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정선이 정의 내리기 어렵다고 한다. 그래서 그러기 위해 학습 동기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Ⅷ. 결론 및 시사점
학습 동기의 시사점으로는,
가. 학습 동기는 학습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나. 학습 동기는 학습이 도달할 수 없는 한계를 정해준다.
다. 학습 동기가 강하면 학습오류를 감소시킨다.
참고문헌
◎ 강둘래, 과정지향·결과지향 학습 동기유발 방법이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6
◎ 이은주, 초등학생들의 학습 동기의 변화. 초등교육연구, 2000
◎ 전성연·최병연, 학습 동기, 서울 : 학지사, 1999
◎ 정종진, 학교학습과 동기, 배영사, 1989
◎ 최정원, 학습 동기 향상 전략, 학지사, 2006
◎ Teresa M Amabile, 전경원 역, 창의성과 동기유발, 서울 : 창지사, 1998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특성
교육은 학생의 능력, 소질, 발달단계를 살피고 내부적 동기 유발을 중시하는 자성에 기초한 교육과 교육환경 정화, 교육환경 조성, 학습도시 건설 등의 응성에 기초한 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고 배웠다. 나는 이 중 자성에 기초한 교육에서 내부적 동기 유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했다.
“동기라는 것은 행동의 각성, 강도, 방향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기의 높고 낮음에 따라 그 행동을 얼마 만큼에 강도로 행하느냐가 결정된다. 이러한 효과는 학생이 학습하고자 하는 내부적 동기에서도 나타난다.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은 학습활동에 잘 몰입하여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학습활동에서 기쁨을 느끼고 학습에 따른 결과에 성취감을 느낀다. 반면 학습동기가 낮은 학생은 학습활동에 수동적으로 임하며 학습활동에서 재미를 느끼지 못하고 이를 회피하고자 한다. 이 때문에 학생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의 학습에 대한 내부적 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나는 그 중에서 교사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겠다.
우선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려면 교사는 스스로 자신이 가르치는 내용에 흥미를 가지고 이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또한 건성으로가 아닌 열정을 가지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권대훈,『교육심리한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p.355
“아무리 학습 주제 자체가 흥미롭고 중요한 것이라 하더라도 교사가 가르치는 것에 흥미를 갖지 않고 건성으로 가르친다면 학생들의 학습동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처럼 교사의 태도에 따라 학생의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고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항상 자신의 태도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하며 열정과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에게 학습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교사는 학생의 흥미를 알고 수업시간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것은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향상시켜주고 수업집중도를 높여줄 뿐 아니라 수동적이 아닌 능동적인 학습자세를 갖게 해준다. 학생의 흥미를 알기 위한 방법으로는 직접적으로 설문지를 통한 것과 간접적인 방법으로는 학생이 자유시간을 어떻게 보내는 지를 관찰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학생에 대한 기대 정도도 학생의 학습동기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 3) 다음 피그말리온 검색, http://blog.daum.net/whatayun
“심리학자들에 의하면 아이들에게 ‘도둑놈’이라고 자주 말하면 남에 물건을 훔치는 일을 하게 되고 ‘멍청한 놈’이라고 부르면 실제로 멍청이가 된다고 한다. 그러나 조금한 일에도 칭찬을 해주면 또 칭찬을 받고 싶어서라고 칭찬 받는 행동을 찾아서 한다고 한다.” 이렇게 다음 백과사전에서 피그말리온 검색.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10XX180009
“무언가에 대한 사람의 믿음, 기대, 예측이 실제적으로 일어나는 경향을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한다.” 이러한 피그말리온 효과는 교육에서 역시 발생한다. 교사가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높을 것을 기대하면 학생의 학업동기가 향상하여 학업성취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 단적인 예로는 1968년 하버드대학교 사회심리학과 교수인 로버트 로젠탈과 미국에서 20년 이상 초등학교 교장을 지낸 레노어 제이콥슨의 실험을 들 수 있다. 다음 피그말리온의 예 검색.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2el71&q=pygmalion
“이들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한 초등학교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지능검사를 한 후 검사 결과와 상관없이 무작위로 한 반에서 20% 정도의 학생을 뽑았다. 그 학생들의 명단을 교사에게 주면서 \'지적 능력이나 학업성취의 향상 가능성이 높은 학생들\'이라고 믿게 하였다. 8개월 후 이전과 같은 지능검사를 다시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명단에 속한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왔다. 뿐만 아니라 학교 성적도 크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은 명단에 오른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기대와 격려가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교사가 학생에게 기대를 가지면 무의식 중 다양한 행동으로 이를 표출하게 될 것이며, 이것을 통해 학생은 교사의 기대를 알아차리고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학습동기가 향상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는 교사의 기대가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높인 것이라고 본다.
위와 같은 조사를 하면서 교사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교사의 역할로 인해 학생의 학습동기가 높아질 수도 있고 낮아질 수도 있었다. 이것을 크게 보면 교사가 학생을 대하는 태도에 따라 그 학생이 사회에 기여하는 우수한 인재로 성장할 수도 있고 사회에 해를 끼치는 범죄자로 성장할 수도 있었다. 이러한 것 때문에 교사라는 직업은 책임감도 크지만 그에 따른 자부심도 큰 직업이라는 것을 느꼈고 내가 교사가 되어서도 이러한 것들을 잊지 말고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가장 높게 끌어올려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고 다시 한번 다짐했다.
