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내용 상세화 고쳐쓰기 [글쓰기 개념]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내용 상세화 고쳐쓰기 [글쓰기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글쓰기와 고쳐쓰기 ----------------------------------- 2p
(1) 글쓰기의 개념
(2) 고쳐쓰기의 개념
(3) 고쳐쓰기 교육의 의의

2. 고쳐쓰기 지도 교육과정 반영실태 ---------------------------- 3p
(1) 6차 고쳐쓰기 지도 관련 교육과정 내용
(2) 7차 고쳐쓰기 지도 관련 교육과정 내용

3. 고쳐쓰기 지도 교과서 반영실태 ------------------------------ 5p
(1) 6차 교과서 분석
(2) 7차 교과서 분석
(3) ‘고쳐쓰기’의 쓰기 6/7차 교과서 비교


4. 고쳐쓰기 지도 방안 --------------------------------------- 7p
(1) 자기 조정 전략 중심의 고쳐쓰기
(2) 적용 방안
(3) 지도안

본문내용

직접 고쳐 쓰는 활동에 시간을 많이 활용하도록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한다.
5. 유사한 형태의 문제를 항상 준비하여 진행 상황을 보아 과제를 제시한다.
대 단 원
7. 고쳐쓰기
소단원
(1) 고쳐쓰기의 필요성과 방법
쪽수
p143
차시
1/4
학습 목표
1. 고쳐쓰기가 왜 필요한지 말할 수 있다.
2. 자신의 글을 고쳐쓸 수 있다.
학습 모형
자기 조정 전략 중심 학습
학습집단조직
소집단 활동 및 개별 학습
학습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교육정보자료 및 유의점
학습 활동
교수 활동
도입
전개
인사
지난 시간까지의 글쓰기 상황 점검
말하는 목적, 시간공간 조건
듣는 이에 대한 고려
[검토 단계]
글의 주제, 독자, 표현 양식 등의 쓰기 목표를 인식
자신이 계획했던 글쓰기의 목표 점검.
[탐색 단계]
완성된 글 집중하여 읽기
- 읽으면서 잘못된 곳에 밑줄을 긋거나 메모를 한다.
- 맞춤법이나 띄어쓰기 등의 문장, 단어 수준의 고쳐쓰기를 한다.
즐거운 마음으로 수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유도
학생들 스스로 자신이 계획한 의도에 맞게 글쓰기가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
고쳐쓰기의 필요성
- 글을 쓰는 과정 전체에서 고쳐쓰기가 중요함을 인지.
고쳐쓰기의 방법 안내
▷ 내용
- 주제의 선명성: 글에 제시하고 있는 주제가 정확하게 나타났는가?
- 논증의 타당성: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는 근거들이 충분히 타당하고 적절한가?
- 내용의 통일성: 글의 전체적인 내용에 통일성이 있는가?
▷ 조직
- 단락 전개 방식: 글의 논리를 사고 단위인 단락을 중심으로 적절하게 전개시키는가?
- 글의 논리적 전개: 서론 , 본론, 결론이 논리적으로 전개되고 있는가?
2‘
3‘
5‘
10‘
ppt 자료
ppt 자료
학습지①
학습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교육정보자료 및 유의점
학습 활동
교수 활동
전개
정리 및 평가
[진단 단계]
글 전체의 목적과 글의 전반적인 문제점에 점점 초점을 맞추어 어떤 방향으로 수정할 것인지 계획하기
문제의 원인을 찾아내고 그 문제의 해결 방법을 모색
[수정 단계]
실제 고쳐쓰기
- 진단 단계에서 계획한 수정 계획에 따라 글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실제로 고쳐쓰기
돌려 읽기
- 스스로 고쳐쓰기를 한 후 모둠별로 돌려 읽고 고쳐쓰기
형성평가 문제 해결
▷ 표현
- 문장의 정확성: 문장이 문법적으로 정확한가?
- 어휘의 적절성: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였는가?
고쳐쓰기의 사례로 시범 보이기
글 수정 시 유의할 사항 안내 및 순회하며 개별 지도
돌려 읽기의 효용성과 요령 안내
10‘
5‘
ppt 자료
ppt 자료
학습지②
[학습지 ① ]
♠ 자신이 쓴 글을 읽어보며 다음 사항들을 점검해 봅시다.
내용
- 글에 제시하고 있는 주제가 정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까?
-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는 근거들이 충분히 타당하고 적절합니까?
