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동성애에 관한 지식
⑴동성애란
⑵동성애와 관련된 용어
⑶동성애의 원인
⑷옛역사에서 살펴 본 동성애
⑸동성애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현재의 추세
⑹동성애 인권운동의 역사
⑺권리단체
⑻정신의학계의 입장의 변화
2.동성애 옹호론
⑴킨제이 레포트
⑵동성애와 에이즈
⑶부정적인 견해들
⑷우리 주변의 동성애
⑸동성애자들이 겪는 고통
⑴동성애란
⑵동성애와 관련된 용어
⑶동성애의 원인
⑷옛역사에서 살펴 본 동성애
⑸동성애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현재의 추세
⑹동성애 인권운동의 역사
⑺권리단체
⑻정신의학계의 입장의 변화
2.동성애 옹호론
⑴킨제이 레포트
⑵동성애와 에이즈
⑶부정적인 견해들
⑷우리 주변의 동성애
⑸동성애자들이 겪는 고통
본문내용
동성애 공포증이란 동성애나 동성애자에 대한 비이성적인 막연한 두려움, 억압, 그리고 혐오를 가지고 대하는 것을 말한다. 정확한 정보나 지식없이 막연하게 동성애는 나쁜 것이고, 질병이고 전염병, 정신병이다라는 생각, 또는 그런 생각을 가지고 동성애자를 대하는 것을 동성애 공포증, 호모 포비아라고 한다.
⑶동성애의 원인
동성애의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는 예전부터 있어왔다.그러나 아직까지 확실하게 맞다고 정립된 의견은 없다.더우기 1990년대 이후에는 동성애의 원인을 규명하려는 연구보다는 서로 다른 성적 지향의 소유자들의 행동이 왜 다른가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대체적으로 정립된 이론으로는 동성애를 후천적인 요인으로 설명하려는 정신분석학적 모델과 학습이론 , 선천적인 요인으로 설명하려는 생물학적 차원의 이론이 있다.
정신 분석학적 원인:프로이트의 견해로부터 출발한 이론이다.정신분석학을 성립시킨 프로이트는 그 이전의 동성애적 행위가 죄악으로 터부시되거나 정신질환으로 취급받는 것과는 달리, 일단 동성애가 정신질환보다는 인간의 성적 발달과정에서 어떤 정신적 외상으로 성적 기능이 변한 것이라 점을 강조했다.프로이트는 인간은 원래 양성적 존재로 태어나는데, 동성애자들은 자라는 도중 부모와의 갈등과 가족의 상호작용이 잘못되어 동성애적 성향에 고착된다고 보았다.어린 아동들은 외디푸스 콤플렉스에 의한 아버지로부터의 거세공포를 겪게 되는데 이때,상대적으로 아버지의 존재가 약하게 생각된다면,아버지에 대한 두려움이 별로 없기 때문에 어머니와 가깝게 지내게 된다.그러면서 애착의 정도가 깊어지면 나중에는 자신과 어머니를 동일시 하게 된다.이로인해 어머니처럼 남성을 성적인 상대로 생각하게 되고,이로인한 만족을 추구하게 되면서 동성애자가 된다는 것이다.
(cf:외디푸스 콤플렉스:자신이 어머니를 사모한 것을 아버지가 알게 되고 이에 대한 보복으 로 아버지가 혹시 자신의 남근을 잘라버릴지 모른다는 두려움이다.어린 아동들은 누구 나 그런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고 프로이트는 주장했다.)
그러나 프로이트 이후의 정신분석가들은 이와 정반대의 해석을 하고 있다.프로이트가 게이 남성이 여자를 상대하지 않는 것이 아버지의 처벌을 두려워해서라면 다른 정신분석학자들은 어머니의 처벌이 두려워서 게이가 되었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이 주장은 몇 가지 약점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동일한 가족관계에서 어떤 형제들은 이성애자로, 또 다른 이는 동성애자로 자라는지 설명하지 못한다.또,게이의 경우 외디푸스 콤플렉스에 의한 아버지로부터 거세공포라고 하고 있으나 어머니와 사이가 좋고 아버지와 관계가 나쁜 경우는 동성애자든 이성애자든 차별이 별반 없으며 ,최근 500여명이 넘는 한국 게이들을 상대로 한 인터넷 설문 조상의 경우 아버지와 관계가 나쁘다는 비율 (약 26%)보다 좋은 경우가 (약 45%) 월등히 많았다. 또 이 이론은 레스비언의 경우는 별로 분석 사례가 없다는 결함도 있다.
학습 이론적 원인:동성애를 학습이론으로 설명하려는 입장은 동성애적 행위가 조건형성의 역할, 즉 동성과의 만족스러웠던 경험이나 이성과의 불만족스러웠던 경험이 동성애를 [선택]하게 된 원인으로 보고 있다. 킨제이 학파들이 대표적 연구집단인데, 그들은 어릴 때의 의식적, 무의식적 성경험이나 기숙사,교도소,군대등에서의 동성애적 경험이 동성애적 행동을강화한다고 보고 있다.더욱이 행동주의 이론가들은 동성애를 잘못 학습된 결과이므로 학습과 훈련으로 동성애가 교정될 수 있다고 본다. 예를 들면 전기충격, 혐오연상등의 치료법이다.
그러나 일시적으로 효과가 있다하더라도 이같은 요법으로 이성애로 전환했다는 사례는 없으며,특수 환경에서 이루어진 동성애적 행위는 그 조건이 해제되면 원래의 성애지향으로 되돌아가고 있다. 동성애자들보다 이성애자들이 사춘기 때 동료들과 동성애적 행위를 한 경우가 더 많으며, 레스비언 중 남성으로부터 성폭행 당한 경험이 이성애 여성보다 많다는 연구도 있지만 이는 레스비언이 된 원인보다는 레스비언이기 때문에 받은 결과일 경우가 높다.사회학습 이론 모델에서는 직접적 경험에서 오는 보상 내지 징벌 뿐아니라 인형, 옷, 놀이 방법등 간접 경험이나 관찰로써도 동성애적 행위가 강화된다고 보고 있다.
