 커브길, 교통신호등 각종 안내판의 시계를 가리는 장소에서는 식재를 제한할 수 있다.
(자) 식재시기 : 춘계식재(3월 상순 - 5월 상순)를 원칙으로 하나 추계식재(10월 상순 - 11월 하순)도 할 수 있다.
나. 가로수의 식재방법
(1) 식재지 준비
(가) 사질양토 : 토양입자 50%, 수분 25%, 공기 25%의 구성비를 원칙으로 한다.
(나) 객토용 토양은 부식질이 풍부하고 불순물이 혼합되지 않은 양토
(2) 식재목 굴취
(가) 식재목 준비작업
① 굴취 2 - 3일 전에 충분히 관수
② 수관 20 - 30 내외의 가지를 전정
③ 새끼줄이나 끈으로 묶어 운반시 유동되거나 끌리지 않게 한다.
④ 남북의 방향을 리본으로 표시하여 식재시 방향 유도를 용이하게 한다.
(나) 분뜨기
① 분을 가장 작은 크기로 가장 많은 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원칙으로 수종 토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정한다.
② 분의 지름은 근원경의 5~6배로 한다.
③ 분의 깊이는 측근의 발생밀도가 현저히 줄어든 부위까지 하되 뿌리의 발생상태를 감안하여 조절
(다) 작업
① 수직으로 파내려가면서 분의 외부로 돌출되는 뿌리는 분보다 조금 길게 톱으로 자른 다음 칼로 절단면을 잘 다듬고 새끼로 단단히 수평으로 둥글게 감아내려 간다.
② 새끼감기가 끝나면 일부분을 ▽모양으로 파들어가 주근을 자르고 나무를 눕힌 다음 아래위로 새끼를 감는다.
(3) 식재목 운반
(가) 운반 중분이 깨어지지 않도록 가마니, 자루 등으로 보토를 철저히 해 준다.
(나) 운반시 충격으로 세근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충격을 최소한으로 하고 가마니, 짚 등을 깔아준다.
(다) 식재목을 고정시켜 흔들림을 방지하고 접촉부위에는 짚가마니 등의 완충재를 끼워준다.
(라) 2중 적재를 금한다.
(마) 운반도중 바람이나 햇볕에 의한 수분증발을 막고, 강우시분의 토양유실을 막을 수 있도록 천막을 치거나 덮어준다.
(4) 식재
(가) 식재구덩이
① 미리 식재목에 알맞는 식재구덩이를 만들어 놓는다.
② 크기는 분의 1.5배 이상으로 하고 척박한 곳은 비옥한 곳보다 크게 한다.
③ 구덩이 바닥에는 상토 또는 잘 부숙된 유기물을 넣고 토양소독제로 소독해 준다.
(나) 수목 앉히기
① 식재목이 굴취전에 묻혔던 부위와 같은 높이로 구덩이에 넣는다.
② 이식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되 위치조건을 고려하여 생육이 부진한 쪽을 남향으로 한다.
③ 분이 완전히 고정되면 분을
(나) 주차지역 식재율 : 7 - 15 %
(다) 노변식재 : 도로연장 1km 당 한쪽노변에 200그루가 표준
2-2. 가로수 식재
가. 가로수의 구비조건
(1) 일반조건
(가) 수형, 잎의 모양, 잎의 색채 등이 아름다워야 하며, 낙엽수일 경우 신초의 색깔, 여름의 녹음, 가을의 단풍 색깔, 겨울의 채광이 좋아야 한다.
(나)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도 생장력이 왕성하여야 하며 생장속도가 빠르고 재배가 용이하여야 한다.
(다) 매연, 유독가스 등 공해에 강하고 방음, 방진, 방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어야 한다.
(라) 이식하기가 쉽고 강한 전정에 견디며, 광선 부족 및 통기에 견딜 수 있고, 병충해에 강하며 관리가 용이하여야 한다.
(마) 수목의 가지, 수피, 기타 부위에 손상을 입어도 견딜 수 있으며 위생적이어야 한다.
(바) 보행인에 의한 踏壓(답압)의 피해 및 염화칼슘의 해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사) 통행에 장애가 되지 않고 가로수로서의 녹음제공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하며, 수관부와 지하고의 비율이 6 : 4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아) 생리적 조건 이외에도 지역적, 역사적 조건과 향토성을 풍기며 도시민에게 친밀감을 줄 수 있는 수종이어야 한다.
(2) 형태조건
(가) 크기는 적어도 수고 3.5m 이상, 흉고직경 6cm 이상(근원직경 8cm 이상), 지하고 1.8m 이상이어야 한다. (도시중심가 및 특정지역에서는 수고 4m 이상, 흉고직경 10cm 이상, 지하고 2m 이상)
(나) 생김새에 있고 줄기가 곧고 가지가 고루 발달되어야 한다.
(다) 나무별 특유의 모양을 갖추고 어느 방향으로든지 균형이 잡혀 있어야 한다.
(라) 생육상태가 양호하고 활착을 보장할 수 있도록 뿌리분의 크기는 근원직경의 4~6배 이상이어야 한다.
(마) 수피에 대한 손상이 없고 병충해의 피해가 없어야 한다.
(3) 입지조건
(가) 공동구(공용 배수로)나 지하철 또는 지하상가와 같은 지하구조물과 가로수의 생육과의 관계에서 가로수가 서게 될 지점으로부터 양쪽으로 각각 1m 정도는 구조물로 차단되지 않는 상태로 토양이 이어져 있어야 한다.
