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어생활의 규범 <초등학교 미술교과서로 본 외래어 표기법>
1. 외래어와 외래어 표기법의 소개
2. 외래어 표기법의 구성
3.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4.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잘못된 외래어 사용의 현황
5. 결론
1. 외래어와 외래어 표기법의 소개
2. 외래어 표기법의 구성
3.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4.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잘못된 외래어 사용의 현황
5. 결론
본문내용
국어생활의 규범 <초등학교 미술교과서로 본 외래어 표기법>
1. 외래어와 외래어 표기법의 소개
가. 외래어의 사전적 정의 : 국어 생활 속에 널리 사용되고, 또 바꾸어 쓸 수 있는 적당한 어휘가 없는 경우만을 외래어로 규정한다.(교과서, 사전 정의) 외국에서 들어 온 말로, 국어처럼 쓰이는 말.
나. 외국어 : 모국어와 대립하는 다른 나라의 언어를 가리킴.
다. 외국어와 외래어의 판단의 어려움
: \'국어의 일부로 받아들여진 말\'이라는 정의의 개념이 모호하고, 그 판단의 기준이 분 명치 않다. 외국어가 국어에 완전히 동화되어 받아들여진 말들만을 가리킨다면 외래어 표기나 순화를 둘러싼 수많은 논쟁들은 사실상 불필요 한 것이다. 그러므로 실제 외래어 라는 말을 사용할 때에는 사전적인 정의와는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대상을 명확히 하지 않는 외래어 표기법의 태도가 결국 외국어 발음과의 차이를 문제 삼는 논쟁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라. 최초의 외래어 사전 : 1937년 이종극의 모던조선외래어사전 13,000여 표제어 수록
마. 전문가들의 외래어에 대한 정의
①1973년 김민수의 외래어의 정의
②1986년 독일의 폴란트(외래어와 차용어를 구분함)
③1997년 임홍빈(국어화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
바. 정리
-귀화어 : 일반인들에게 외국어에서 온 말이라는 의식이 없이 고유어와 똑같이 취급되는 말
-외래어 : 일반인들이 외래 어휘임을 인시하는 나머지 낱말들
-차용어 : 동화 과정이 완료되어 국어의 어휘 체계 속에 확고한 지위를 차지하게 된 말
-> 일반 차용어는 국어사전 표제어로 실리게 된다.
사. 외래어 표기법 : 외래어를 한국 자모로 표기하는 방법.
외래어 표기법은 외래어를 한글로 적는 방식을 정해 놓은 규칙이다. 우리말을 적을 때에 ‘한글 맞춤법’에 따라 표기하듯이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항상 일정하게 적어야 한다. 외래어는 다른 나라 말에서 비롯한 것이므로 말소리가 우리말과는 상당히 다르다. 그런 말들을 일정한 규칙 없이 제각각 적도록 놓아둔다면 언어생활이 혼란해질 것이다. 거리의 간판을 조금만 주의 깊게 살펴보면 우리가 외래어 표기에 얼마나 많은 혼란을 겪 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퍼마켓’은 ‘슈퍼마켓, *수퍼마켓, *슈퍼마킷, *수퍼마킷, *슈퍼마귑, *수퍼마 귑, *슈퍼마든, *수퍼마든’ 등 다양한 표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초콜릿’도 ‘*초컬릿, *초 콜렛, *쵸코렛, *쪼코?’ 등 매우 여러 가지 어형이 쓰이고 있다. 고유 명사의 경우도 예 외는 아니어서 ‘New York’에 대한 표기는 ‘뉴욕, *뉴우요오크, *뉴우욕, *뉴요크, *뉴
1. 외래어와 외래어 표기법의 소개
가. 외래어의 사전적 정의 : 국어 생활 속에 널리 사용되고, 또 바꾸어 쓸 수 있는 적당한 어휘가 없는 경우만을 외래어로 규정한다.(교과서, 사전 정의) 외국에서 들어 온 말로, 국어처럼 쓰이는 말.
나. 외국어 : 모국어와 대립하는 다른 나라의 언어를 가리킴.
다. 외국어와 외래어의 판단의 어려움
: \'국어의 일부로 받아들여진 말\'이라는 정의의 개념이 모호하고, 그 판단의 기준이 분 명치 않다. 외국어가 국어에 완전히 동화되어 받아들여진 말들만을 가리킨다면 외래어 표기나 순화를 둘러싼 수많은 논쟁들은 사실상 불필요 한 것이다. 그러므로 실제 외래어 라는 말을 사용할 때에는 사전적인 정의와는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대상을 명확히 하지 않는 외래어 표기법의 태도가 결국 외국어 발음과의 차이를 문제 삼는 논쟁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라. 최초의 외래어 사전 : 1937년 이종극의 모던조선외래어사전 13,000여 표제어 수록
마. 전문가들의 외래어에 대한 정의
①1973년 김민수의 외래어의 정의
②1986년 독일의 폴란트(외래어와 차용어를 구분함)
③1997년 임홍빈(국어화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
바. 정리
-귀화어 : 일반인들에게 외국어에서 온 말이라는 의식이 없이 고유어와 똑같이 취급되는 말
-외래어 : 일반인들이 외래 어휘임을 인시하는 나머지 낱말들
-차용어 : 동화 과정이 완료되어 국어의 어휘 체계 속에 확고한 지위를 차지하게 된 말
-> 일반 차용어는 국어사전 표제어로 실리게 된다.
사. 외래어 표기법 : 외래어를 한국 자모로 표기하는 방법.
외래어 표기법은 외래어를 한글로 적는 방식을 정해 놓은 규칙이다. 우리말을 적을 때에 ‘한글 맞춤법’에 따라 표기하듯이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항상 일정하게 적어야 한다. 외래어는 다른 나라 말에서 비롯한 것이므로 말소리가 우리말과는 상당히 다르다. 그런 말들을 일정한 규칙 없이 제각각 적도록 놓아둔다면 언어생활이 혼란해질 것이다. 거리의 간판을 조금만 주의 깊게 살펴보면 우리가 외래어 표기에 얼마나 많은 혼란을 겪 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퍼마켓’은 ‘슈퍼마켓, *수퍼마켓, *슈퍼마킷, *수퍼마킷, *슈퍼마귑, *수퍼마 귑, *슈퍼마든, *수퍼마든’ 등 다양한 표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초콜릿’도 ‘*초컬릿, *초 콜렛, *쵸코렛, *쪼코?’ 등 매우 여러 가지 어형이 쓰이고 있다. 고유 명사의 경우도 예 외는 아니어서 ‘New York’에 대한 표기는 ‘뉴욕, *뉴우요오크, *뉴우욕, *뉴요크, *뉴
키워드
추천자료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차시별 지도,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말하기지도와 듣기...
초등학교영어과(초등영어교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영어과(초등영어교육)의 배경, 초등학...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지도방향,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초등학...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교과용도서활용과 발문활용,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계산...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접근방법과 기본방향,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내용, 초등...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가치와 다양성,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운영방침,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지...
초등학교영어과교육(초등영어)의 특징과 목표, 초등학교영어과교육(초등영어)의 개정중점, 초...
초등학교 자연과학습(교육, 수업)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자연과학습(교육, 수업)의 교육과...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일반적 특성과 목표,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언어사용능력...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이론,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내용체계, 초등학교 수학과...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표,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지침,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지향점, 초등학...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목표와 기본 방향,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주요 내용, 초등학교 통일교육...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특징,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목적,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기본 방향, 초등...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목적,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실태, 초등학교 통일교육과 범교과적교육,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