Ⅷ. 결론 및 시사점
학습 동기의 시사점으로는,
가. 학습 동기는 학습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나. 학습 동기는 학습이 도달할 수 없는 한계를 정해준다.
다. 학습 동기가 강하면 학습오류를 감소시킨다.
참고문헌
◎ 강둘래, 과정지향·결과지향 학습 동기유발 방법이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6
◎ 이은주, 초등학생들의 학습 동기의 변화. 초등교육연구, 2000
◎ 전성연·최병연, 학습 동기, 서울 : 학지사, 1999
◎ 정종진, 학교학습과 동기, 배영사, 1989
◎ 최정원, 학습 동기 향상 전략, 학지사, 2006
◎ Teresa M Amabile, 전경원 역, 창의성과 동기유발, 서울 : 창지사, 1998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특성
교육은 학생의 능력, 소질, 발달단계를 살피고 내부적 동기 유발을 중시하는 자성에 기초한 교육과 교육환경 정화, 교육환경 조성, 학습도시 건설 등의 응성에 기초한 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고 배웠다. 나는 이 중 자성에 기초한 교육에서 내부적 동기 유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했다.
“동기라는 것은 행동의 각성, 강도, 방향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기의 높고 낮음에 따라 그 행동을 얼마 만큼에 강도로 행하느냐가 결정된다. 이러한 효과는 학생이 학습하고자 하는 내부적 동기에서도 나타난다.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은 학습활동에 잘 몰입하여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학습활동에서 기쁨을 느끼고 학습에 따른 결과에 성취감을 느낀다. 반면 학습동기가 낮은 학생은 학습활동에 수동적으로 임하며 학습활동에서 재미를 느끼지 못하고 이를 회피하고자 한다. 이 때문에 학생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의 학습에 대한 내부적 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나는 그 중에서 교사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겠다.
우선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려면 교사는 스스로 자신이 가르치는 내용에 흥미를 가지고 이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또한 건성으로가 아닌 열정을 가지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권대훈,『교육심리한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p.355
“아무리 학습 주제 자체가 흥미롭고 중요한 것이라 하더라도 교사가 가르치는 것에 흥미를 갖지 않고 건성으로 가르친다면 학생들의 학습동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처럼 교사의 태도에 따라 학생의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고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항상 자신의 태도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하며 열정과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에게 학습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교사는 학생의 흥미를 알고 수업시간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것은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향상시켜주고 수업집중도를 높여줄 뿐 아니라 수동적이 아닌 능동적인 학습자세를 갖게 해준다. 학생의 흥미를 알기 위한 방법으로는 직접적으로 설문지를 통한 것과 간접적인 방법으로는 학생이 자유시간을 어떻게 보내는 지를 관찰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학생에 대한 기대 정도도 학생의 학습동기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 3) 다음 피그말리온 검색, http://blog.daum.net/whatayun
“심리학자들에 의하면 아이들에게 ‘도둑놈’이라고 자주 말하면 남에 물건을 훔치는 일을 하게 되고 ‘멍청한 놈’이라고 부르면 실제로 멍청이가 된다고 한다. 그러나 조금한 일에도 칭찬을 해주면 또 칭찬을 받고 싶어서라고 칭찬 받는 행동을 찾아서 한다고 한다.” 이렇게 다음 백과사전에서 피그말리온 검색.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10XX180009
“무언가에 대한 사람의 믿음, 기대, 예측이 실제적으로 일어나는 경향을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한다.” 이러한 피그말리온 효과는 교육에서 역시 발생한다. 교사가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높을 것을 기대하면 학생의 학업동기가 향상하여 학업성취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 단적인 예로는 1968년 하버드대학교 사회심리학과 교수인 로버트 로젠탈과 미국에서 20년 이상 초등학교 교장을 지낸 레노어 제이콥슨의 실험을 들 수 있다. 다음 피그말리온의 예 검색.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2el71&q=pygmalion
“이들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한 초등학교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지능검사를 한 후 검사 결과와 상관없이 무작위로 한 반에서 20% 정도의 학생을 뽑았다. 그 학생들의 명단을 교사에게 주면서 \'지적 능력이나 학업성취의 향상 가능성이 높은 학생들\'이라고 믿게 하였다. 8개월 후 이전과 같은 지능검사를 다시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명단에 속한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왔다. 뿐만 아니라 학교 성적도 크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은 명단에 오른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기대와 격려가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교사가 학생에게 기대를 가지면 무의식 중 다양한 행동으로 이를 표출하게 될 것이며, 이것을 통해 학생은 교사의 기대를 알아차리고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학습동기가 향상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는 교사의 기대가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높인 것이라고 본다.
위와 같은 조사를 하면서 교사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교사의 역할로 인해 학생의 학습동기가 높아질 수도 있고 낮아질 수도 있었다. 이것을 크게 보면 교사가 학생을 대하는 태도에 따라 그 학생이 사회에 기여하는 우수한 인재로 성장할 수도 있고 사회에 해를 끼치는 범죄자로 성장할 수도 있었다. 이러한 것 때문에 교사라는 직업은 책임감도 크지만 그에 따른 자부심도 큰 직업이라는 것을 느꼈고 내가 교사가 되어서도 이러한 것들을 잊지 말고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가장 높게 끌어올려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고 다시 한번 다짐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