(나) 가로수의 식재구획물 내부는 일반적으로 토양조건이 극히 불량하여 수분의 삼투는 물론 공기의 유입 상태도 여의치 않아 뿌리의 생육에 장애를 주는 경우 이러한 흙에 대해서는 모래를 섞어주던가 또는 광물성 토양개량제를 쓰는 등 투수성과 통기성을 개선해야 한다.
(다) 구조물이 식재구획물 밑까지 이르고 그 위의 토양층이 1.5m 정도의 깊이밖에 되지 않을 때에는 가로수의 생육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되므로 적어도 2m 이상의 토심이 주어지는 동시에 그 일부는 지하의 자연토양층과 연결되어야 한다.
(라) 식재구획과 보도를 경계짓는 경계석의 높이를 보도면과 동일한 높이로 하여 자연스럽게 빗물이 흙속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활성토양개량제를 흙표면에 뿌려 적어도 표토층을 입단 조직화 시켜 가로수의 생장생육을 원활하게 해준다.
(4) 가로수의 식재기준
(가) 차도로부터의 간격 : 0.65m 이상
(나) 건물로 부터의 거리 : 5 - 7 m
(다) 수간거리 : 6 - 10 m
(라) 가로수는 대지 경계선과 관계없이 일정한 간격으로 심는다.
(마) 특수효과를 위한 가로수를 제외하고는 한 가로변에는 동일수종을 식재한다.
(바) 열간거리 : 수간거리에 준하여 정하며 일반적으로 6m이상으로 한다.
(사) 3열 또는 그 이상의 가로수에서는 서로서로 비껴심어 수관배치를 자연적으로 하여주며 열간거리를 5m 정도 줄여준다.
(아) 자연경관 및 도로보호와 차량통행의 안전을 위하여 커브길, 교통신호등 각종 안내판의 시계를 가리는 장소에서는 식재를 제한할 수 있다.
(자) 식재시기 : 춘계식재(3월 상순 - 5월 상순)를 원칙으로 하나 추계식재(10월 상순 - 11월 하순)도 할 수 있다.
나. 가로수의 식재방법
(1) 식재지 준비
(가) 사질양토 : 토양입자 50%, 수분 25%, 공기 25%의 구성비를 원칙으로 한다.
(나) 객토용 토양은 부식질이 풍부하고 불순물이 혼합되지 않은 양토
(2) 식재목 굴취
(가) 식재목 준비작업
① 굴취 2 - 3일 전에 충분히 관수
② 수관 20 - 30 내외의 가지를 전정
③ 새끼줄이나 끈으로 묶어 운반시 유동되거나 끌리지 않게 한다.
④ 남북의 방향을 리본으로 표시하여 식재시 방향 유도를 용이하게 한다.
(나) 분뜨기
① 분을 가장 작은 크기로 가장 많은 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원칙으로 수종 토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정한다.
② 분의 지름은 근원경의 5~6배로 한다.
③ 분의 깊이는 측근의 발생밀도가 현저히 줄어든 부위까지 하되 뿌리의 발생상태를 감안하여 조절
(다) 작업
① 수직으로 파내려가면서 분의 외부로 돌출되는 뿌리는 분보다 조금 길게 톱으로 자른 다음 칼로 절단면을 잘 다듬고 새끼로 단단히 수평으로 둥글게 감아내려 간다.
② 새끼감기가 끝나면 일부분을 ▽모양으로 파들어가 주근을 자르고 나무를 눕힌 다음 아래위로 새끼를 감는다.
(3) 식재목 운반
(가) 운반 중분이 깨어지지 않도록 가마니, 자루 등으로 보토를 철저히 해 준다.
(나) 운반시 충격으로 세근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충격을 최소한으로 하고 가마니, 짚 등을 깔아준다.
(다) 식재목을 고정시켜 흔들림을 방지하고 접촉부위에는 짚가마니 등의 완충재를 끼워준다.
(라) 2중 적재를 금한다.
(마) 운반도중 바람이나 햇볕에 의한 수분증발을 막고, 강우시분의 토양유실을 막을 수 있도록 천막을 치거나 덮어준다.
(4) 식재
(가) 식재구덩이
① 미리 식재목에 알맞는 식재구덩이를 만들어 놓는다.
② 크기는 분의 1.5배 이상으로 하고 척박한 곳은 비옥한 곳보다 크게 한다.
③ 구덩이 바닥에는 상토 또는 잘 부숙된 유기물을 넣고 토양소독제로 소독해 준다.
(나) 수목 앉히기
① 식재목이 굴취전에 묻혔던 부위와 같은 높이로 구덩이에 넣는다.
② 이식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되 위치조건을 고려하여 생육이 부진한 쪽을 남향으로 한다.
③ 분이 완전히 고정되면 분을
추천자료
[정원론]- 한국(창경궁), 일본(계리궁), 중국(이화원) 의 궁궐조경
[서양조경사]-「서구 문화사-메소포타미아-」를 보고...
아트리움과 실내정원에 관한 보고서
식물을 이용한 실내디자인
승양탕 화울탕 승양제습탕 승양조습탕 승양조경탕 승양거경탕 익위승양탕 승양화중탕 보원탕
조경관련답사-선유도공원
이건산업
실내공간 디자인의 이해
생물공학기술자(생물공학기술자의 특성, 자격)와 실내건축기술자(실내건축기술자의 특성, 자...
[실내정원][실내정원 정의][실내정원 역사][정원 연출][실내정원 연출법][가정원예][생활원예...
[연출][실내정원연출][이미지연출][의상연출][판매연출][실내정원][정원][이미지][의상][판매...
조경 수목학
인근 공원 조사 및 시설물 조사하기(조경,도시공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