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양적, 질적 연구방법론의 비교
질적 연구 관련 용어
질적 연구 관련 용어
본문내용
잡
하고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일정한 유형을 찾고자 노력.
- 이 해 : 연구자가 관찰하는 대상이 그들에게 주는 특별한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 이는 사회복지실천개념인 감정이입과 상당히 유사.
◈ 질적 연구에 관한 쟁점
①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병행에 관한 쟁점
- 양자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있지만 실질적으로 두 접
근은 각기 서로 다른 가정에 근거를 주고 있기 때문에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어려움. 양자를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여 질적 연구의 단점인 객관성을 보
완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음.
② 질적 연구의 과학성에 관한 쟁점
- 과학적이라고 반드시 연역적이고 가설 검증적인 연구만 의미하는 것은 아님.
질적 연구에 있어서 과학적인 연구란, 엄격하고 체계적인 경험적 탐구를 의
미함으로서 현실기반이론을 추구.
③ 질적 연구의 일반화 가능성에 관한 쟁점
- 질적 연구는 연구결과를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 보다는, 그 연구결과
가 다른 상황과 대상에 어느 정도 일반화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둠.
④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의 주관성 배제에 관한 쟁점
- 질적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인 것을 객관적으로 연구하는 것. 따라서 연구자
의 편견적 태도가 종종 연구에 반영될 수 있음. 질적 연구자는 주관성에 대
한 반성을 포함하는 세부적인 현장기록을 통해 편견 개입의 가능성을 줄여야
함.
⑤ 관찰자 효과의 제거에 관한 쟁점
- 연구자의 존재가 연구 대상자의 행동에 변화를 일으키는 일종의 반응성. 질
적 연구자들은 자연스럽고 비강요적이며 비심판적인 태도로 대상자와 상호작
용을 하고자 노력하지만 영향력을 모두 제가할 수는 없기 때문에 순수하게
‘자연 상태로의 연구’란 사실상 어려움.
⑥ 질적 연구의 신뢰성 확보에 관한 쟁점
- 양적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동일한 조건 아래서 서로 다른 연구자의 연구에
의해 동일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가에 대한 신뢰성 쟁점. 질적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신뢰성은 양적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관찰 결과의 일관성이 아니라
연구자가 기록하는 내용과 실제로 일어나는 상황 간에 일치되는 정도, 즉 자
료로서 정확성과 포괄성을 신뢰성으로 간주.
참고 문헌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하고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일정한 유형을 찾고자 노력.
- 이 해 : 연구자가 관찰하는 대상이 그들에게 주는 특별한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 이는 사회복지실천개념인 감정이입과 상당히 유사.
◈ 질적 연구에 관한 쟁점
①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병행에 관한 쟁점
- 양자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있지만 실질적으로 두 접
근은 각기 서로 다른 가정에 근거를 주고 있기 때문에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어려움. 양자를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여 질적 연구의 단점인 객관성을 보
완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음.
② 질적 연구의 과학성에 관한 쟁점
- 과학적이라고 반드시 연역적이고 가설 검증적인 연구만 의미하는 것은 아님.
질적 연구에 있어서 과학적인 연구란, 엄격하고 체계적인 경험적 탐구를 의
미함으로서 현실기반이론을 추구.
③ 질적 연구의 일반화 가능성에 관한 쟁점
- 질적 연구는 연구결과를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 보다는, 그 연구결과
가 다른 상황과 대상에 어느 정도 일반화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둠.
④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의 주관성 배제에 관한 쟁점
- 질적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인 것을 객관적으로 연구하는 것. 따라서 연구자
의 편견적 태도가 종종 연구에 반영될 수 있음. 질적 연구자는 주관성에 대
한 반성을 포함하는 세부적인 현장기록을 통해 편견 개입의 가능성을 줄여야
함.
⑤ 관찰자 효과의 제거에 관한 쟁점
- 연구자의 존재가 연구 대상자의 행동에 변화를 일으키는 일종의 반응성. 질
적 연구자들은 자연스럽고 비강요적이며 비심판적인 태도로 대상자와 상호작
용을 하고자 노력하지만 영향력을 모두 제가할 수는 없기 때문에 순수하게
‘자연 상태로의 연구’란 사실상 어려움.
⑥ 질적 연구의 신뢰성 확보에 관한 쟁점
- 양적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동일한 조건 아래서 서로 다른 연구자의 연구에
의해 동일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가에 대한 신뢰성 쟁점. 질적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신뢰성은 양적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관찰 결과의 일관성이 아니라
연구자가 기록하는 내용과 실제로 일어나는 상황 간에 일치되는 정도, 즉 자
료로서 정확성과 포괄성을 신뢰성으로 간주.
참고 문헌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