- 글의 전체적인 내용에 통일성이 있습니까?
조직
- 글의 논리를 단락을 중심으로 적절하게 전개시키고 있습니까?
- 서론, 본론, 결론이 논리적으로 전개되고 있습니까?
표현
⇒ 다음 사항에 해당하는 부분을 찾아 글에 밑줄을 그어 봅시다.
{문장 수준}
- 문장의 뜻이 분명하지 않은 곳
- 어법에 맞지 않은 문장
- 문장의 호응 관계가 바르지 않은 곳
- 문장이 지나치게 긴 곳
- 문장이 너무 짧아 의미 전달이 잘 안되는 곳
{단어 수준}
- 불필요한 단어가 들어가 있는 경우
- 빠뜨린 단어
- 의미가 불분명하거나 적절하지 않은 단어
- 표기법에 어긋난 단어
- 띄어쓰기가 잘못된 곳
[학습지②] 형성평가
1. 글을 쓸 때 고쳐쓰기가 왜 필요한지 그 이유를 쓰세요.
2. 고쳐 쓸 때에 고려할 점들로 적당하지 못한 것은?
① 가능하면 지적인 단어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② 문단의 연결관계가 자연스럽게 되었는지 살펴본다.
③ 어법에 맞는 문장인지 살펴 본다.
④ 글 전체가 하나의 주제로 통일되어야 한다.
⑤ 문장의 호응 관계가 올바른지 살펴본다.
3. ‘교통질서를 잘 지키자’란 주제를 뒷받침하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교통 신호를 잘 지키자. ② 제한 속도를 지키자.
③ 차선을 잘 지키자. ④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하자.
⑤ 앞차와의 적정 거리를 유지하자.
4. 고쳐쓰기의 단계로 적당하지 못한 것은?
① 단어 수준 ② 문맥 수준 ③ 문단 수준
④ 글 수준 ⑤ 문장 수준
5. 다음 글에서 통일성을 해치고 있는 문장은?
① 불은 인간의 삶을 변화시켰다.
② 음식을 끓이거나 구워 먹게 되었다.
③ 밤중에도 불을 밝혀 활동 시간이 늘어났다.
④ 불은 대단히 위험하여 특별히 관심을 두어 관리하였다.
⑤ 금속을 가열시켜 여러 가지 필요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게 되었다.
※ 참고 문헌 및 사이트
-책-
6차 중학교 교과서. 대한 교과서
7차 중학교 교과서. 대한 교과서
7차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서. 대한 교과서
박영목ㆍ한철우ㆍ윤희원 공저.『국어과 교수 학습론』. (주)교학사. 2003
박영순 편.『21세게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2002
이재승.『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과정중심접근-』. 교육과학사. 2002
천경록ㆍ염창권ㆍ임성규ㆍ김재봉『초등 국어과 교육론』. 교육과학사. 2004
-논문-
김재봉ㆍ염창권ㆍ 천경록ㆍ 유정종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수 - 학습 방법」.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Vol.4 No.1 .2000
김정자.「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작문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國語敎育學硏究 .Vol.16 .2003
송수미.「자기 조정 전략 중심의 고쳐쓰기 프로그램 개발 연구」.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소. 2001.
이영희.「협동학습을 통한 고쳐쓰기 지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1999.
정혜승.「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 분석」.國語敎育學硏究. Vol.14 .2002
-사이트-
구글- http://www.google.co.kr/ -6차 교육과정 해설서 참고
에듀넷 - http://www.edunet4u.net/
KERIS 학술 정보 서비스 - http:// www.riss4u.net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 - http://www.kice.re.kr/

추천자료

  • 가격2,6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2.10.09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1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