생물학적 이론적 원인:최근까지 동성애가 생물학적으로 결정되는가를 확인하려는 연구들은 주로 유전설(세포 유전학), 호르몬설(내분비계), 뇌구조설(신경해부학)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유전설은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적 요인이 동성애적 지향을 결정하는가를
⑶동성애의 원인
동성애의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는 예전부터 있어왔다.그러나 아직까지 확실하게 맞다고 정립된 의견은 없다.더우기 1990년대 이후에는 동성애의 원인을 규명하려는 연구보다는 서로 다른 성적 지향의 소유자들의 행동이 왜 다른가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대체적으로 정립된 이론으로는 동성애를 후천적인 요인으로 설명하려는 정신분석학적 모델과 학습이론 , 선천적인 요인으로 설명하려는 생물학적 차원의 이론이 있다.
정신 분석학적 원인:프로이트의 견해로부터 출발한 이론이다.정신분석학을 성립시킨 프로이트는 그 이전의 동성애적 행위가 죄악으로 터부시되거나 정신질환으로 취급받는 것과는 달리, 일단 동성애가 정신질환보다는 인간의 성적 발달과정에서 어떤 정신적 외상으로 성적 기능이 변한 것이라 점을 강조했다.프로이트는 인간은 원래 양성적 존재로 태어나는데, 동성애자들은 자라는 도중 부모와의 갈등과 가족의 상호작용이 잘못되어 동성애적 성향에 고착된다고 보았다.어린 아동들은 외디푸스 콤플렉스에 의한 아버지로부터의 거세공포를 겪게 되는데 이때,상대적으로 아버지의 존재가 약하게 생각된다면,아버지에 대한 두려움이 별로 없기 때문에 어머니와 가깝게 지내게 된다.그러면서 애착의 정도가 깊어지면 나중에는 자신과 어머니를 동일시 하게 된다.이로인해 어머니처럼 남성을 성적인 상대로 생각하게 되고,이로인한 만족을 추구하게 되면서 동성애자가 된다는 것이다.
(cf:외디푸스 콤플렉스:자신이 어머니를 사모한 것을 아버지가 알게 되고 이에 대한 보복으 로 아버지가 혹시 자신의 남근을 잘라버릴지 모른다는 두려움이다.어린 아동들은 누구 나 그런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고 프로이트는 주장했다.)
그러나 프로이트 이후의 정신분석가들은 이와 정반대의 해석을 하고 있다.프로이트가 게이 남성이 여자를 상대하지 않는 것이 아버지의 처벌을 두려워해서라면 다른 정신분석학자들은 어머니의 처벌이 두려워서 게이가 되었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이 주장은 몇 가지 약점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동일한 가족관계에서 어떤 형제들은 이성애자로, 또 다른 이는 동성애자로 자라는지 설명하지 못한다.또,게이의 경우 외디푸스 콤플렉스에 의한 아버지로부터 거세공포라고 하고 있으나 어머니와 사이가 좋고 아버지와 관계가 나쁜 경우는 동성애자든 이성애자든 차별이 별반 없으며 ,최근 500여명이 넘는 한국 게이들을 상대로 한 인터넷 설문 조상의 경우 아버지와 관계가 나쁘다는 비율 (약 26%)보다 좋은 경우가 (약 45%) 월등히 많았다. 또 이 이론은 레스비언의 경우는 별로 분석 사례가 없다는 결함도 있다.
학습 이론적 원인:동성애를 학습이론으로 설명하려는 입장은 동성애적 행위가 조건형성의 역할, 즉 동성과의 만족스러웠던 경험이나 이성과의 불만족스러웠던 경험이 동성애를 [선택]하게 된 원인으로 보고 있다. 킨제이 학파들이 대표적 연구집단인데, 그들은 어릴 때의 의식적, 무의식적 성경험이나 기숙사,교도소,군대등에서의 동성애적 경험이 동성애적 행동을강화한다고 보고 있다.더욱이 행동주의 이론가들은 동성애를 잘못 학습된 결과이므로 학습과 훈련으로 동성애가 교정될 수 있다고 본다. 예를 들면 전기충격, 혐오연상등의 치료법이다.
그러나 일시적으로 효과가 있다하더라도 이같은 요법으로 이성애로 전환했다는 사례는 없으며,특수 환경에서 이루어진 동성애적 행위는 그 조건이 해제되면 원래의 성애지향으로 되돌아가고 있다. 동성애자들보다 이성애자들이 사춘기 때 동료들과 동성애적 행위를 한 경우가 더 많으며, 레스비언 중 남성으로부터 성폭행 당한 경험이 이성애 여성보다 많다는 연구도 있지만 이는 레스비언이 된 원인보다는 레스비언이기 때문에 받은 결과일 경우가 높다.사회학습 이론 모델에서는 직접적 경험에서 오는 보상 내지 징벌 뿐아니라 인형, 옷, 놀이 방법등 간접 경험이나 관찰로써도 동성애적 행위가 강화된다고 보고 있다.
생물학적 이론적 원인:최근까지 동성애가 생물학적으로 결정되는가를 확인하려는 연구들은 주로 유전설(세포 유전학), 호르몬설(내분비계), 뇌구조설(신경해부학)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유전설은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적 요인이 동성애적 지향을 결정하는가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