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행사_완성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행사_완성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노년기
2.노년기의 특성
3.노년기 특성으로 인한 문제
4.임종과 죽음
5.사회복지실천과 연관성

본문내용

있어 줄 사 람을 필요로 한다.
5단계-수용
이제 죽음을 완전히 받아들이면서 남겨진 자까지
생각할만큼 안정과 앞날의 소망까지 갖는 단계.
우리가 해야 할 일▶ 임종노인이 일종의 평안과 수용의 단계로 들어감에 따라 그의 관 심의 세계는 점점 좁아진다. 그로 인해 노인은 혼자 있고 싶어 하고 때로는 문병객을 달가와하지 않으며, 사람이 방문을 해 이 야기를 나눌 기분이 아닐 때가 많다. 의사 소통은 언어보다도 무언의 대화로 바뀐다. 임종하는 사람을 앞에 두고도 침착할 줄 아는 사람에게는 이 침묵의 순간이야말로 가장 뜻깊은 의사 소통 이 이루어지는 순간이기도 하다. 이 시기는 노인 못지 않게 가 족이 도움과 이해와 격려를 필요로 한다. \"나는 지금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하는 물음에 실제적인 노인의 임종준비에 대해 알려 주고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받아들여야 하는 가족의 상실감을 포용해 주어야 한다.
3)호스피스의 개념과 정의
(1)호스피스
호스피스는 라틴어의 ‘손님’이나 ‘손님을 맞이하는 장소’라는 용어에서 온 것으로 주인 과 손님이 서로 돌보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에 와서 호스피스는 “죽음을 앞둔 말기 환 자가 여생을 평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환자와 그의 가족을 총체적으로 돕는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호스피스는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측면에서 이들 어르신과 가족을 돕 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임종을 맞이한 어르신을 돌보는 가족은 신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지지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호스피스 활동가는 가족과 함께 장 례를 위해 계획을 세워야 하고, 임종이 끝나고 장례식을 치르는 중에 가족을 위해 그 간 사용했던 물품 정리, 가족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활동한다.
4)안락사의 개념과 정의
(1)안락사
안락사란 선량하고 자비로운 동기에서 사람을 죽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불치의 병으 로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들과 이들의 가족에게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고의로 유도하 는 죽음을 일컫는다. 그러므로 안락사는 노년기의 어르신들뿐만 아니라 생애의 여러 단계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안락사는 법에 의해 가부가 결정된다. 네덜란드와 미국에 서는 안락사 법을 공식 입법화해 시행하고 있으며, 최초로 시행했던 호주의 노던 테리 토리는 1997년에 안락사 법을 폐지하였다. 여러 나라에서는 안락사에 대한 찬반노쟁 이 뜨겁게 일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논쟁이 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불법으로 안락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과 불치의 병으로 고생하는 환 자를 수발하는 가족들이 대체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고 있다는 사실을 깊이 생각할 필요가 있다.
안락사문제에 대한 동영상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view.html?cateid=1046&newsid=20081211210015300&p=sbsi
퀴블러 로스의 죽음 5단계
http://blog.daum.net/nambu-silver/4981842
노인요양시설에서 무방비로 입소노인의 사망, 식자재비 부정 등 몇몇 요양시설에서 발생한 불미스러운 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기도 했다. 그래서 노인요양시설에 KS인증을 도입!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view.html?cateid=1041&newsid=20101104190122587&p=mbn
아무도 모르는 쓸쓸한 죽음‥노인들의 \'고독사\'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10711222713701&p=imbc
노인성 우울증 극복방법 9계명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37271497
5.사회복지실천과 연관성
1)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련하여
어르신들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을 심리상담을 비롯해 의료, 보건, 여가, 소득과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사회복지사가 주도하고 있다.
사회복지사는 어르신들의 생활 형태를 충분히 반영하여 이들이 욕구나 문제를 중심으로 다야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한 가지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측면에서 효과적인 경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2) 개입방법에 관련하여
어르신들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은 노인복지 분야로 세분하여 이뤄질 뿐만 아니라 장애. 범죄처럼 다른 분야와도 밀접한 관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주거시설인 양로원, 노인의료시설인 요양원과 노인 전문병원, 노인복지(회)관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현장을 크게 이용시설과 생활 시설로 구분되고 특성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개입방법이 다르다. 이용시설은 거동에 불편이 없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심리 사회적 서비스, 생활시설에서는 질병치료에 중점을 둔다.
(1)어르신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최근에는 어르신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이 강조되고 있다.
단순한 오락이나 소일거리가 아닌 취미생활, 체육활동, 건강관리와 같은 성장 발달 욕구
를 충족시키는 미래지향적 프로그램이 정기적으로 이루어 져야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ㄱ.대표적 프로그램
언어교육 프로그램
한글 초급*중급. 일본어 초급*중급*회화.
영어 초급*중급*회화
정보화교육 프로그램
컴퓨터 초급*중급*고급*전문. 휴대폰 활용.
취미*여가 프로그램
서예, 요가, 노래교실, 댄스스포츠, 한국무용, 사물놀이.
실버대학
노래교실, 생활체조, 가을나들이.
여가 동아리
당구, 탁구, 바둑, 장기.
3)정책에 관련하여
어르신들을 위한 정책은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다.
(1)복지향상과 관련하고 있는 정책
노인복지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중앙정부가 관리-구체적 사업실시는 각급 지방정부가 관여
의료급여법
이렇듯 어르신들을 위한 책임소재가 정부의 부처 간이나 각급 정부 간 불분명한 경우가 많고, 어르신 관련 사업들이 원활하게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 같은 복잡한 상황을 위해 사회복지사는 어르신들을 위한 효율적인 개입을 모색해야하고, 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어르신들을 위해 사회복지서비스의 절대 부족과 도시와 농촌의 불균형 상황에 대응해 정책발전에 기여해야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9.28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